본문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열린시정

세입현황


사업상세정보 정보에대한 외계연도, 실국명, 부서명, 회계명 등 정보를 제공합니다.
회계연도 2025
회계 일반회계
조직 농업정책과
기능 농림해양수산
정책사업 농업.농촌소득증대지원
단위사업 농업.농촌경쟁력 활성화 사업

사업개요

사업개요 정보입니다
사업목적 ○ 농어가 맞춤형 프로그램 제공을 통해 향후 경기도 농어업을 선도해 나갈 농어업인으로 육성 ○ 경기도형 농어업소득 증대 전략을 통한 농어가 소득증대 도모 ○ 소득증대 성공 사례 전파를 통해 안정적인 농어가 경영 지원 및 지속가능한 농어촌 발전 도모
사업기간 2026-01-01 ~ 2026-12-31
총사업비 140,000,000
사업규모 ○ 농어업소득 333 프로젝트 시설 및 장비지원 2개소
사업내용 ○ 농어업소득 333 프로젝트 1차 오디션 선발자를 대상으로 컨설팅 결과보고에 따라 미비한 시설장비 지원
지원형태
지원조건
사업위치 ○ 양주시
시행주체
추진근거 ○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 제4조, 제8조, 제39조 ○ 「경기도 농어업 진흥 및 농어업인등의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조례」 제8조, 제9조, 제12조
추진경위 ○ 지난 10여년간 농어가 소득의 증가율은 50% 미만에 머물고 있음. - 농가소득 : ’10)32,121천원 → ’22)46,153천원(43.7%↑) - 어가소득 : ’10)35,696천원 → ’22)52,911천원(48.2%↑) ○ 같은 기간 동안 도시근로자 가구 소득은 ’10)48,092천원 → ’22)78,133천원으로 62.5% 증가함에 따라 도시근로자 가구 소득 대비 농어가 소득 수준은 ’10)66.8% → ’22)59.1%으로 내림세 심화 ○ 또한, ’22년 기준 농어가소득을 월 평균 소득으로 환산하면 월 4,127천원으로 ’22년 3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인 월 4,194천원보다도 낮은 실정 ○ 농어업소득이 지속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가계소득 보전을 위한 겸업·부업 비중 증가로 ’22년 기준 농어업소득은 농어업외소득의 1/3 수준
추진계획 ○ 컨설팅 결과보고 내용에 따라 시설장비 지원 추진

소요재원

(단위: 원)

소요재원 정보입니다
재원별 예산액 예산성립후 증감액 예산현액
160,000,000 -80,000,000 80,000,000
자치단체재원 0 0 0
국고지원 0 0 0
국고보조금 0 0 0
기금보조금 0 0 0
균특보조금 0 0 0
특별교부세 0 0 0
광역지원 0 0 0
광역보조금 80,000,000 -40,000,000 40,000,000
특별조정교부금 0 0 0
지방채 0 0 0
자체재원 80,000,000 -40,000,000 40,000,000
기초부담금 0 0 0
시책추진금 0 0 0
채무부담 0 0 0
민자 0 0 0
기타 0 0 0
분권교부세 0 0 0
특별교부금 0 0 0
재정융자금 0 0 0

월별 지출계획(배정)

(단위:원)

월별 지출계획(배정)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담당자 정보

  • 담당부서 기획예산과
  • 담당팀 예산팀
  • 전화번호 031-8082-5074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