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기술정보

농업관측정보


농업기술정보 > 관측정보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제공
제목 6월 버섯관측
내용
 
 
 
신규 접종목의 철저한 수분관리 필요
 
올해 신규로 접종된 표고자목은 노지에서 39.1%, 하우스에서 60.9%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분 관리는 자연비에 의존 26.9%, 비정기적 급수 39.4%, 정기적 급수 33.7%로 자연비에 의존 비율이 다소 높고 비정기적인 급수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가뭄, 고온 피해 등 이상 기온으로 접종목의 종균 활착률 저하 및 병해충 피해가 우려되므로 비정기적인 급수보다는 5 10일 간격의 정기적인 급수로 수분관리를 철저히 해야 접종목의 종균 활착을 돕고, 여름철 고온기에 발생되는 병해충 피해를 막을 수 있다.
 
신규 접종목의 관리 실태
 단위 : %
 
 
 노지관리하우스내 관리
자연바에 의존 23.83.1
비정기적 급수 18.121.3
정기적인 급수 5.628.1
 
  
 자료 : 표본농가 조사치(4월 21일 ~ 5월 4일)
 
4월 생산량은 감소, 품질은 비슷한 편
 
생표고 및 건표고 생산량은 작년 동기대비 각각 12.1%, 9.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작년 신규 접종목이 감소하였고 높은 노목 비율과 가뭄 및 고온 현상 등 기상 여건이 좋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표고 재배 임가에서는 기상 여건 악화에 따른 재배관리를 철저히 하여 생표고 품질은 작년에 비해 다소 양호하고, 건표고 품질은 비슷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4월 생표고 생산량 증감률(작년대비)
 단위 : %
 
 
생산량 증감률 구분생표고건표고
강원 15.7
경기 8.30.8
충북 14.4 7.7
충남 16.0 4.9
전북 6.6 10.7
전남 9.7 20.6
경북 8.9 1.7
경남 10.1 6.7
제주 10.7 28.4
 
  
 주1: 표본농가 조사치(4월 21일 ~ 5월 4일)
주2: ‘ ’는 무응답임
 
3월 표고 품질 응답률
 단위 : %
 
구분작년대비 품질 응답률
양호비슷불량
생표고40.435.324.3
건표고34.850.714.5
  
 주: 표본농가 조사치(4월 21일 ~ 5월 4일)
 
5월 중순 이후 표고 생산량 작년보다 감소 전망
 
작년 신규 접종목의 감소와 노목 비율의 증가로 5월 중순 이후의 전체적인 표고 생산량은 작년보다 약 17.1%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품질은 수분관리 등 골목에 대한 철저한 관리로 비슷할 것으로 전망되나 고온 현상 등 초여름 기상 여건에 따라 달라질 가능성도 있다.
 
톱밥배지 방식에 의한 생산량은 6월부터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본격적인 출하는 9월 이후에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5월 중순 이후 생표고 가격은 강보합세 유지할듯
 
4월 생표고 가격은 작년 동기대비 26.4% 반입량 감소로 작년 동기 및 평년 수준보다 높게 형성되었다.
 
생표고의 4월 평균 도매가격은 4㎏당 특품 38,032원, 상품 26,644원, 중품 18,389원, 하품 10,679원이며 중품 기준으로 작년 동기보다 39.6% 상승하였다.
 
5월 중순 이후 생표고 가격은 이상기온에 의한 생표고 생산량 감소로 강보합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생표고 월별 평균 도매가격과 반입량
 단위: 원/4kg, 톤
 
 
년도구분3월4월5월
'09특품32,19949,13932,618
상품23,25432,58921,437
중품15,41422,39815,513
하품8,66012,4939,375
반입량50146061
'08특품34,12430,25539,484
상품22,28020,83328,491
중품14,37413,17717,719
하품7,8416,8968,653
반입량620626528
 
  
 

자료 : 가락시장
주1 : 월별 가격은 가락시장 일일 도매가격의 월별 평균가격을 의미함.
주2: 5월 자료는 5월 4일까지의 자료임.

 
생표고(중품)의 일일 도배가격 동향
 
 자료: 가락시장
주1: 일일가격은 5일 이동평균가격임.
주2: 평년가격은 ‘04 ’08년의 가격 중 최대치, 최소치를 제외한 평균가격임.
 
