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기술정보

농업관측정보


농업기술정보 > 관측정보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제공
제목 2009년 3월 축산관측
내용

<한육우> 한육우pdf

■ 3~5월 한우 수소 가격은 360~370만원 송아지 가격은 소폭 상승 전망

 

  • 송아지 생산 감소로 한육우 사육두수 증가 속도는 둔화 전망
  •  
    • 2008년 한우 정액 판매량은 전년보다 3.3% 감소, 암소 등급판정두수 24.3% 증가
    • 송아지 생산 감소로 3월 한육우 사육두수 240만 8천 두, 6월 256만 5천 두 전망
         전년 동기대비 사육두수 증가율 : (’08.12) 10.4% → (’09.3) 7.5%→ (’09.6) 4.8%

 

  • 수입단가 상승 및 수요 감소로 쇠고기 수입은 크게 감소
  •  
    • 환율 상승, 경기 침체 등으로 2008. 10월 이후 쇠고기 수입 감소세
    • 특히 미국산 쇠고기 수입 감소 폭이 크게 나타남.
         (’08.10) 1만 6천 톤 → (’08.11) 1만 1천 톤→ (’08.12) 6천 톤→(’09.1) 4천 톤

 

  • 설 명절 이후 한우 산지가격은 약보합세
  •  
    • 2009. 2월 한우 산지가격은 수소 373만원(전월대비 0.9% 하락), 암소 457만원(1.0% 하락)

 

  • ‘09. 3~5월 큰소 가격은 약보합세, 송아지 가격은 소폭 상승 전망
  •  
    • 쇠고기 소비 감소로 수소가격 360~370만원(전분기 대비 2.2% 하락), 암소 450~460만원(0.5% 하락) 전망
    • 사료가격 하락시 송아지 입식수요 증가로 수송아지 160~170만원(8.0% 상승) 전망

 

  • 거세비육을 통한 고급육 생산에 집중하여 농가소득 증대해야
  •  
    • 고급육은 저급육에 비해 가격 하락 폭이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남.
    • 거세비육을 통해 고급육 생산에 전념하여 농가소득 증대 필요

 

<젖소> 젖소pdf

■ 쿼터량 축소로 2분기 원유 생산량 2.4% 감소 전망 육우고기 소비 확대 노력 절실

 

  • 젖소 사육두수 감소세 지속되지만, 감소 폭은 완화 전망
  •  
    • 2009년 1세 미만 두수가 감소하여 6월까지 사육두수는 전년 동기보다 감소하지만, 도축두수도 감소하여 사육두수 감소 폭은 완화될 전망
    • 3월 사육두수 44만 4천 두(전년 동월 대비 1.2% 감소), 6월 44만 2천 두(0.6% 감소) 전망
    • 정부가 육우대책을 발표한 2009년 1월 이후 초유떼기 암송아지 가격은 소폭 상승(2월 20일 현재 7만 9천원)

 

  • 원유 생산량은 전년대비 감소 전망
  •  
    • 착유우 두수 감소와 쿼터량 축소로 2009년 원유 생산량은 감소 전망
    • 1분기 원유 생산량은 53만 6천 톤(전년 대비 1.9% 감소), 2분기 54만 7천 톤(2.4% 감소) 전망

 

  • 우유 소비 부진에도 불구하고 분유 재고는 감소
  •  
    • 2009년 1월 시유 판매량은 전년 동월보다 11.5% 감소에도 불구하고 생산량 감소 및 수입량 감소로 2009년 1월 분유재고량은 전년 동월보다 12.7% 감소

 

  • 사료가격 하락할 경우 ‘11년에 두당 10∼42만원 소득 예상
  •  
    • 사료가격이 2008년 평균보다 5∼10% 하락할 경우 2011년 두당 10∼42만원 소득 발생
    • 전문판매점 확대, 품질 고급화, 자조금 사업 활성화 등 육우고기 수요 확대에 노력 필요

 

<돼지> 돼지pdf

■ 3~5월 돼지 지육가격 kg당 4,600~4,700원 전망 모돈 수 감소로 출하두수 감소, 수입량 감소 전망

 

  • 모돈 수 감소로 3월, 6월 돼지 사육두수는 전년 동월보다 감소 전망
  •  
    • 사료비 부담으로농가 폐업이 증가하여 2008년 9~12월 모돈 수는 9.1% 감소
    • 자가조직백신 시행으로 폐사두수 감소 폭이 완화되어 3월 사육두수 전년 동월 대비 1.7% 감소한 883만두, 6월 사육두수 3.5% 감소한 884만 두 전망

