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기술정보

농업관측정보


농업기술정보 > 관측정보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제공
제목 주간농사정보(12. 15 ~ 12. 21)
내용

벼 농 사

 가. 볍씨 확보

  ○ 벼 보급종을 신청할 농가는 지역에 공급되는 품종과 그 품종의 특성을 알아보고 기간 내에 시군농업기술센터에 신청하도록 한다.

     신청기간 : 12. 30 한

  ○ 내년에 심을 볍씨는 지역에서 추천하는 고품질 품종 중에서 선택하여 신청하거나 순도가 높은 우량종자 생산 농가에서 확보토록 한다.


 나. 땅심 높이기

  ○ 찰흙 함량이 부족한 모래 논이나 생산력이 낮아 객토를 할 지역은 찰흙 함량이 25% 이상 되는 우량 객토원을 사전에 확보토록 한다.

  ○ 객토원은 찰흙 함량이 많은 붉은 산 흙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확보가 어려울 때는 찰흙 함량이 높고 오염되지 않는 흙을 사용하도록 한다.


 다. 농기계 관리

  ○ 농기계는 기름칠을 해주고, 볼트와 너트의 상태를 확인하여 조여 주며, 클러치 레버나 벨트 등은 풀림상태로 보관하도록 하고

  ○ 농기계를 보관할 때 디젤엔진은 연료통에 연료를 가득 채우고 가솔린 엔진은 연료를 완전히 빼낸 후에 보관하도록 한다.

  ○ 아울러 각종 농기계의 오일은 새것으로 교환해 주고, 기계 주요 부분에는 오일이나 그리스를 충분히 넣어 주도록 한다.

  ○ 점검이 끝난 농기계는 햇빛을 받지 않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비닐 덮개를 씌워 안전하게 보관하도록 한다.

 

 

밭 농 사

  ○ 배수가 잘 되지 않는 논보리는 배수구를 정비하며, 동시에 흙덮기를 해주어 습해와 동해를 받지 않도록 한다. 포장 한가운데 물이 고이게 되면 물 빼기가 곤란하므로 보리파종 두둑을 잘라 주어 배수가 잘 되도록 힌디. 또한, 보리 골과 골 사이의 포장 양끝의 보머리를 터주어 배수가 원활하게 되도록 해주어야 한다.

  ○ 너무 일찍 심은 보리가 웃자라서 동해 피해 우려가 있는 경우는 월동 전에 보리 잎 끝부분을 낫으로 약간만 베어주고 월동 후 재생기에 요소 엽면시비를 해주는 것이 좋으며, 너무 늦게 심어 생육이 좋지 않은 보리는 추위에 견디는 힘이 약하므로 퇴구비, 왕겨 등을 10a당 1톤 정도 덮어 주어야 동해를 줄일 수 있으므로 실천한다.

  ○ 감자 시설재배를 위한 싹 틔움상의 파종 시기는 12월 중순 1월 중순까지(아주심기 1월 상순 2월 중순)가 알맞으며, 씨감자는 수미, 조풍, 하령,  추영, 대서 등의 품종을 재배하도록 하고,

  ○ 움 저장을 하고 있는 고구마는 알맞은 온도(12 15℃)와 습도(90 95%)를 유지하여 안전한 저장이 되도록 한다.

 

 

채    소

 가. 시설채소

  ○ 시설원예 난방비 절감을 위해서 하우스 피복 자재를 잘 덮어 보온력을 높이도록 하고, 일사감응전자동변온관리장치, 온풍난방기배기열회수장치, 중앙권취식 보온터널 자동개폐시설, 지중가온시설 및 수막하우스 등을 이용하여 난방에너지를 절약하도록 한다.

  ○ 보온용 커튼이나 피복재는 해가 뜨는 즉시 일찍 걷어 주어 햇빛을 많이 받을 수 있게 하고 해지기 전에 닫아 주어 야간 보온력을 높이도록 한다.

