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기술정보

농업관측정보


농업기술정보 > 관측정보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제공
제목 5월 버섯관측
내용

 

 
 

 
자가벌채 생산비율 매년 소폭 증가
표고자목 가격 상승으로 인한 생산비 증가로 자가벌채 비율이 매년 소폭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경기 66.7%, 전남 63.9%로 자가벌채 비율이 높고, 전북, 충남은 해당 시?군에서 구입하는 비율이 각각 66.7%, 60.2%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자목구입 방법은 지역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고자목 및 구입방법
 
 자료 : 표본임가 조사치(2009년 3월 25일 4월 2일, 2008년 3월 25일 4월 3일)
 
3월 생표고 생산량은 작년보다 감소, 품질은 다소 불량
생표고 및 건표고 생산량은 작년 동기대비 각각 9.4%, 8.1% 감소하고, 품질은 다소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제주와 영남 지역의 생산량이 많이 감소하였는데, 이는 표고자목의 노목 비율이 높고 잦은비, 꽃샘추위, 바람 등 기상여건이 좋지 못했기 때문이다.
 
3월 표고 생산량 증감률(작년대비)
 단위 : %
 
생산량 증감률 구분생표고건표고
전국 9.4 8.1
경기 4.9
강원 6.0 2.6
충청 8.7 1.9
호남 8.6 8.8
영남 15.2 11.8
제주 15.8 18.7
 자료 : 표본임가 조사치(2009년 3월 25일 4월 2일)
 
3월 표고 품질 응답률
단위 : %
 
구분작년대비 품질 응답률
양호비슷불량
생표고34.223.342.5
건표고19.438.941.7
 자료 : 표본임가 조사치(2009년 3월 25일 4월 2일)
 
4월 중순 이후 표고 생산량 작년대비 감소할 듯
4월 중순 이후 전체적인 표고 생산량은 작년보다 소폭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매년 접종량이 감소하였고, 고온, 가뭄 등으로 생표고 생산량은 작년보다 감소폭이 클 것으로 보이는 반면, 건표고 생산량은 작년 건표고의 가격 호조로 소폭 증가할 전망이기 때문이다.
 
 
4월 중순 이후 생표고 가격 작년보다 상승할 듯
3월 생표고 반입량은 표고생산량 감소로 작년 동기대비 19.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4월 중순 이후 가격은 이상기온에 의한 생표고 생산량 감소로 작년 동기대비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생표고 월별 평균 도매가격과 반입량
 단위: 원/4kg, 톤
 
년도구분2월3월4월
'09특품29,66432,19949,139
상품20,99523,25432,589
중품13,92715,41422,398
하품8,0048,66012,493
반입량43050167
'08특품43,28234,12430,255
상품31,54822,28020,833
중품21,03114,37413,177
하품12,5507,8416,896
반입량381620626
 

자료 : 가락시장
주1 : 월별 가격은 가락시장 일일 도매가격의 월별 평균가격을 의미함.
주2 : 4월 자료는 4월 5일까지의 자료임.

 
생표고(중품)의 일일 도배가격 동향
 
 자료: 가락시장
주1: 일일가격은 5일 이동평균가격임.
주2: 평년가격은 ‘04 ’08년의 가격 중 최대치, 최소치를 제외한 평균가격임.
 
4월 중순 이후 건표고 가격 작년보다 높을 듯
장흥 지역의 첫 입찰은 작년보다 늦은 3월 3일에 있었으며, 입찰 평균가는 90,000원/3.75㎏으로 작년보다 높게 형성되었다.
 
4월 중순 이후 건표고 가격은 수출량 증가로 작년 동기대비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건표고 월별 입찰 동향
 
년도등급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09백화고 380
흑화고 260
동고 105
향고 86
향신 70
등외 45
입찰물량 31.0
`08백화고398 540525520 394322
흑화고235 310286260 243206
동고98 719198 8597
향고66 688287 8374
향신55 678491 9897
등외37 254345 4641
입찰물량13.5 22.961.417.3 13.514.9
 자료: 장흥 유치농협
주: ‘09년 3월 입찰가격은 장흥 유치농협의 3월 18일 입찰가격임
 
 
4월 중순 이후 건표고 수출량 소폭 증가할 듯
대만, 홍콩으로의 대량 수출로 3월 건표고 수출량은 작년 동기보다 5.1% 증가한 26.3톤으로 나타났다.
최근 원화 약세 등으로 소립 동고에 대한 대만에서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4월 중순 이후 건표고 수출량은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호주, 북마리아나제도, 캐나다로 수출된 생표고 3월 수출량은 0.36톤으로 매우 미미하였으며, 조제표고의 수출량은 현재까지 없는 상태이다.
 
