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기술정보

농업관측정보


농업기술정보 > 관측정보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제공
제목 12월 축산관측
내용

<한육우>

■ 12월~09년 2월 한우 수소 380~390만원 사육두수 감소세로 전환

 

  • 12월 사육두수 243만 8천두, 09년 3월 238만 두 전망
    • 출하물량 증가로 12월 한육우 사육두수는 전분기보다 1.3% 감소한 243만 8천두
    • 정액판매량 감소로 09년 1~9월 송아지 생산 감소 예상되지만 도축두수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어 09년 3월 사육두수는 전분기보다 2.4% 감소한 238만 두

 

  • 8월부터 산지가격 소폭 상승 반전
    • 사육심리 불안에 따른 출하물량 증가와 추석수요 증가로 8~10월 한우 등급판정두수 23% 증가
    • 9월 이후 미국산 쇠고기 수입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안전성 문제로 소비는 부진한 편, 상대적으로 안전한 한우고기 선호로 산지 가격 상승에 영향
    • 11월 한우 산지가격 암소 458만원(전월대비 3.6% 상승), 수소 376만원(1.5% 상승)

 

  • 연말연시 및 설 수요 증가로 가격 소폭 상승 전망
    • 공급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연말연시 및 설 수요 증가로 08년 12월~09년 2월 수소가격 전분기 대비 4.1% 상승한 380~390만원 전망
    • 암소 470~480만원(3.0% 상승), 수송아지 155~165만원(4.5% 상승) 전망

 

  • 고급육 생산에 집중하여 농가 소득보전 필요
    • 가격 하락국면에서 3등급 가격 하락폭이 가장 크게 나타남.
    • 거세를 통해 고급육 생산에 전념하여 소득 하락을 최소화할 필요

 

<젖소>

■ 내년 유제품 수입 증가, 우유 소비 부진으로 분유 재고 증가 적극적인 우유 소비 촉진 활동 필요한 때

 

  • 젖소 사육두수 감소 폭 둔화 전망
    • 지난해 2세 미만 두수 감소로 내년 3월까지 사육두수 전년보다 감소할 전망
    • 젖소 도축두수 감소 추세로 사육두수 감소 폭은 둔화 전망
    • 12월 사육두수 44만 4천두(전년대비 2.0% 감소), 내년 3월 44만 3천두(1.3% 감소) 전망
    • 소 값 전망 불투명으로 초유떼기 암송아지 가격 사상 최저인 4만 8천원(11월 20일) 기록

 

  • 원유 생산량 전년대비 감소 전망, 우유 소비 부진 예상
    • 착유우 두수 감소와 사료 가격 상승에 따른 사료 급여 차질로 생산성 하락 예상
    • 4분기 원유 생산량 52만 2천 톤(전년대비 2.1% 감소), 1분기 53만 8천 톤(1.6% 감소) 전망
    • 소비자 가격 인상 후인 10월 시유 판매량 전년 동월보다 6.6% 감소

 

  • 수입 증가, 소비 감소로 내년 분유 재고 증가 전망
    • 국제 유제품 가격 하락이 예상되어 내년 유제품 수입량 증가 전망
    • 유제품 수입량 증가, 우유 소비 부진으로 내년 분유 재고 증가 우려
    • 적극적인 우유 소비 촉진 활동으로 분유 재고 관리에 신경써야 할 때

 

<돼지>

■ 12~2월 돼지 지육가격 kg당 4,200~4,400원 모돈수 감소로 사육두수 감소 전망

 

  • 모돈수 감소로 12월, 09년 3월 돼지 사육두수 전년보다 감소 전망
    • 사료비 상승에 따른 농가 폐업 증가로 3~9월 평균 모돈수 8.2% 감소
    • 12월 사육두수 전년보다 4.2% 감소한 920만두, 09년 3월에는 0.6% 감소한 893만두 전망

 

