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기술정보

농업관측정보


농업기술정보 > 관측정보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제공
제목 2009년 04월 버섯관측
내용
 
겨울철 생산 물량 대다수 소비, 환율로 인한 수입감소로 인하여 전반적인 가격은 소폭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톱밥배지 방식 전환 임가가 증가할 듯
지역별로 차이는 있으나 표고자목의 구입 가격이 본당 2,800 3,200원으로 작년보다 5.3% 상승하였고, 종균 구입비는 판당 2,700 3,000원으로 작년대비 10.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의 표고가격에 비하여 표고자목의 가격과 인건비, 물류비 등의 상승으로 수익성이 악화되어 일부 임가들은 톱밥 배지 방식으로 전환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표고자목 및 종균 구입비
 
지역자목구입비(원/본)종균구입비(원/판)
`09년`08년증감율(%)`09년`08년증감율(%)
강원 원주2,8002,800 2,9002,60011.5
경기 화성3,2003,0006.72,7002,5008.0
경북 문경3,0002,8007.13,0002,8007.1
경북 청송3,0002,8007.13,0002,70011.1
경북 구미2,8002,7003.73,0002,50020.0
충북 영동3,0002,8007.13,0002,8007.1
 주 : 지역자문위원 조사치(2월20일~3월5일)
 
신규 접종 희망자 작년 대비 소폭 감소
신규 접종할 골목본수는 작년 대비 비율상 비슷할 것으로 나타났으나, 원목가격의 상승, 노령화, 배지표고 생산의 정착으로 인해 전국적으로 감소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종균의 구성 비율은 저온성 66.2%, 중온성 16.2%, 고온성이 17.6%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작년 대비 중온성과 고온성이 감소하고 저온성 위주의 접종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신규접종의향
 단위 : %
 
년도200720082009
신규접종의향비율54.553.158.4
 주 : 2009, 2008, 2007 년도 표본임가 조사치 (2월 20일 2월 25일)
 
신규 접종 종균의 지역별 구성 비율
 
 주 :표본임가 조사치 (2월 20일 2월 25일)
 
2월 생표고 생산량은 작년과 비슷한 수준
2월 생표고 생산량은 봄철 생산을 위한 억제와 기상여건 변화 등으로 작년 동기와 비슷하였으며 품질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 %
 
구분작년대비 품질 응답율
양호비슷불량
생표고64.235.8
건표고72.727.3
 주 : 표본임가 조사치 (2월 20일 2월 25일)
 
3월 하순 4월 중순의 표고 생산량은 소폭 감소할 듯
일본 수출물량 확보로 건표고 가격이 상승하게 되어 건표고 생산량은 소폭 증가할 것인 반면 생표고 생산량은 감소하여 전체적인 표고 생산량은 소폭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2월 상순 생표고 가격은 하락, 2월 중순 이후는 소폭 상승하였음
2월 상순 생표고 가격은 작년 동기보다 32% 정도 하락하였으나 중순 이후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락시장의 2월 반입량은 작년 동기보다 13%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표고의 2월 평균 도매가격은 4kg당 특품 29,664원, 상품 20,995원, 중품 13,927원, 하품 17,656원이며 반입량의 증가와 소비 부진으로 인하여 가격하락폭이 크게 나타났다.
 
생표고의 월별 평균 도매가격과 반입량
 단위: 원/4kg, 톤
 
년도구분1월2월3월
'09특품47,22229,66428,746
상품33,75220,99521,142
중품24,51313,92714,607
하품17,6568,0048,655
반입량32943087
'08특품34,19343,28234,124
상품24,51331,54822,280
중품16,40821,03114,374
하품9,44812,5507,841
반입량581381620
 

주1: 월별 가격은 가락시장 일일 도매가격의 월별 평균가격을 의미함.
주2: 3월 자료는 3월 5일까지의 자료임.
자료: 가락시장

 
생표고의 가락시장 반입량 변화
 
 자료: 가락시장
 
3월 중순 이후 생·건표고 가격은 소폭 상승할 전망
종균 접종의 어려움으로 3월 중순 이후 전반적으로 생산량이 감소할 것으로 보이며, 겨울철에 생산된 물량이 대다수 소비되고, 환율문제로 중국산 수입량이 감소하여 생표고와 건표고 가격은 소폭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생표고(중품)의 일일 도매가격 동향
 
 자료: 가락시장
주1: 일일가격은 5일 이동평균가격임.
주2: 평년가격은 2004 2008년의 가격 중 최대치, 최소치를 제외한 평균가격임.
 