5월 중순 이후 건표고 가격 상승할 듯
 
이상기온으로 4월 입찰 물량은 작년 대비 감소하였으며, 홍콩 수출로 동고 및 향고 가격은 높게 형성되었고, 중국산 물량 감소로 홍콩 수출이 증가하고 있어 건표고 가격은 5월 중순 이후에도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건표고 월별 입찰 동향
 단위 : 천원/3.75kg, 톤
 
년도등급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09백화고 420478
흑화고 248270
동고 99110
향고 7988
향신 6972
등외 4143
입찰물량 31.974.5
`08백화고398 540525520 394322
흑화고235 310286260 243206
동고98 719198 8597
향고66 688287 8374
향신55 678491 9897
등외37 254345 4641
입찰물량13.5 22.961.417.3 13.514.9
  
 자료: 장흥 유치농협
 
 
5월 중순 이후 생ㆍ건표고 수입량 감소할 듯
 
4월 생표고의 수입량은 국내 생표고 가격 상승으로 작년 동기보다 9.4% 증가한 45톤이고, 건표고 및 조제표고는 중국내 가격 상승에 따른 수출 감소 영향으로 수입량은 각각 201톤, 353톤으로 작년 동기보다 각각 28.8%, 39.6% 감소하였다.
 
3월 북한산 건표고의 반입량은 31톤으로 작년 동기 대비 23.3% 감소하였으며, 3월까지 누계 반입량은 170톤이다.
 
4월 생표고 수입량은 다소 증가하였으나, 5월에는 국내 소비 부진, 중국내 물량 감소로 생표고 및 건표고 수입량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수입실적(남북교역량 포함)
 단위 : 톤
 
 
년도구분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누계
'09생표고22310837(45) 413
건표고16680164(201) 750
조제
표고
368201327(353) 1,249
'08생표고12432297411810193740430615
건표고466142196282282223101222)75571661052,335
조제
표고
4502044626032272042103071844063803383,973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관세청(www.customs.go.kr). 통일부(www.unikorea.go.kr).
주1 :4월( )의 수입실적은 관세청 잠정 추계치임.
주2 : 건표고는 북한산 건표고 수입량을 합산한 교역량임.

 
5월 중순 이후 건표고 수출 증가할 듯
 
4월의 건표고 수출량은 22.7톤으로 작년 동기보다 83.4% 증가하였고, 4월 까지 총 수출량은 작년 대비 33.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4월 수출 물량은 홍콩으로 56.1% 수출되었다.
 
4월 생표고 수출량은 0.6톤으로 매우 미미하였으나, 4월까지 꾸준히 수출을 유지하고 있으며 주로 호주와 미국으로 수출한 생표고는 4월에는 미국으로 주로 수출하였다.
 
5월 중순 이후 건표고의 수출량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중국산 표고버섯의 물량 감소와 중국내 건표고 가격 상승으로 일본 및 홍콩 시장에 대한 수출 약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건표고의 월별 수출량 동향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일본 표고버섯 'HS607' 품종보호출원
 
품종보호 대상작물이란 종자산업법에 의해 신품종으로 출원?등록되어 타인의 무단 증식 등으로부터 법적인 보호를 받을 수 있는 대상을 말한다. 일본은 국립종자원에 ‘HS607' 품종보호출원을 했고 지난 4월 15일 품종명칭등록출원공고되어 2010년부터 이를 재배하는 표고임가들의 품종사용료(로열티) 부담이 커질것으로 예상된다.
 
 
 
5월 중순에는 상층 한기 유입 및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 변화가 크겠으나 전반적인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겠으며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겠음. 5월 하순에는 이동성고기압과 기압골의 영향을 주기적으로 받겠으며 기온 및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6월 상순에는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기온이 평년보다 높은 경향을 보이겠으며 남쪽을 지나는 기압골의 영향으로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으나 지역적인 편차가 크겠음.
 
순별 평균기온 및 강수량
단위 : ℃,㎜
 
구분서울강릉대전대구전주광주부산제주
5월중순최고기온22.322.423.324.523.623.421.421.1
최저기온12.412.611.612.611.912.313.913.5
강수량40.431.339.828.836.938.160.935.7
5월하순최고기온24.523.825.526.725.825.622.722.5
최저기온14.414.113.514.313.814.115.215.3
강수량25.526.523.416.622.217.029.219.7
6월상순최고기온25.824.426.527.526.726.623.523.8
최저기온16.115.615.516.415.816.016.616.7
강수량35.034.844.437.751.349.262.233.5
 
 
주:강수량은 1971~2000년의 평균치임

출처 KREI한국농촌경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