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기술정보

농업관측정보


농업기술정보 > 관측정보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제공
제목 6월 밤관측
내용
 
 
밤 산지가격은 재고물량 부족으로 추가적인 가격상승이 예상되나 국내경기의 침체 등으로 상승폭은 줄어들면서 평년보다 높게 형성된 현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식재형태 신규조성보다는 보식위주로 진행
 
지금까지 밤 주산지의 식재면적은 약 842.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대비 9.6% 증가한 것이나 신규조성면적은 줄어들고 보식면적이 증가함으로서 주산지의 밤나무 식재는 보식위주로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식재형태별로는 보식 및 갱신면적은 전년대비 14.5%와 17.8%가 증가한 반면 신규조성면적은 전년대비 55% 감소하였다.
  
지역별로는 식재면적의 59%가 충청도에서 이루어졌으며, 신규조성은 충청도와 전라도, 갱신 및 보식은 충청도와 경상남도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밤 주산지별 식재형태 및 증감 율
 단위:㏊, %
 
 
구분합계신규갱신보식
충청도494.021.080.0393.0
경상남도281.54.039.5238.0
전라도66.811.030.525.3
합계842.336.0150656.3
전년대비 증감율9.6 55.014.517.8
 
  
 

자료: 주산지 표본농가 및 통신원조사치(4월 22일∼5월 4일)

 
식재품종 지역적 차이 줄고 품질위주로 전환
 
주산지의 주요 식재품종은 금년도에 보급된 대한, 미풍을 중심으로 갱신 및 보식의 경우 충청도에서는 대보, 석추, 옥광, 경상남도는 유마, 축파, 은기, 전라도는 은기, 옥광, 대보, 병고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조성의 경우 충청도는 병고 57호, 대보, 경상남도는 단택, 유마, 전라도는 대보, 옥광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적으로는 충청도는 대보, 경상남도는 유마, 전라도는 옥광이 많이 식재되었지만 대보, 옥광 등은 품질이 좋아 지역적 차이 없이 공통적으로 선호하는 품종인 것으로 나타났다.
  
밤 주산지별 주요 식재 품종
 단위 : %
 
 
구분신규갱신보식
충청도병고 57호, 대보미풍, 대한. 대보석추, 옥광, 대보
경상남도단택, 유마, 대보유마, 대한, 축파미풍, 대한, 은기
전라도대한, 대보, 옥광은기, 대한, 미풍옥광, 대보, 병고
 
  
 자료: 주산지 표본농가 및 통신원조사치(4월 22일∼5월 4일)
 
남부지역의 재배지 관리 부진 두드러져
작년 수확기이후 정지전정, 간벌, 비배관리 등 밤나무 재배지관리는 전반적으로 55∼71%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배관리가 다소 높게 나타난 반면 정지전정, 간벌 등은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적으로는 경상남도의 경우 정지전정과 간벌, 전라도는 간벌 등 재배지 관리가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지역에 비해 충청도는 전반적으로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산지별 밤나무 관리 동향
 단위: %
 
 
구분전체충청도경상남도전라도
정지전정60804653
간벌55655447
비배관리71786272
 
  
 자료: 주산지 표본농가 및 통신원조사치(4월 22일∼5월 4일)
 
돌발해충관리 철저 필요
밤나무 눈트는 시기는 지역적 차이는 있으나 4월 1일 20일로 예년과 비슷하거나 1주 정도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가뭄이 작년에 이어 계속되고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진딧물 등 돌발 해충이 발생하고 있고 밤나무 눈튼 후 신초지에 위해를 가하는 식엽성 해충의 발생가능성이 높으므로 철저한 병해충관리가 요구된다.
  
밤나무 눈트는 시기
 단위: %
 
 
지역명충청도경상남도전라도
월 일 4월1일 ~ 15일4월 5일 ~ 15일4월 1일 ~ 20일
 
  
 자료: 주산지 표본농가 및 통신원조사치(4월 22일∼5월 4일)
 
 
밤 산지가격 강세 지속
 
밤 상품 평균산지가격은 2월 중순 ㎏당 2,293원으로 다소 하락하였으나 3월 달에는 ㎏당 2,535원, 4월 달에는 ㎏당 2,728원으로 3월 달 대비 8%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대 산지평균가격은 3월 달에는 ㎏당 3,128원으로 작년 동기대비 4%하락하였으나 4월 달에는 ㎏당 3,210원으로 작년 동기대비 6% 상승하였다.
  