 
1~2월의 생표고 수입량 크게 증가
작년 동월 대비 1∼2월 낮은 기온으로 국내 생표고 생산량이 적어 생표고 수입이 작년 동기보다 2.1배 증가하였다. 1 2월 동안 중국산 수입량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표고의 2월 누계 수입량은 80톤으로 작년보다 48% 감소하였고, 조제표고의 2월 누계 수입량은 201톤으로 작년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실적(남북교역량 포함)
 단위 : 톤
 
년도구분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누계
'09생표고223(108) 331
건표고166(80) 246
북한산0(0) 0
조제
표고
368(201) 569
'08생표고12432297411810193740430615
건표고466142196282282223101222)75571661052,335
북한산691458134779683112590532
조제
표고
4502044626032272042103071844063803383,973
'07생표고73891102210150801030267
건표고217176105195224142142531052152782052,058
북한산108106361011378534003916587899
조제
표고
314394209575273329271203253

391

4344404,054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관세청(www.customs.go.kr). 통일부(www.unikorea.go.kr).
주1: 2월( )의 수입실적은 관세청 잠정 추계치임.
주2: 남북교역을 통한 북한산 표고버섯(건표고)의 연간 반입한도는 800톤임.

 
3월 중순 이후 수입량은 감소할 듯
국내 주 수입국인 중국 최대 생산지 절강성의 표고 생산량이 현재 감소하였고, 품질 저하로 인하여 생표고 수입량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3월 중순 이후 건표고 수출량 증가할 듯
2월 건표고 수출량은 작년 동기보다 44.6% 증가하였으며 2월까지의 누계 수출량도 작년보다 35.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월 생표고 수출량은 매우 적었고 조제표고의 수출량은 현재까지 없는 상태이다.
원화절하로 인한 가격 경쟁력 상승으로 3월 중순 이후 건표고 수출량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건표고의 월별 수출량 동향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1월 톱밥배지 수입량 감소
1월의 톱밥배지 수입량은 작년 동기보다 89.2% 큰 폭으로 감소하였는데 국내에서 생산된 배지로 대체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톱밥배지 수입실적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신규 접종 희망자 작년 대비 소폭 감소
자목가격의 상승, 노령화, 배지표고 생산 희망 등으로 전국적 감소 추세, 종균 접종에 있어서 저온성 위주의 접종 희망
 
3월 하순 ∼ 4월 중순의 표고 생산량 소폭 감소
건표고 가격 상승으로 건표고 생산량은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반면 생표고 생산량은 감소 전망
 
3월 중순 이후 생·건표고 가격은 소폭 상승할 전망
종균 접종 감소와 겨울철 생산된 물량이 대다수 소비되고, 고환율로 중국산 수입량이 감소하여 생표고와 건표고 가격은 소폭 상승 예상
 
3월 중순 이후 수입량 소폭 감소, 수출량 증가 전망
중국 최대 생산지 절강성의 표고 생산량 감소와 품질저하로 생표고 수입량은 감소할 것으로 보이며, 원화절하로 인한 가격 경쟁력 상승으로 건표고 수출량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
 
 

2009년 2월 현재까지 원목 5품종, 톱밥 4품종이 신품종보호 출원을 받았다. 원목재배용 품종으로 산림9호, 산조103호, 산조108호, 산조109호, 산림7호가 출원되었으며, 톱밥재배용 품종으로는 하나참, 산조702호, 산조701호, 산림10호가 출원되었다.

(문의처 : 산림청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품종심사과, 043 850 3351∼3)

 
 
3월 중순에는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으로 평년보다 기온이 높겠으며 남쪽을 지나는 기압골의 영향으로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3월 하순에는 이동성고기압과 기압골의 영향을 주기적으로 받아 기온 변화가 크겠으나 기온과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4월 상순에는 동서고압대의 기압계 형태를 보이면서 기온은 평년보다 높고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겠음.
 
순별 평균기온 및 강수량 ¹
단위 : ℃,㎜
구분서울강릉대전대구전주광주부산제주
3월중순최고기온10.310.511.612.912.012.513.112.2
최저기온1.11.40.12.00.71.54.65.4
강수량12.417.516.5163417.122.328.932.2
3월하순최고기온12.312.013.614.613.914.314.113.4
최저기온2.93.02.03.92.53.36.16.8
강수량17.826.423.219.923.525.232.429.3
4월상순최고기온15.415.416.617.717.017.116.215.5
최저기온5.635.44.15.94.75.47.98.3
강수량21.525.827.823.125.930.340.030.5
주: 1) 1971~2000년의 평균치임

※ 출처 농촌진흥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