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기술정보

농업관측정보


농업기술정보 > 관측정보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제공
제목 11월 버섯관측
내용
 
  
 
재배규모의 감소와 고온, 가뭄 등 가을철 이상기온 현상으로 표고 생산량은 감소할 전망이며 소비수요도 최근 경기위축 등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생표고 가격은 약보합세가 전망된다 .
 
 
  
 
가뭄 및 건조현상 대비, 수분관리 철저
고온, 병충해 등 초가을 수확 가능한 자목의 피해 규모는 15 20%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9월 중순 최고기온이 30℃이상인 날이 10일 이상 지속되면서 고온 및 가뭄 피해가 심했다.
10 11월에는 평년보다 강수량이 적고 건조한 날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품질 향상을 위해서는 수분관리를 보다 철저히 하여야 한다.
  
가을철 피해(임가)율 및 피해규모
 단위 : %
 
구분피해율피해종류
피해임가율피해규모기상피해병피해충피해기타
수확가능목5215~20662671
 주: 표본농가 조사치(9월 25일 ~ 10월 2일)
  
생산량 감소, 품질은 다소 떨어져
  
9월 중순 10월 상순 표고 생산 임가는 70% 수준으로 고온, 병충해 등 자목피해로 표고 생산량은 감소하였고 품질은 다소 떨어졌다.
톱밥배지 방식에 의한 표고버섯 생산량은 소폭 증가하여 가락시장의 반입 비율은 원목 80%, 톱밥 20% 수준이었다.
  
9월 중순 10월 상순 생표고 생산량 및 품질 동향
 단위 : %
 
작년 대비 생산량 증감률품질
전국경기강원충청호남영남매우좋음좋음보통나쁨매우나쁨
28 30 40 26 29 2522239361
 주: 표본농가 조사치(9월 25일 ~ 10월 2일)
  
 
생산량 작년보다 감소할 듯
올해 재배규모의 감소와 가을철 고온현상, 가뭄 등 가을철 이상기온 현상으로 원목 표고 생산량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톱밥배지 표고 생산량은 재배임가 증가, 재배기술 향상 등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전체적인 표고버섯 생산량(10월 중순 11월 상순)은 작년 동기보다 소폭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가락시장의 표고버섯 반입 비율은 원목 75%, 톱밥 25% 수준으로 전망된다.
품질은 기상 여건, 관리 상태 등을 고려할 때 보통 수준으로 예상된다.
  
10월 하순 11월 중순 생표고 생산량 및 품질 전망
 
단위 : %
 
작년 대비 생산량 증감률품질
전국경기강원충청호남영남매우좋음좋음보통나쁨매우나쁨
20 25 30 15 20 2523833252
 

주: 표본농가 조사치(9월 25일 ~ 10월 2일)

  
 
  
 
생표고 가격 작년보다 상승
추석 이후 표고버섯의 반입량이 줄어들면서 표고버섯 가격은 상승하였다. 9월 평균 생표고 가격은 4kg당 특품 53,296원, 상품 34,253원, 중품 18,322원, 하품 8,740원이었으며 작년 동기보다 35%(중품 기준) 상승하였다.
10월 상순 생표고 가격은 반입량 감소가 지속되면서 작년보다 높게 형성되었다. 평균 생표고 가격은 4kg당 특품 53,708원, 상품 39,960원, 중품 26,608원, 하품 14,847원이었다.
  
생표고의 월별 평균 도매가격
 
단위 : 가격 원/4kg, 반입량 톤
 
년도
구분
8월
9월
10월
'08
특품
56,455
53,296
(53,706)
상품
35,886
34,253
(39,960)
중품
19,672
18,322
(26,603)
하품
9,917
8,740
(14,847)
'07
특품
54,846
53,196
40,105
상품
33,559
29,164
26,433
중품
18,568
13,580
16,360
하품
9,868
5,222
8,721
증감율(중품)
5.9
34.9
 자료: 가락시장
주1: 월별 가격은 가락시장 일일 도매가격의 월별 평균가격을 의미함.
주2: 10월은 ( )은 6일까지의 자료임
  
생표고의 월별 반입량
 
 자료 : 가락시장
주1 : 평년 반입량은 2003 2007년의 월별 반입량 중 최대, 최소치를 제외한 평균 물량임.
  
 
생표고 가격은 약보합세, 건표고는 강보합세 전망

10월 중순 이후 중ㆍ저온성 가을버섯의 출하량은 작년보다는 감소할 전망이며 최근 미국발 경제 불안 등 경기가 위축됨에 따라 소비수요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10월 11월 생표고 가격은 약보합세가 전망된다.

 
생표고(중품)의 일일 도매가격 추이
 
 

자료: 가락시장
주1: 일일가격은 5일 이동평균가격임.
주2: 평년가격은 2003 2007년의 가격 중 최대치, 최소치를 제외한 평균가격임.

 

건표고의 경우 올해 하반기 첫 입찰(장흥 유치농협)은 10월 하순에 있을 예정이나 가뭄 등 기상여건이 좋지 못해 작년보다 늦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건표고는 동고 및 향신 위주로 출하될 전망이며 가격은 생산량 감소, 수출량 증가 등으로 강보합세가 전망된다.

 
  
 
  
 
건표고 및 조제표고 수입은 감소할 듯
경기위축, 위안화 강세 등 수입여건 악화로 건표고의 9월 수입량(잠정치)은 작년 동기보다 29% 감소한 74톤이었다. 조제표고의 경우, 작년 동기대비 27% 감소한 184톤이 수입되었다.
10 11월 건표고 및 조제표고의 수입량도 미국발 경제 불안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 원화 약세 등 작년보다 감소할 전망이다.
  
 
수입실적(남북교역량 포함)
 단위 : 톤
 
년도구분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누계
'08생표고124322974118101937(4)581
건표고466142196282282223101222)(74)2,006
북한산691458134779683( )429
조제
표고
450204462603227204210307)(184)2,849
'07생표고73891102210150801030267
건표고217176105195224142142531052152782052,058
북한산108106361011378534003916587899
조제
표고
314394209575273329271203253

391

4344404,054
 

자료 :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농수산물유통공사(www.kati.net), 관세청(www.customs.go.kr)
주1 : 9월의 수입실적은 관세청 자료를 기준으로 한 잠정 추계치임.
주2 : 남북교역을 통한 북한산 표고버섯(건표고)의 연간반입한도는 800톤임.

  
 
건표고 수출 작년보다 소폭 증가할 듯
9월 건표고 수출량(잠정치)은 19.0톤으로 작년 동기대비 25% 증가하였으며 주요 수출국은 일본(78%), 홍콩(20%), 싱가포르(2%) 등이었다.
국내 표고버섯의 품질은 우수하나 해외시장에서의 가격 경쟁력은 약한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 엔화 강세, 중국산 표고버섯의 안전성 문제 등으로 10 11월 건표고 수출은 작년보다 소폭 증가할 전망이다.
  
건표고의 월별 수출량 동향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