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기술정보

농업관측정보


농업기술정보 > 관측정보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제공
제목 주간농사정보(12. 22 ~ 12. 28)
내용

벼 농 사

 가. 볍씨 확보

  ○ 쌀의 품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품종의 유전적인 특성이 중요하므로 내년도 재배할 볍씨는 지역에서 추천하는 고품질품종 중에서 선택한다.

  ○ 새로운 품종을 재배할 경우에는 품종의 적응지역, 병해충 등 품종의 특성에 유의 선택하여 확보토록 한다.


 나. 모래논 객토

  ○ 찰흙함량이 부족하여 너무 물이 잘 빠지는 모래 논 등 생산력이 떨어지는 논은 객토를 하여 토양의 조건을 개선하여 벼의 생육과 미질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 객토를 할 지역은 찰흙함량이 25% 이상 되는 우량 객토원(붉은 산흙)을 사전에 확보하여 공동 이용토록 한다.

  ○ 객토를 한 논은 볏짚, 퇴구비 등 유기물과 규산질비료를 시용하고 깊이갈이를 하는 등 종합개량이 되도록 하여 객토의 효과를 높이도록 한다.

 

 

밭 농 사

  ○ 보리는 대부분 적기에 파종되어 현재까지의 생육은 좋으나 배수가 불량한  지역은 배수구 재정비와 보머리 트기 작업을 하여 습해를 예방한다.

  ○ 일부 늦게 뿌려 생육이 늦은 논보리는 동해가 우려되므로 배수로 작업을 겸하여 흙덮기 작업을 실시한다.

  ○ 감자 시설재배를 위한 싹틔움상의 알맞은 파종 시기는 1월 중순까지(아주심기 1월 상순 2월 중순)이며, 품종으로는 수미, 조풍, 추백, 대서 등을 재배하는 것이 좋다.

  ○ 시설재배를 할 씨감자는 육아상에 파종하기 20 30일 전부터 하우스에서 (온도 15 20℃, 습도 80 90%) 욕광최아를 실시하고, 파종하기 3 7일전에 씨감자를 절단하도록 한다.

 

 

채    소

 가. 시설채소

  ○ 시설원예 난방비 절감을 위해서 하우스 피복자재를 잘 덮어 보온력을 높이고 일사감응 변온장치, 지중 가온시설, 수막하우스 등 난방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시설을 점검 보완한다.

  ○ 커튼이나 피복재는 해가 뜨는 즉시 일찍 걷어주어 햇빛을 많이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저녁에는 일찍 덮어주어 보온력을 높이도록 한다.

  ○ 눈이 많이 내릴 때는 시설 지붕 위에 눈이 쌓여 시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우스 주변의 배수로를 잘 정비하여 하우스 안이 습기가 높지 않도록 관리한다.

  ○ 오이·토마토·풋고추 등 열매채소는 야간 최저온도를 12℃ 이상, 상추 등 잎채소는 8℃ 이상 유지되도록 보온 또는 가온을 해 주도록 한다.

  ○ 겨울철 물주기는 점적관수를 이용하여 오전 중에 주도록 하고, 하우스 안의 습도가 높지 않도록 환기관리를 잘한다.


 나. 마늘·양파

  ○ 마늘·양파와 같은 월동채소는 눈이나 비가 올 때 습해를 받지 않도록 배수로를 잘 정비해 준다.

  ○ 월동작물의 보온을 위하여 피복한 비닐은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흙으로 잘 덮어준다.

 

 

과   수

  ○ 아직까지 월동대책을 세우지 못한 농가는 동해를 받기 쉬운 원줄기와 주지를 백색 페인트 또는 짚으로 싸서 보호한다.

  ○ 내한성이 약한 포도나무는 땅에 묻거나 싸매주며 어린나무, 세력이 약한 나무는 짚 등으로 땅에서부터 1m 정도 부위까지 싸맨 후 30㎝ 정도 흙으로 덮어서 동해를 받지 않도록 한다.

  ○ 조류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씌워 두었던 방조망은 적설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양측면으로 걷어둔다.

  ○ 과실 저장 중에 발생하는 에틸렌가스, 이산화탄소 등 유해가스가 저장고 안에 차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환기를 실시해 주도록 한다.

  ○ 현재 저장 중인 과실을 수시로 살펴보아 썩는 과실은 골라내고 연약한 과실이 많을 경우에는 빨리 출하토록 한다.

 

 

화    훼

  ○ 시설 화훼를 재배하고 있는 농가는 하우스 보온관리에 힘쓰도록 한다.

  ○ 시설화훼 재배에 있어 낮과 밤의 온도차가 심하면 꽃의 종류에 따라 생육이 정지되거나 불량 꽃이 발생되는 등 생리장해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알맞은 환경관리를 해 주도록 한다.

  ○ 꽃노랑총채벌레, 온실가루이 등 외래해충은 농약에 대한 내성이 크기 때문에 계통이 다른 약제를 번갈아 가며 뿌려 방제하도록 한다.

 

 

 버    섯

 가. 느타리버섯 재배관리

  ○ 겨울철 느타리버섯 재배는 밤과 낮의 온도차가 많이 나므로 재배사와 배지의 온도가 저온기 품종에 알맞은 10 16℃ 정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보온관리와 아울러 단열시설을 보완하여 주도록 한다.

