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기술정보

농업관측정보


농업기술정보 > 관측정보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제공
제목 6월 축산관측
내용

 <한육우> 한육우pdf

■ 6~8월 한우 산지가격 전반적 상승세 전망 사육두수 증가세도 지속

 

  • 한육우 사육두수 증가세 지속 전망
  •  
    • 사료가격 인하 기대에 따른 송아지 입식수요 증가로 사육두수 증가세 지속 전망
    • 6월 한육우 사육두수 258만 5천 두, 9월 261만 2천 두 전망

 

  • 쇠고기 수입량 전년대비 감소, 한우고기 수요 증가
  •  
    • 환율 상승 등으로 1∼4월 쇠고기 수입량은 전년대비 2.8% 감소
    • 거세우 비중 감소로 한우 1등급 출현율은 소폭 하락    거세우 비중 2008년 67.8%→2009년 63.9%, 1등급 출현율 54.0%→53.6%
    • 저가 정육점형 식당 증가 및 음식점 원산지 표시제 시행으로 한우고기 수요는 전년대비 증가

 

  • 한우 전국 평균 산지가격 전반적 상승세
  •  
    • 2009. 5월(1∼21일) 한우 전국 평균 산지가격은 수소 372만원(전년대비 1.4% 상승), 암소 467만원(4.9% 상승), 수송아지 195만원(11.9% 상승), 암송아지 171만원(2.9% 상승)

 

  • ‘09. 6~8월 한우 전국 평균 산지가격은 4∼6% 상승 전망
  •  
    • 한우고기 수요 증가로 수소가격 410~420만원(전년 대비 3.9% 상승), 암소 495~505만원(6.6% 상승) 전망
    • 사료가격 인하 기대 등으로 송아지 입식수요가 증가하여 수송아지 산지가격은 195~205만원(5.1% 상승) 전망

 

  • 농가소득 증대를 위해 거세비육을 통한 고급육 생산에 집중할 필요
  •  
    • 1++등급은 3등급보다 87%나 높은 도매가격(전국 평균 18,246원/kg)을 형성
    • 거세비육을 통해 고급육 생산에 전념하여 농가소득 증대 필요

 

<젖소> 젖소pdf

■ 사료급여 줄어 3분기 원유 생산량 4.6% 감소 전망 분유재고는 전년 대비 24% 감소

 

  • 젖소 사육두수 감소세 지속되지만, 감소 폭은 완화 전망
  •  
    • 금년 사육두수는 전년보다 감소하지만, 젖소 산유능력 저하에 따라 쿼터량 충족을 위해 도축여력이 제한되어젖소 사육두수 감소 폭은 완화될 전망
    • 6월 사육두수 44만 5천 두(전년 동월 대비 0.1% 감소), 9월 44만 3천 두(0.5% 감소) 전망
    • 2009년 1월 이후 초유떼기 암송아지 전국 평균 산지가격은 회복세 지속(5월 20일 현재 8만 7천원)

 

  •  원유 생산량은 전년대비 감소 전망
  •  
    • 착유우 두수 감소와 젖소 산유능력 저하로 원유 생산량은 감소 전망
    • 2분기 원유 생산량은 53만 8천 톤(전년 대비 4.0% 감소), 3분기 49만 3천 톤(4.6% 감소) 전망

 

  • 우유 판매 부진에도 불구하고 생산량 감소로 분유 재고는 감소
  •  
    • 2009년 1∼4월 시유 판매량은 전년 동기보다 4.3% 감소
    • 수입량과 원유 생산량 감소에 따라 2009년 4월 분유재고량은 전년 동월보다 23.9% 감소

 

  • 가구당 우유 구매량 지속적인 감소 추세
  •  
    • 2007년 이후 가구당 우유 구매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지만 구매금액은 상승
    • 2009년 3월까지(정확하게는 연초부터 12주까지) 가구당 우유 4주간 평균 구매량은 5.95kg, 4주간 평균 구매금액은 1만 3,930원

 

<돼지> 돼지pdf

■ 6~8월 돼지 지육가격 강세 전망 돼지고기 소비 의향 회복세

 

  • 폐사두수 감소로 6월, 9월 돼지 사육두수는 전년 동월보다 증가 전망
  •  
    • 사료비 부담이 여전하여농가 폐업이 증가함에 따라 2009년 1~3월 모돈 수는 1.0% 감소
    • 자가조직백신 시행으로 폐사두수가 감소하여 6월 사육두수는 전년 동월 대비 1.0% 증가한 925만두, 9월 사육두수 1.7% 증가한 945만 두 전망

 