5월 상순 밤 상품 산지가격은 ㎏당 2,770원으로 작년과 평년 동기대비 35%와 29%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대 산지평균가격은 ㎏당 3,210원으로 작년 동기대비 16% 상승하였다.
  
주별 밤 소비지가격(상품기준)
 
  
 주 : 평년가격은 ’04년 1월 ’08년 12월까지의 주별 가격 중 최대, 최소를 뺀 평균임.
자료 : 산림조합중앙회
 
월평균 밤 산지가격 동향(상품기준)
 
원/kg
 
연도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 10월11월12월
20092,3502,2932,5352,728(2,770)
20082,1972,3702,2852,1442,0602,1302,2002,2002,0151,9002,0051,980
평년2,1662,2342,2072,0922,1532,2202,1942,2091,7811,8221,9451,897
 
 
주 :5월 가격은 5월 5일까지, 평년가격은 ’04년 1월 ’08년 12월까지의 주별 평균가격 중 최대, 최소를 뺀 평균을 의미하며, 산지가격은 공주, 광양, 부여, 하동, 순창, 순천지역 등의 평균 가격임
 자료 : 산림조합중앙회
 
밤 소비지가격 횡보 거듭
 
밤 상품 소비지가격은 1월 중순이후부터 4월 말 까지 전년 동기대비 24%, 평년 동기대비 16%하락한 ㎏당 4,520원을 유지하며 횡보를 거듭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월 상순 밤 상품 소비지 평균가격은 ㎏당 4,610원으로 전 달보다 다소 상승하였으나 전년 동기대비 14%, 평년 동기대비 10%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별 밤 소비지가격 (상품기준)
 
  
 주 : 평년가격은 ’04년 1월 ’08년 12월까지의 주별 가격 중 최대, 최소를 뺀 평균임
자료 : 산림조합중앙회
  
월평균 밤 소비지가격 동향(상품기준)
 
원/kg
 
연도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 10월11월12월
20094,6054,5204,5204,520(4,610)
20084,8705,2235,5555,9845,3585,3385,1535,1004,9134,8504,8504,850
평년4,8985,2795,2955,4075,1365,1275,1135,1314,8934,8094,9054,884
 
 
주 :3월 가격은 3월 4일까지, 평년가격은 ’04년 1월 ’08년 12월까지의 월별 평균가격 중 최대, 최소를 뺀 평균을, 소비지가격은 서울, 부산, 광주, 대구, 대전, 울산, 인천 등의 평균 가격임
 자료 : 산림조합중앙회
 
밤 산지가격 높은 현 시세 유지할 듯
 
5월 중순 6월 중순 산지가격은 2008년산 밤 생산량 감소와 성수기의 많은 소비로 인한 재고물량 부족으로 추가적인 상승이 예상된다. 국내 경기의 위축과 소비유인요인의 부족 등으로 상승 폭이 줄어들면서 평년보다 높은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밤 수출 증가 전망
 
4월까지 밤의 총 수출량은 409톤, 금액으로는 1,253천불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량은 전년 동기대비 96%, 평년 동기대비 82%가 증가하였다.
  
품목별로는 생밤과 조제밤위주로 수출이 이루어졌는데 생밤이 131톤, 깐밤이 4톤, 조제밤이 274톤 수출되었다. 전년 및 평년 동기대비 생밤은 323%와 363%, 조제밤은 54%와 39%가 각각 증가한 것이다.
  
환율변동 및 중국산 제품의 식품 안정성 파동 등 수출여건이 개선됨에 따라 밤 수출은 조제밤을 중심으로 당분간 증가할 전망이다.
  
밤 수출 실적
 단위 : 톤
 
 
년도1월2월3월4월5월6월7월 8월9월10월11월12월합계
'08생밤6520244 131
깐밤4 4
조제밤121494667 274
'08생밤 314011 575,733 3,84072622710,665
깐밤 0.80.8 392518176511,129
조제밤541842645565406895674879706
평년생밤100.399583756,2494,7981,30612212,686
깐밤 0.30.3488617200191,331
조제밤3345714848852541845510561695
 
  
 
주 :년은 2004년 1월 2008년 12월까지의 월별 값 중 최대, 최소를 뺀 평균이며, 소수점이하는 반올림하였음.
 자료 :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관세청, 농수산물유통공사(www.kati.net)
 
밤 수입 감소 전망
 
4월까지 밤의 총수입량은 1,487톤, 금액으로는 3,012천불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량은 전년 동기대비 49%, 평년 동기대비 37%가 감소하였다.
  
