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기술정보

농업관측정보


농업기술정보 > 관측정보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제공
제목 주간농사정보(12. 8 ~ 12. 14)
내용

벼 농 사

 가. 볍씨 준비

  ○ 벼 보급종을 신청할 농가는 지역에 공급되는 품종과 그 품종의 특성을 알아보고 시군농업기술센터에 신청하도록 한다.(신청기간 : 11. 2~12. 30)

  ○ 내년에 심을 볍씨는 지역에서 추천하는 고품질 품종 중에서 선택하여 신청하거나 순도가 높은 우량종자 생산 농가에서 확보토록 한다.


 나. 농기계 보관

  ○ 사용하지 않는 농기계는 눈비를 맞지 않는 안전한 곳에 보관하도록 하고, 트랙터는 클러치를 떼어놓고 유압 리프트암을 올린 상태로 보관하도록 하고,

  ○ 콤바인은 깨끗이 청소해 주고 예취날은 그리스를 발라 녹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며,

  ○ 겨울 동안 사용하지 않는 쟁기, 로터리 등 작업기는 오일을 발라 주어 녹슬지 않도록 해준다.

 

 

밭 농 사

 가. 보리밭 관리

  ○ 벼 수확이 늦어 늦게 파종한 보리는 월동 전까지 4 6매의 주간엽수를 확보하여야 안전한 월동을 할 수 있으므로, 생육이 저조한 포장은 가능한 퇴비나 거친 두엄, 왕겨 등을 덮어주어 안전한 월동이 되도록 한다.

  ○ 월동 중에 이상난동으로 보리가 웃자랄 수 있으므로 웃자람 방지를 위해서 배수작업을 겸한 흙덮기 작업을 해주도록 한다.

  ○ 특히, 습해에 약한 보리가 습해를 받게 되면 뿌리가 깊게 뻗지 못하고 양분 흡수가 곤란하여 황화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월동 전에 배수구 중간의 막힌 곳을 터주고 포장 양끝의 보머리 트기 작업을 해주어 습해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여 준다.

 나. 감자·고구마

  ○ 감자 저장에 적당한 조건은 온도 2 4℃, 습도는 80 85%를 유지하여 주고, 고구마는 온도 12 15℃, 습도는 85 90%를 유지해 주어 고품질의 서류 생산이 되도록 하고,

  ○ 감자 시설재배는 싹틔움상(育芽床)을 설치하여야 하는데 지역에 따라 다르나 남부지방은 지역 실정에 알맞게 12월 중순부터 설치하도록 한다.

 

 

채    소

 가. 시설채소

  ○ 시설 난방비 절감을 위해서 하우스 피복자재를 개선하여 보온력을 높이고, 지중가온 및 수막하우스 시설 등을 이용하여 난방에너지를 절약토록 한다.

  ○ 보온용 커튼이나 피복재는 해가 뜨는 즉시 걷어 주어 햇빛을 많이 받을 수 있도록 하고, 해가 지기 전에 덮어서 보온력을 높이도록 관리한다.

  ○ 눈이 많이 내릴 때는 지붕 위에 쌓이지 않도록 쓸어내리고, 하우스 주변의 배수로를 잘 정비하여 하우스 안이 과습하지 않도록 하며, 폭설 등 재해가 우려되는 지역에서 작물을 재배하지 않는 빈 하우스는 피복된 비닐을 벗겨 두어 기상재해를 막도록 한다.

  ○ 육묘중인 오이·토마토·풋고추 등의 열매채소는 야간 최저온도를 12℃ 이상, 배추, 상추 등 잎채소는 8℃ 이상 유지되도록 가온 등의 보온관리를 한다.

  ○ 관수용 물은 2 3일전에 미리 받아 사용하고 점적관수를 이용하여 오전 중에 주도록 하며, 알맞은 양을 주어 토양이 과습하지 않도록 한다.


 나. 마늘·양파

  ○ 적기보다 일찍 파종한 마늘과 일찍 정식한 양파 등은 월동기간 동안 온도가 높으면 자람을 계속하게 되어, 갑작스러운 한파 시 동해 피해를 입을 우려가 있으므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 마늘, 양파 포장에 피복한 비닐은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끝마무리를 잘 해주어 건조 피해를 막아주고 비가 많을 경우 토양 과습으로 인한 습해를 받을 수 있으므로 물이 고여 있지 않도록 배수로를 다시 한번 정비하여 습해 피해를 받지 않도록 해 준다.

 

 

과   수

 가. 과원 관리

  ○ 낙엽, 떨어진 과실, 잡초 기타 썩은 가지 등은 생육기간 중에 발생한 병해충의 월동장소가 되므로 휴면기 경운 작업 시 뒤집어 주거나 한 곳에 모아 태우거나 땅속에 묻어주어 병충의 밀도를 조기에 제거함으로 내년 병해충에 의한 피해를 줄이도록 한다.

  ○ 관수시설의 동파 우려가 되는 부분의 물을 완전히 제거해 주고, 부직포나 부초가 두껍게 되어 있는 부분은 쥐 등의 서식처를 제공하므로 뿌리에 상처를 줄 수 있으며 지열의 발산을 막아 동해 피해 및 봄철 개화시 늦서리 피해를 받기 쉬우므로 제거해 준다.

  ○ 반사필름, 받침대 등은 깨끗이 정리하도록 한다.