  ○ 하우스 주변의 배수로를 잘 정비하여 하우스 안이 너무 습하지 않도록 한다.

  ○ 육묘상이나 오이․토마토․풋고추 등 시설 열매채소는 야간 최저온도를 12℃ 이상, 상추 등 잎채소는 8℃ 이상 유지되도록 보온 및 가온을 해 주도록 한다.

  ○ 아울러 물주기는 점적관수를 이용하여 오전 중에 알맞은 양을 주도록 하여 하우스 내부가 너무 습하지 않도록 관리해 주도록 한다.


 나. 마늘, 양파

  ○ 마늘, 양파 등 월동채소 포장은 눈이나 비가 올 때 습해를 받지 않도록 배수로를 정비하여 주고 비가 온 후 갑자기 추워질 때 동해가 우려되므로 물이 고이지 않도록 해주고 피복한 비닐이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흙으로 잘 덮어 주도록 한다.

 

 

과   수

  ○ 과수의 낙엽, 포장의 잡초에는 병균이나 해충 등이 월동하고 있으므로 모아서 태우거나 땅속에 묻어주고, 병든 과실도 깨끗이 없애서 병해충의 발생밀도를 줄여 주도록 하고,

  ○ 조류피해 방지를 위해 씌웠던 방조망은 적설에 의한 붕괴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양측으로 걷어둔다.

  ○ 동해에 약한 포도 품종은 땅에 묻어주고, 어린나무나 복숭아나무 등은 짚이나 신문지등으로 싸매주거나 수성페인트를 칠해주어 동해를 예방하도록 한다.

  ○ 과실저장고는 저장 중에 발생하는 에틸렌가스, 이산화탄소 등 유해가스가 저장고 안에 차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환기를 실시하여 준다.

  ○ 후지 등 만생종 사과는 저장 중에 이산화탄소가 축적되면 내부의 갈변 현상이 증가하게 되므로 수시로 살펴보고 갈변 발생이 우려되면 가능한 빨리 출하하도록 한다.

  ○ 저장 과실 안으로 침투한 병원균은 수확 후 약제 처리로 방제가 불가능하므로 과실을 살펴보아 썩은 과실은 골라내도록 한다.

 

 

화    훼

  ○ 눈이 많이 내리거나 온도가 떨어질 것으로 예보되면 하우스 보온연료를 넉넉하게 준비하고, 제설작업 준비를 해둔다.

  ○ 시설화훼 재배에 있어 낮과 밤의 온도차가 심하면 꽃의 종류에 따라 생육이 정지되거나 상품성이 불량한 꽃이 발생하는 등 생리장해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알맞은 환경관리와 하우스 보온관리에 힘쓰도록 한다.

  ○ 관수용 물은 미리 받아 두었다가 물이 너무 차갑지 않도록 적정 온도를 유지하여 사용토록 하고 주는 양은 토양조건이나 식물상태, 햇빛 강도에 따라 조절하여 주도록 한다.

  ○ 꽃노랑총채벌레, 온실가루이 등 외래해충 예찰을 잘하고, 이 해충들은 농약에 대한 내성이 강하기 때문에 계통이 다른 약제로 번갈아 살포하여 내성을 줄이고 방제효과를 높여주도록 한다.

 

 

버    섯

  ○ 요즘처럼 온도가 낮고 밤낮의 온도차가 많이 나는 시기에는 재배사와 배지의 온도가 10 16℃ 정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보온관리를 잘 해주도록 하고, 단열시설은 수시로 점검·보완하여야 하며, 노후된 시설은 교체하여 주도록 한다.

  ○ 버섯재배사 실내와 균상의 습도는 85% 정도 유지되어 균상이 마르지 않도록 하고, 신선한 공기가 항상 유지되도록 환기관리를 철저히 해주도록 한다.

  ○ 버섯자실체에 수분이 오랫동안 머물게 되면 세균으로 인한 갈변병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관수 후에는 환기작업을 실시하여 버섯 갓의 수분을 증발시켜 갈변병 발생을 사전에 막아주도록 관리한다.