품목별로는 생밤이 488톤, 냉동밤이 1,685톤, 조제밤이 314톤 수입되었다. 전년 및 평년 동기대비 생밤은 28%와 30%, 냉동밤은 41%와 28%, 조제밤은 71%와 56%가 각각 감소하였다.
  
수입은 다양한 용도로 소비되는 냉동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지만 수입량은 수입여건의 악화와 국내 경기의 침체로 당분간 계속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밤 수입실적
 단위 : 톤
 
 
년도1월2월3월4월5월6월7월 8월9월10월11월12월합계
'08생밤14487135122        488
냉동밤26385119218        685
조제밤92408597        314
'08생밤22915013816116760785485 1971261281,573
냉동밤416121270351237339345881403341992543,096
조제밤276197322274236120269144111153130872,319
평년생밤246183149119134636951822031882111,763
냉동밤3611592551831702181591152942482762772,930
조제밤1871481791952221991872131101621791682,332
 
  
 
주 :년은 2004년 1월 2008년 12월까지의 월별 값 중 최대, 최소를 뺀 평균이며, 소수점이하는 반올림하였음
 자료:한국무역협회(www.kita.net), 관세청, 농수산물유통공사(www.kati.net)
 
 
밤나무식재 보식위주로 진행
 
밤나무식재는 노령목, 고사목 등을 대체하는 보식위주로 이루어졌으며 식재품종의 선택도 지역적 특색을 반영한 질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극적인 병해충관리 필요
 
계속되는 가뭄과 기온의 상승으로 돌발해충이 발생하고 있고 신초지에 위해를 가하는 식엽성 해충의 발생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이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지가격 상승세 지속될 듯
 
5월 6월 중순 밤 산지가격은 재고물량의 부족으로 추가적인 상승이 예상되나 특별한 소비수요요인의 부족, 경기침체 등으로 상승폭이 줄어들면서 높게 형성된 현재의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밤 수출 증가, 수입 감소 전망
 
환율변동, 중국산 위해식품파동 등 수출여건개선으로 밤 수출은 당분간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밤 수입은 국내경기의 침체와 함께 감소할 전망이다.
 
 
요약
 
기온 : 평년(13 20℃)과 비슷하겠음. 6월 상순에는 평년보다 높겠음.
 
강수량 :평년(75 200㎜)과 비슷하거나 다소 적겠음. 건조한 날이 많겠으며 지역적인 차이가 크겠음.
 
기압계 전망
 
5월 중순에는 상층 한기 유입 및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 변화가 크겠으나 전반적인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겠으며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겠음. 5월 하순에는 이동성고기압과 기압골의 영향을 주기적으로 받겠으며 기온 및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6월 상순에는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기온이 평년보다 높은 경향을 보이겠으며 남쪽을 지나는 기압골의 영향으로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으나 지역적인 편차가 크겠음.
 
순별예보
 
 
순별
날씨
기온
강수량
 5월중순 맑은 날이 많겠음 평년(12∼18℃)과 비슷하겠음 평년(27∼80㎜)보다 적겠음
 5월하순 맑은 날이 많겠음 평년(13∼20℃)과 비슷하겠음 평년(13∼59㎜)과 비슷하겠음
 6월상순 맑은 날이 많겠음 평년(15∼22℃)보다 높겠음 평년(28∼83㎜)과 비슷하겠음
 
 
순별평균기온 및 강수량¹
단위 : ℃,㎜
 
구분서울강릉대전대구전주광주부산제주
5월중순기온17.117.617.218.417.417.517.317.3
강수량40.431.339.828.836.938.160.935.7
5월하순기온19.118.919.320.219.519.518.618.7
강수량25.526.523.416.622.217.029.219.7
6월상순기온20.519.820.721.620.920.919.720.1
강수량35.034.844.437.751.349.262.233.5
 
 
주 : 1)1971~2000년의 평균치임.

※ 출처 KREI 한국농촌경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