  ○ 동해 피해를 받기 쉬운 원줄기, 주지는 지상에서 80 100cm 부위까지 짚, 방한매트로 싸매 주는 방법과, 백도제 또는 수성페인트를 지상에서 1m 부위(첫 번째 결과지)까지 발라 보호하고, 내한성이 약한 포도는 땅에 묻거나 싸매 주며, 어린 묘목이나 세력이 약한 나무는 짚 등으로 땅에서부터 1m 정도 부위까지 싸맨 후 30㎝ 정도 흙으로 덮어서 동해를 받지 않도록 한다.

  ○ 배수가 불량한 땅에서 자란나무는 수세가 약하므로 동해를 받기 쉽기 때문에 반드시 배수가 잘 되도록 하여 주어야 한다.

  ○ 조류 피해방지를 위해 씌웠던 방조망은 눈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양측면으로 걷었다가 봄에 다시 씌우도록 한다.


 나. 과실 저장고 관리

  ○ 과실 저장고에 상자는 너무 많이 쌓지 말고 3 4상자마다 통로를 만들어 공기 유통이 잘 되도록 하고,

  ○ 저장고 벽에서는 30 50㎝, 천장에서는 50㎝ 정도의 공간을 유지시켜 환기가 잘 되도록 해 준다.

 

 

화    훼

 

  ○ 거베라 하우스 포장의 물주기는 오전 10시경에 하는 것이 과습에 의한 곰팡이병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 물주는 양은 토양조건, 작물의 상태, 햇빛 강도에 따라 다르므로 흐린 날이나 습할 때는 주는 양을 줄여 주어야 좋다.

  ○ 거베라는 건조에 강하기 때문에 10㎝ 깊이에 수분이 있으면 생육이 가능하므로 보통 점적관수에 의해서 주 1회 정도는 물을 주도록 하며,

  ○ 겨울철 시설 화훼재배는 기본적으로 환경관리가 중요하므로 작목별 적정 온도 유지와 환기에 의한 습도 관리에 특별히 유의하도록 한다.

 

 

버    섯

 가. 느타리버섯 재배

  ○ 느타리버섯 재배의 살균온도는 버섯배지(볏짚, 폐면)가 65 70℃로 유지시켜준 상태에서 8시간 동안 온도를 지속시켜 주고, 50 55℃에서 2 3일간 발효시킨 후 충분히 환기를 실시 후 배지의 온도가 25℃ 내외에 이르렀을 때 종균을 접종하도록 한다.

  ○ 겨울철 저온성 느타리버섯을 재배하는 농가에서는 배지와 재배사 안의 온도가 10 16℃ 내외로 유지될 수 있도록 보온관리를 하여주고, 습도는 버섯발아 초기에는 90%이상, 생육기에는 80 85% 내외로 맞추어 주어 불량 환경에 의한 기형버섯 발생이 되지 않도록 한다.

  ○ 버섯 재배사는 보온관리가 되지 않으면 주야간 온도차이로 인한 병해의 발생이 빈번하므로 보온자재를 반드시 점검하여 보완하여 주도록 한다.

 

 

축    산

 가. 가축 사양 관리

  ○ 소는 찬바람이 직접 닿지 않도록 북서쪽에 윈치 커튼 등으로 바람을 막아 주고 축사 안으로 샛바람이 들어오지 않도록 해 주며, 특히 송아지는 추위에 약하므로 보온관리를 잘 해 주도록 한다.

  ○ 젖소는 온도가 떨어지면 체온을 유지하기 위하여 혈관을 수축시켜 산유량에 영향을 미치는 혈액의 흐름을 조절하게 되어 유지방 등 우유 성분은 높아지는 반면 산유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사료의 에너지 수준을 높여 주고 찬바람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 돈사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소독시설, 급수라인 등은 단열재를 이용하여 동파를 방지하도록 하고 수시로 이상 유무를 확인하여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 닭장은 샛바람을 막을 수 있도록 바람막이 시설을 설치해 주고 환기시설을 잘 점검하여 환기 시 찬바람이 직접 닭 몸에 닿지 않도록 보완해 주며 항상 충분한 급수가 되도록 하여야한다.


 나. 초지사료작물 관리

  ○ 초지에 먹다 남은 풀이나 불필요한 나무의 새순 등을 깨끗이 제거해 주도록 하고, 수분이 많아 서릿발 피해가 우려되는 곳은 잘 다져 주도록 한다.

  ○ 초지와 논뒷그루 사료작물 포장에 퇴구비 등을 뿌려 주어 동해를 방지하고 땅심도 높여 주며, 서릿발 피해 방지를 위해 다져 주도록 한다.


 다. 가축 위생관리

  ○ 가축의 운동부족 현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따뜻한 날에는 일광욕을 시켜 주고, 발굽을 정기적으로 손질해 주어 부제병 발생을 방지하며, 특히 밤에 어린 가축의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지 않도록 보온장비를 가동하여 준다.

  ○ 조류인플루엔자 예방을 위하여 축사안팎을 철저히 소독하고, 평상시는 외부인과 출입차량의 통제 등 차단방역으로 병원균의 유입을 차단해야 하며, 매일 가축을 관찰하여 조류인플루엔자 등의 전염병이 발견되면 방역당국에 즉시 신고한다.

※ 출처 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