  • 12~2월 돼지고기 공급량 전년보다 12% 감소 전망
    • 사육두수 감소로 12~2월 돼지 출하두수 전년보다 3.7% 감소 전망
    • 환율 급등, 미국산 쇠고기 수입 재개 등으로 돼지고기 수입량 37% 감소 예상

  

  • 12~2월 돼지 지육 가격 kg당 4,200~4,400원으로 전망
    • 출하두수, 수입량 감소, 돼지고기 소비 증가로 돼지 지육 가격 급등 전망
    • 12~2월 돼지 지육 가격 전년보다 47~54% 높은 kg당 4,200~4,400원전망(돼지 100kg 기준 28만 6천원~29만 9천원)
    • 광우병 논란에 따른 쇠고기의 소비 심리 불안이 해소되면 가격은 전망치보다 낮을 전망

 

<산란계>

■ 12월~09년 2월 계란 가격 1,100~1,200원 전망

 

  • 병아리 입식수수 증가로 09년 3월 사육수수 올해보다 2.6% 증가 전망
    • 12월~09년 2월 신규 계란 생산 가담 계군은 885만수로 전년보다 19.3% 증가
    • 신규 계란 생산 가담 계군이 증가하고, 농가의 도태의향이 낮아 09년 3월 산란용 마리수는 올해보다 1.5% 증가 전망
    • 09년 3월 산란계 사육수수 또한 올해보다 2.6% 증가한 5,935만수 전망

 

  • 산란용 마리수 증가로 12월~09년 2월 계란 생산량 1.0% 증가
    • 12월~09년 2월의 계란 생산량에 영향을 미치는 6~8월 병아리용 배합사료 생산량은 전년보다 11.3% 증가한 8만 5천톤
    • 병아리와 산란용 마리수 증가로 12월~09년 2월 계란 생산량 전년보다 1.0% 증가 전망

  

  • 12월~09년 2월 계란 가격 1,100~1,200원, 2분기에는 하락 전망
    • 계란 생산 증가로 가격은 전년보다 하락하여야 하지만, 설 특수와 사료가격 상승분이 반영되어 12월~09년 2월 계란 가격은 1,100~1,200원으로 전망
    • 실용계 입식수수가 크게 증가하여, 노계 도태가 지연될 경우 09년 2분기 계란 가격은 하락할 가능성 높아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 차단 방역 철저히 해야!

 

<육계>

■ 육계 가격 1,700~1,900원 전망

 

  • 병아리 감소로 12월 사육수수 전년보다 3.4% 감소한 5,429만수 전망
    • 10월 육용 종계 사육수수는 전년보다 16.1% 감소한 500만수
    • 종계 사육수수 감소로 11월 병아리 생산수수는 4.3% 감소한 3,740만수
    • 병아리 생산수수가 감소하여 12월 사육수수도 3.4% 감소한 5,429만수 전망

 

  • 12월 닭고기 총공급량은 5% 정도 감소하나 수요는 증가 예상
    • 12월 도계수수도 전년보다 3.2% 감소한 4,549만수 전망, 비축재고도 큰 폭 감소 추세
    • 환율 급상승으로 12월 수입량은 55.9% 감소한 1천 5백톤(약 195만수) 추정
    • 12월에는 닭고기 연말 수요가 기대되며, 12월 22일 음식점원산지표시 의무시행으로 국내산 수요는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연말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12월 육계 가격 1,700∼1,900원 전망
    • 공급은 감소하고 수요는 증가하여 12월 육계 가격은 전년대비 21~35% 상승 전망
    • 육계 생산성이 저하될 경우 12월 가격은 일시적으로 2,000원대에서 형성될 수 있어

 

  ■ 12월은 육계 생산성 저하, HPAI 대비 방역 철저히 해야

  •  강추위, 심한 일교차 등 기후 변동성이 심할 것으로 예상되는 12월에는 생산성 저하에 유의해야 하며, HPAI 차단 방역에 철저히 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