 

 

축    산

 가. 사육 환경관리

  ○ 축사 내외는 단열재를 이용하여 외부와의 틈이 없도록 철저히 단열하고, 갓 난 어린가축은 저온에 민감하기 때문에 가열기 등으로 보온하여 따뜻하게 해 주고, 바닥은 깨끗한 마른 볏짚을 깔아 준다.

  ○ 축사가 건조할 경우에는 유해가스와 먼지가 증가하여 호흡기 질병이 증가하므로 가습과 환기를 적절히 실시한다.

  ○ 겨울은 일조량이 부족하여 비육우의 성장 발육이 저하되므로 일광욕과 운동, 피부손질을 자주 하여 준다.

  ○ 폭설에 대비하여 축사시설을 정비하고, 축사를 신축할 때는 표준 설계도에 따라 시공하고 투광재 지붕을 설치하여 축사 내부로 햇빛이 많이 들어오도록 하는 것이 좋다.


 나. 가축 사양관리

  ○ 한우는 기온 저하에 따라 체온을 유지하기 위하여 섭취한 영양분을 체온조절에 많이 이용하게 되므로 사료는 평소보다 10 20% 정도 더 주어야 한다.

  ○ 또한 일조량이 적어짐에 따라 비타민, 무기질 등이 부족하여 피부병 등 질병 발생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미네랄 등의 사료를 첨가 급여하도록 한다.

  ○ 질병의 발생과 폐사율을 줄이기 위하여 초유는 분만 후 빠른 시간 내에 먹이도록 하고, 축사 보온 관리에 유의하도록 한다.

  ○ 돼지 분만틀 바닥은 항상 건조한 상태로 유지하고, 새끼돼지는 초유를 충분히 먹이도록 하며, 휴식 공간에는 보온매트, 보온등, 보일러 등 보온시설을 하여 추위로 인한 피해를 받지 않도록 한다.

  ○ 날씨가 추워지면서 물 공급이 소홀하기 쉬우므로 급수배관은 단열재를 설치하여 동파를 예방하고, 정상적으로 물이 공급되는지 수시로 점검한다.

 다. 가축 질병예방

  ○ 조류인플루엔자 등의 확산 방지를 위하여 매주 정기적으로 축사안팎을 철저히 소독하고, 평상시는 외부인과 출입차량의 통제 등 차단방역으로 병원균의 유입을 차단해야 하며, 매일 가축을 관찰하여 조류인플루엔자 의심축이 발견되면 방역당국에 즉시 신고한다.

  ○ 겨울철에 분만하는 송아지는 보온과 환기에 특히 주의하도록 한다. 기침, 설사를 하는 송아지는 격리시켜 치료하고, 배설물은 신속히 제거한 후 주위를 소독한다.

  ○ 소 결핵병과 부루세라병 및 광견병은 인수공통전염병으로 해마다 발생이 증가하고 있어 예방을 위하여 쥐나 새 등 야생동물의 축사출입을 차단하고, 정기적으로 가성소다 및 페놀 등 소독제를 사용하여 축사 내·외부를 소독하며, 혈청검사를 받아 감염된 소가 발견되면 즉시 도태해야 한다.

  ○ 돼지에서 많이 발생되고 있는 유행성설사와 유행성폐렴 및 오제스키병 등의 질병 예방을 위한 적기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온·습도 유지와 알맞은 환기관리를 한다.

  ○ 겨울철 대설에 대비하여 축사와 가축분뇨 처리시설을 점검하여 붕괴사고를 막고, 가축분뇨 퇴비장은 기온이 저하됨에 따라 적정량의 수분 조절제를 혼합하여 발효가 잘 되도록 해주며, 액비저장 탱크에는 발효제를 첨가하거나 폭기를 철저히 하여 부숙이 잘 되고 악취가 완전히 제거된 액비를 작물에 시용한다.

 

※ 출처 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