  • 사육두수 증가에 따라 출하두수 증가, 수입량 증가, 돼지고기 소비의향 회복세 전환
  •  
    • 6∼8월 출하두수는 전년대비 1.1% 증가 전망
    • 환율안정과 높은 국내가격으로 돼지고기 수입량 증가 전망
    • 신종인플루엔자 발생에도 소비량을 줄이지 않겠다는 의향   1차(4.28) 22.2% ⇒ 2차(5.7) 42.8% 급증

 

  • 6∼8월 돼지 전국 공판장 평균 지육가격은 kg당 4,800~4,900원 전망
  •  
    • 생산량 증가, 수입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불안 해소와 국내산 돼지고기 수요 증가로 돼지가격은 상승할 전망
    • 6~8월 돼지 전국 공판장 평균 지육가격은 전년 동기보다 3% 정도 높은 kg당 4,800~4,900원(성돈 110kg 기준 36∼37만원)전망
    • 재고부족에 따른 국내산의 비축 수요가 있는데다 돼지고기 소비의 성수기를 맞게 되므로, 돼지고기 전국 공판장 평균 지육가격은 일시적으로 5천원 돌파 가능성

 

■ 여름철 무더위 사양관리 철저히 해야

 

<산란계> 산란계pdf

■ 6~8월 계란 가격 전년대비 강보합세 전망 산지유통인과 도매상의 비축 수요 여력 충분

 

  • 9월 산란계 사육수수 전년 동월 대비 5.3% 증가한 6,130만 수로 전망
  •  
    • 산란 종계 입식수수가 증가하여 2009년 6월과 9월 사육수수 잠재력은 전년 동월보다 각각 7.1%, 4.6% 높은 것으로 추정
    • 실용계 병아리 입식이 증가하여 6월과 9월 산란계 사육수수는 전년 동월보다 각각 4.3%, 5.3%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산란용 마리수 증가로 6~8월 계란 생산량은 전년 동기보다 5.0% 증가  
  •  
    • 6~8월 계란 생산에 신규 진입하는 계군은 713만수로 전년 동기보다 12.7% 증가
    • 신계군 증가로 6월과 9월 산란용 마리수는 전년 동기보다 각각 4.9%, 5.9% 증가 전망
    • 산란용 마리수 증가로 6~8월 계란 생산량은 전년 동기보다 5.0% 증가 전망

 

  • 계란 유통단계의 비축 수요 여력 충분
  •  
    • 현재 유통단계의 계란 재고 부족한 상태, 평년대비 90% 수준으로 추정
    • 계란 생산량 증가분을 흡수할 수 있을 만큼 비축 수요의 여력은 충분한 것으로 판단

 

  • 비축 수요가 커 6~8월 계란 가격은 1,000~1,200원 전망
  •  
    • 계란 생산량이 증가하여 가격 하락 요인이 되지만, 사료가격 상승분이 반영되고 비축 수요가 커서 6~8월 계란 전국 평균 산지가격(특란 10개)은 전년보다 상승한 1,000~1,200원으로 전망

 

 ■ 추석 명절 이후 가격 급락 우려, 노계 도태 지속되어야

 

<육계> 육계pdf

■ 닭고기 총공급 감소로 6월 육계 가격 강세 전망

 

  • 6월 육계 사육수수는 전년 동월보다 2.0% 증가한 7,699만 수 전망
  •  
    • 2009년 4월 종계 산란율은 2008년 평균(60%)보다 2.0%p 상승, 5월 병아리 발생률은 전년 동월대비 0.6%p 상승하는 등 종계 생산성은 다소 회복된 상태
    • 종계 생산성이 다소 회복되어 5월 병아리 생산수수는 전년보다 2.2% 증가
    • 병아리 생산수수 증가로 6월 육계 사육수수도 전년 동월보다 2.0% 증가 전망

 

  • 비축 및 수입량 감소로 6월 닭고기 공급량은 전년 동월보다 13% 감소 전망
  •  
    • 6월 도계수수는 전년 동월보다 2.2% 증가 전망, 비축물량은 139만 수에 불과
    • 국제 닭고기 가격 상승과 고환율로 6월 수입량도 전년 동월보다 40.8% 감소한 4천 5백 톤(약 585만 수) 추정
    • 더위가 시작되는 6월은 5월보다 닭고기 소비가 증가하는 시기

 

  • 공급이 감소하여 6월 전국 평균 육계 산지가격은 kg당 2,100∼2,300원 전망
  •  
    • 도계수수 증가에도 불구하고 비축 및 수입량 감소로 닭고기 총공급량이 감소하여 2009년 6월 육계 가격은 전년 동월(1,408원)에 비해 크게 상승한 2,100~2,300원 전망

 

 ■ 종계 노계도태가 지연되면 비수기인 금년 8월 중순 이후 가격 급락 우려

※ 출처 KREI 한국농촌경제원

파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