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연도 | 2025 | ||||
---|---|---|---|---|---|
회계 | 일반회계 | ||||
조직 | 미래교육과 | ||||
기능 | 사회복지 | ||||
정책사업 | 아동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보육서비스 증진 | ||||
단위사업 | 보육의 공공성 강화 |
사업개요
사업목적 | 영유아 보육료 지원으로 가정의 양육부담 해소 및 부모의 사회 경제 활동 지원 | ||||
---|---|---|---|---|---|
사업기간 | 2026-01-01 ~ 2030-12-31 | ||||
총사업비 | 142,865,049,000 | ||||
사업규모 | 만0~2세 아동 및 장애아동 약 4,115명 | ||||
사업내용 | 영유아보육료 지원 : 만0~2세 어린이집 이용 아동 기본보육료 지원 : 정부지원어린이집을 제외한 민간·가정·직장·부모협동 어린이집 중 만0~2세 아동 또는 장애아를 보육하는 어린이집 유아학비 시간연장 보육료 지원 : 만0~2세 종일반, 만3~5세 누리과정, 다문화 및 장애아 보육료 지원 아동 중 야간연장 어린이집(야간, 24시간, 휴일보육 포함) 이용 아동 |
||||
지원형태 | 민간보조 | ||||
지원조건 | 국비 75% 도비 17.5% 시비 7.5% 어린이집 이용 아동 | ||||
사업위치 | |||||
시행주체 | 관내 어린이집 | ||||
추진근거 | 영유아보육법 제34조(무상보육) | ||||
추진경위 | 2013년 3월부터 전 계층 확대 | ||||
추진계획 | 2025. 1. ~ 12. : 매월 아이행복카드 예탁금 예탁매월지급 |
소요재원
(단위: 원)
재원별 | 예산액 | 예산성립후 증감액 | 예산현액 |
---|---|---|---|
계 | 102,489,276,000 | -68,326,184,000 | 34,163,092,000 |
자치단체재원 | 0 | 0 | 0 |
국고지원 | 0 | 0 | 0 |
국고보조금 | 34,163,092,000 | -8,540,773,000 | 25,622,319,000 |
기금보조금 | 0 | 0 | 0 |
균특보조금 | 0 | 0 | 0 |
특별교부세 | 0 | 0 | 0 |
광역지원 | 0 | 0 | 0 |
광역보조금 | 34,163,092,000 | -28,184,551,000 | 5,978,541,000 |
특별조정교부금 | 0 | 0 | 0 |
지방채 | 0 | 0 | 0 |
자체재원 | 34,163,092,000 | -31,600,860,000 | 2,562,232,000 |
기초부담금 | 0 | 0 | 0 |
시책추진금 | 0 | 0 | 0 |
채무부담 | 0 | 0 | 0 |
민자 | 0 | 0 | 0 |
기타 | 0 | 0 | 0 |
분권교부세 | 0 | 0 | 0 |
특별교부금 | 0 | 0 | 0 |
재정융자금 | 0 | 0 | 0 |
월별 지출계획(배정)
(단위:원)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
9,915,625,000 | 3,305,208,000 | 3,305,208,000 | 4,957,813,000 | 1,652,604,000 | 1,652,604,000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4,957,812,000 | 1,652,604,000 | 1,652,604,000 | 0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