 

  • 3~5월 돼지고기 공급량은 전년 동기보다 12% 감소 전망
  •  
    • 사육두수 감소로 3~5월 돼지 출하두수 전년 동기 대비 5.7% 감소 전망
    • 환율 급등, 원산지 표시제 시행 등으로 돼지고기 수입량은 감소세 지속 전망

  

  • 3~5월 돼지 지육 가격은 kg당 4,600~4,700원 전망
  •  
    • 생산량 감소, 수입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돼지고기 수요 증가로 3~5월 돼지 지육 가격은 전년 동기보다 22% 정도 높은 kg당 4,600~4,700원전망(산지가격 31만 3천 원~32만 6천 원/100kg)
    • 광우병 논란에 따른 수입 쇠고기에 대한 소비 심리 불안이 해소되고 재고 누적에 따른 할인 판매 심화되면 돼지고기 가격은 전망치보다 낮게 형성될 가능성

 

■ 구제역 대비  차단방역 철저히 해야

 

<산란계> 산란계pdf

■ 3~5월 계란 가격 900~1,100원 전망 노계 도태 지연되면 가격 큰 폭 하락

 

  • 산란 실용계 병아리 입식 증가로 6월 사육수수 전년보다 4.3% 증가 전망
  •  
    • 3~5월 계란 생산에 신규 진입하는 계군은 643만수로 전년 동기보다 14.9% 증가
    • 실용계 병아리 입식이 증가하여 3월과 6월 산란용 마리수는 전년 동기보다 각각 4.0%, 4.1% 증가 전망
    • 6월 산란계 사육수수 또한 전년 동월보다 4.3% 증가한 6,229만수 전망

 

  • 산란용 마리수 증가로 3~5월 계란 생산량은 전년 동기보다 3.2% 증가
  •  
    • 3~5월의 계란 생산량에 영향을 미치는 2008년 9~11월 병아리용 배합사료 생산량은 전년 동기보다 3.2% 증가한 8만 2천 톤
    • 병아리용 배합사료 생산량과 산란용 마리수 증가로 3~5월 계란 생산량은 전년 동기보다 3.2% 증가 전망

  

  • 3~5월 계란 가격은 900~1,100원, 4월 중순 이후 약세 전망
  •  
    • 산란용 마리수 증가로 계란 생산량이 증가하여 가격의 하락 요인이 되지만, 사료가격 상승분이 반영되어 3~5월 계란 가격은 900~1,100원으로 전망
    • 노계 도태가 지연될 경우 4월 중순(부활절 특수) 이후 계란 가격의 하락 폭이 클 전망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대비 차단 방역 철저히 해야!

 

<육계> 육계pdf

■ 육계 가격 1,800~2,000원 전망

 

  • 3월 사육수수는 전년 동월보다 4.1% 감소한 6,428만 수 전망
  •  
    • 2009년 1월 육용 종계 산란율은 2008년 평균보다 5.5%p 하락, 2월 병아리 발생률은 전년 동월대비 2.5%p 하락하는 등 종계 생산성이 현저히 저하
    • 종계 생산성 저하로 2월 병아리 생산수수는 4,175만 수로 전년 동월보다 4.1% 감소
    • 병아리 생산수수 감소로 3월 육계 사육수수도 4.1% 감소한 6,428만 수 전망

 

  • 3월 닭고기 공급량은 전년 동월대비 13.4% 감소 전망
  •  
    • 3월 도계수수는 2008년보다 3.9% 감소한 4,733만수 전망, 냉동 비축물량도 감소
    • 환율 급등의 영향으로 3월 수입량은 전년보다 크게 감소한 2천 톤(약 260만 수) 추정
    • 3월은 학교 급식 수요 증가로 2월보다 닭고기 소비가 증가하는 시기

 

  • 공급 감소로 3월 육계 가격은 전년보다 25~38% 상승 전망
  •  
    • 닭고기 공급이 감소하여 3월 육계 가격은 전년 동월대비 25~38% 상승한 1,800~2,000원 전망
    • 종계 환우 계군의 도태가 지연되고 종란 생산에 가담할 경우 육계 가격 강세는 지속되기 힘들 것으로 예상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 대비 차단방역 철저히 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