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기술정보

농업관측정보


농업기술정보 > 관측정보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제공
제목 11월 곡물관측
내용

<쌀>

■ 2009양곡연도 쌀 가격 공급량 증가로 전년보다 4~7% 낮을 듯

  •  산지 쌀 가격은 하락세이나 벼 가격은 약상승세
    • 산지 벼 가격은 농가의 벼 매입가격 인상요구로 11월 5일 현재 전년보다 10.9% 높은 5만 2,753/40kg에 거래됨.
    • 신곡 산지 쌀 가격은 벼 가격과 달리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나 11월 5일 현재 16만 1,712원/80kg으로 전년보다 8.3% 높은 수준임.

 

  • 산지유통업체 원료곡 매입량 전년보다 많아
    • 11월 13일 현재 산지유통업체들의 원료곡 매입은 매입자금지원 확대로 전년 동기대비 16.9% 늘어남.
    • 농협은 수확기 매입자금을 전년보다 2천억원 늘려 1조 3천억원을 지원하고 정부는 9천 184억원의 자금을 지원.

 

  • 금년 쌀 생산량 전년보다 9.9% 늘어난 484만 3천톤
    • 금년 벼 재배면적은 소폭 감소하였으나 단위면적당 수확량은 520kg/10a으로 역대 최고 수준임.
    • 단수증가로 쌀 생산량은 484만 3천톤으로 전년보다 43만 5천톤 늘어남.

 

  • 생산량 증가로 2009양곡연도 시장공급량은 전년대비 6.7% 증가 전망
    • 금년 쌀 생산량 증가로 민간부문 시장공급량은 전년보다 6.7% 늘어난 455만 2천톤으로 예상됨.
    • 2009양곡연도 연평균 가격은 공급량 증가로 전년대비 4.1~6.6% 하락할 것으로 전망됨. 이는 수확기 산지유통업체들의 매입량 확대와 매입가격이 수급이외의 요인으로 결정되어 물량에 따른 가격전망치보다 하락율이 다소 둔화된 수준임.

 

<콩>

■ 금년 콩 생산량 12만 4천~13만 3천톤 전망

  • 7월 이후 안정세를 보이던 콩 가격 10월 중순 이후 하락세로 전환
    • 7월 이후 안정세를 보이던 콩 도매가격은 10월 중순 이후 하락세로 전환됨. 이는 2008년산 콩이 수확되면서 생산량이 전년보다 많을 것으로 추정되며, 국제 대두 가격이 하락하였기 때문임.

 

  • 2008양곡연도 콩 수입량 전년보다 11% 증가 추정
    • 2008양곡연도 콩 수입량은 30만 3,613톤으로 전년보다 11.0% 증가한 것으로 추정됨. 국영무역 수입량은 전년대비 7.9% 증가한 26만 2,632톤이며, 민간수입량은 36.2% 증가한 4만 982톤일 것으로 추정됨.

 

  • 금년 콩 단수 전년보다 증가하여 생산량은 9~17% 늘어날 전망
    • 2008년산 콩 재배면적은 전년보다 1.3% 감소한 7만 5,242ha이고, 단수는 전년대비 10.1~18.2% 증가한 165~177kg/10a일 것으로 예상됨.
    • 2008년산 콩 생산량은 단수 증가로 인해 전년대비 8.7~16.6% 증가한 12만 4천~13만 3천톤이 될 것으로 전망됨.
    • 금년 콩 생산량이 전년보다 증가하여 11월~내년 1월까지 가격은 현재 시세보다 약세일 것으로 전망됨.

※ 출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