건표고의 월별 수출량 동향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4월 중순 이후 생표고 수입량 감소할 듯
위안화 강세로 국내 도착가격이 크게 증가하고, 중국내 물량 감소로 3월 생표고 수입량은 전년 동기대비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표고버섯의 주산지인 절강성, 복건성의 표고 생산이 마무리 됨에 따라 수출 물량 부족으로 4월 중순 이후 생표고 수입량은 감소할 전망이다.
3월 건표고 및 조제표고의 수입량은 각각 전월 보다 32.3%, 31.7% 감소하였으나 4월 중순 이후에는 소폭 증가할 전망이다. 이는 3 4월 기온 이상으로 인하여 국내 건표고 생산량이 크게 감소하였고, 조제표고의 경우 외식업에서의 소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수입실적(남북교역량 포함)
 단위 : 톤
 
년도구분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누계
'09생표고223108(37) 368
건표고16680(132) 378
조제
표고
368201(327) 896
'08생표고12432297411810193740430615
건표고466142196282282223101222)75571661052,335
조제
표고
4502044626032272042103071844063803383,973
'07생표고73891102210150801030267
건표고217176105195224142142531052152782052,058
조제
표고
314394209575273329271203253

391

4344404,054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관세청(www.customs.go.kr). 통일부(www.unikorea.go.kr).
주 : 3월( )의 수입실적은 관세청 잠정 추계치임.

 
톱밥배지 생산에 관한 생산자 의식 조사 결과
 
톱밥배지 생산에 대한 긍정적인 의견이 18.5%, 부정적인 의견이 31.3%, 잘 모르겠다는 의견이 50.2%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까지 절반에 가까운 임가들은 톱밥배지 생산방식에 대한 불확실성, 기술 정보 부재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경기지역에서는 60.0%가 ‘긍정적이다’라고 하여 톱밥배지 생산방식에 대한 관심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주로 원목가격, 인건비, 관리 비용 등의 생산비 부담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부정적 의견에 대한 이유로 다수의 실패 사례, 고투자비용, 생산비 절감 및 기술력에 대한 불확실성 등을 들었다.
 
자료 : 표본임가 조사치(3월 25일 4월 2일)
 

일시장소연락처
4월 15일(확정)문경 산동농협054 552 3787
4월 16일(확정)진안 산림조합063 433 2547
4월 27일(확정)문경 산동농협054 552 3787
5월 6일(확정)영동 산림조합043 742 3961
5월 7일(예정)천안 광덕농협041 567 0010
 

 
 
4월 중순과 5월 상순에는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일교차가 큰 날이 많겠으나 전반적인 기온은 평년보다 높겠으며 남쪽을 지나는 기압골의 영향으로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4월 하순에는 상층 한기의 영향으로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겠으며 기압골이 주로 북쪽과 남쪽으로 치우쳐 지나감에 따라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겠음.
 
순별 평균기온 및 강수량
단위 : ℃,㎜
구분서울강릉대전대구전주광주부산제주
4월중순최고기온17.717.619.120.019.219.217.117.3
최저기온7.27.56.27.86.67.19.79.7
강수량26.425.930.628.431.432.245.327.8
4월하순최고기온19.920.021.522.621.721.619.519.1
최저기온9.59.98.610.09.19.511.511.5
강수량29.125.828.823.626.632.850.933.7
5월상순최고기온21.321.222.423.722.822.420.420.3
최저기온10.911.210.011.410.510.712.812.6
강수량36.326.733.829.934.642.264.032.8
주:강수량은 1971~2000년의 평균치임

출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