  ○ 또한 균상이 마르지 않고 85% 정도의 습도가 유지되도록 하면서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항상 유입되도록 관리한다.

  ○ 버섯 자실체에 수분이 오랫동안 머물지 않도록 환기관리를 잘하여 세균성갈변병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축    산

 가. 가축 사양관리

  ○ 기온이 떨어지면 체온유지를 위해 영양소 요구량이 10 30% 정도 증가하므로 사료는 기준량보다 조금 늘려 급여하고, 소가 언 사료를 먹지 않도록 사료를 잘 보관하는 것은 물론 사료가 남아있는 사료조에 물이 들어가거나 침 등이 묻어 얼지 않도록 한다.

  ○ 너무 찬 물을 젖소에게 먹이면 젖소의 체온을 떨어뜨려 사료낭비와 호흡기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가온급수기나 지하수를 직접 활용하여 너무 차지 않은 물을 충분히 먹을 수 있도록 해 주며, 급수기나 보온을 위해 사용하는 단열재와 히터 등이 가축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 저온·건조한 환경에서는 돼지의 호흡기질병이 많이 발생하므로 돈사 통로를 자주 소독해 주고 항상 바닥이 촉촉한 상태를 유지하여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으로 인한 호흡기질병에 대비하도록 한다.

  ○ 겨울철 육추시에는 급온기의 갑작스런 고장으로 인해 병아리가 압사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급온기의 작동상태를 수시로 점검해야 하며, 특히 보온에 신경을 쓰다 보면 닭장 안이 건조해져 습기부족으로 병아리가 탈수증이나 호흡기질병에 걸리기 쉬우므로 10일령까지 65 75%의 습도를 유지해 주고 그 후에는 약간 건조한 상태로 관리를 하도록 한다.

  ○ 겨울철 기온이 떨어지면서 온풍기, 열풍기, 환풍기 등의 가동이 늘어나 전기시설에 과부하가 걸려 축사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화재 예방을 위해 축사 전기시설의 규격전선 사용과 노후전선 점검은 물론 난로나 열풍기 주위에는 가연물을 방치하지 말아야 하고, 축사 부근에는 어린이 불장난이나 용접작업을 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 특히 소화기나 소화수를 비치하고, 화재시에는 119로 침착하고 정확하게 신고하여야 한다.


 나. 초지 사료작물 관리

  ○ 내년에 필요한 조사료 소요량을 파악하여 초지 및 사료작물 재배 등 조사료 생산계획을 세우며, 새로 조성한 초지는 따뜻한 날 낮에 롤러로 진압을 하여 서릿발 피해를 방지한다.

  ○ 월동용 주요 조사료인 담근먹이는 평평하게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위에서부터 10 20㎝ 이상 두께로 꺼내어 먹이고 마무리는 반드시 두꺼운 비닐 또는 보온덮개로 덮어주도록 한다.


 다. 가축 위생관리

  ○ 조류인플루엔자의 확산 방지를 위하여 매일 가축을 관찰하여 질병이 발견되었을 때는 방역당국에 즉시 신고하고 감염된 가축을 절대로 판매하거나 자체 처리해서는 안 되며, 축사출입을 철저히 차단한다.

  ○ 악성가축전염병 방지를 위하여 수요일에는 축사 안팎을 철저히 소독하고, 평상시에도 외부인이 축사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통로를 차단하고 매일 가축을 관찰하여 전염병이 발견되면 방역당국(1588 4060)에 즉시 신고해야 한다.

  ○ 겨울철에 분만하는 송아지는 보온과 환기에 특히 주의하며 기침, 설사를 하는 송아지는 격리시켜 치료하고, 배설물은 신속히 제거한 후 주위를 소독한다.

  ○ 해마다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소 결핵병과 부루세라병 및 광견병은 인수공통전염병으로 쥐나 새 등 야생동물의 축사출입을 차단하고 정기적으로 가성소다 및 페놀 등 소독제를 사용하여 축사 안팎을 소독하고, 자주 혈청검사를 받아 감염우가 발견될 때는 즉시 도태해야 한다.

  ○ 돼지에서 많이 발생되고 있는 유행성설사와 폐렴 및 오제스키병 등의 질병예방을 위한 적기예방접종을 실시하고 적절한 온․습도 유지와 알맞은 환기관리를 한다.

  ○ 닭 뉴캣슬병과 가금티푸스 등을 줄이기 위하여 출입자와 차량 및 야생조수에 대해 철저한 차단방역을 실시하고 예방프로그램에 따라 정확한 방법으로 백신을 접종한다.

  ○ 대설에 대비하여 축사와 가축분뇨 처리시설을 점검·정비하여 붕괴를 막고 가축분뇨 퇴비장은 기온이 저하됨에 따라 적정량의 수분조절재를 혼합하여 발효가 잘 되도록 해주고 액비저장 탱크에는 발효제를 첨가하거나 폭기를 철저히 하여 부숙이 잘되어 악취가 완전히 제거된 액비를 이용한다.

 

※ 출처 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