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기술정보

농업관측정보


농업기술정보 > 관측정보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제공
제목 7월 버섯관측
내용
 
 
 
신규 주요 표고목은 상수리나무
 
금년 표고목 주요수종은 상수리나무(강참목) 72.4%, 굴참나무(굴피목) 20.0%, 신갈나무 7.7% 로 대다수의 임가에서 상수리나무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수리나무는 품질이 우수하며 생산성이 좋으나 종균활착이 다소 불량하여 병 발생이 많고, 신갈나무는 종균활착이 비교적 원활하여 생산성은 좋으나 품질이 좋지 않으며, 굴참나무 품질은 좋으나 생산성이 좋지 않은 특징이 있어 철저한 관리를 하게 되면 영양이 풍부하고 수확량도 많아지는 상수리나무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접종목의 관리 실태
 
  
 주 : 07년 표본농가 조사치(5월 24일 ~ 6월 2일), ′09년 표본농가 조사치(5월 25일 ~ 6월 2일)
 
병해충 발생, 여름철 철저한 자목관리 필요
 
표본임가의 표고자목 병해충 발생률은 19.7%인 것으로 조사되었고, 4월 이전에 발생하여 5월 상순에 피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병해충은 지역별로 차이가 있으나 푸른곰팡이, 흑부병, 주홍꼬리버섯, 검은팥버섯 등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6월 하순 이후에는 장마전선의 영향으로 날씨 변화가 클 것으로 예상되어 표고자목의 병해충이 증가하지 않도록 철저한 수분 및 통풍관리가 필요하다.
 
금년 병해충 발생 시기
 
  
 주 : 표본농가 조사치(5월 24일 ~ 6월 2일)
 
5월 표고 생산량 감소, 품질은 양호한 편
 
생표고 및 건표고 생산량은 지속적인 재배 규모 감소와 높은 노목 비율, 심한 일교차 등의 기상 여건으로 작년 동기대비 각각 13.1%, 2.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품질은 작년에 비해 다소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5월 표고 생산량 증감률(작년 동기 대비)
 단위 : %
 
생산량 증감률구분생표고건표고
강원 22.4 6.9
경기 18.0
충북 19.8
충남 5.3 0.4
전북 1.2
전남 1.5
경북 12.0 1.8
전체 13.1 2.4
  
 

주1 : 표본농가 조사치(5월 25일 ~ 6월 2일)
주2 : ' '는 무응답입

 
5월 표고 품질 응답률 (작년 동기 대비)
 단위 : %
 
구분작년대비 품질 응답률
양호비슷불량
생표고60.628.810.6
건표고26.733.340.0
  
 주: 표본농가 조사치(5월 25일 ~ 6월 2일)
 
6월 중순 이후 생표고 생산량 작년대비 소폭 증가 전망
 
2006년 이후 지속적인 신규 접종목의 감소와 노목 비율 증가로 6월 중순 이후 원목 표고 생산량은 작년대비 소폭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나, 톱밥배지 방식에 의한 생산량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품질은 고온 현상 등 기상 여건에 따라 달라질 가능성도 있으나, 재배 임가들의 수분관리 등 골목에 대한 철저한 관리를 하고 있어 비슷할 것으로 전망된다.
 
 
6월 중순 이후 생표고 가격 약보합세 전망
 
5월 생표고 가격은 작년 동기 대비 18.6% 높게 형성되었다. 이는 가락시장 반입량이 작년 동기대비 26.2% 감소함에 따라 신선도 위주의 가격경쟁력으로 중?저가의 품질의 가격이 크게 상승하였기 때문이다.
 
생표고의 5월 평균 도매가격은 4㎏당 특품 46,247원, 상품 32,413원, 중품 21,193원, 하품 10,710원이며, 중품 기준으로 작년 동기대비 19.6% 상승하였다.
 
6월 중순 이후 생표고의 가락시장 반입물량 증가와 중ㆍ저가 생표고의 지속적인 수요로 약보합세가 전망되나 등락폭은 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생표고 월별 평균 도매가격과 반입량
 단위: 원/4kg, 톤
 
 
년도구분4월5월6월
'09특품48,88346,24754,437
상품30,74332,41341,454
중품21,21821,19327,408
하품12,32210,71013,231
반입량46039014
'08특품30,25539,48444,974
상품20,83328,49132,277
중품13,17717,71919,677
하품6,8968,6539,679
반입량626528417
 
  
 

자료 : 가락시장
주1 : 월별 가격은 가락시장 일일 도매가격의 월별 평균가격을 의미함.
주2: 6월 자료는 5월 6일까지의 자료임.

 
생표고(중품)의 일일 도배가격 동향
 
 자료: 가락시장
주1: 일일가격은 5일 이동평균가격임.
주2: 평년가격은 ‘04 ’08년의 가격 중 최대치, 최소치를 제외한 평균가격임.
 
6월 중순 이후 건표고 가격 보합세 전망
 
평균 입찰가격은 3.75㎏당 백화고 424,000원, 흑화고 250,000원, 동고 100,000원, 향고 80,000원, 향신 70,000원, 등외 42,000원으로 전반적으로 작년대비 7.2% 하락하였다.
 
6월 건표고 생산량은 감소할 것으로 보이나, 유통업자들의 물량확보로 가격은 보합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건표고 월별 입찰 동향
 단위 : 천원/3.75kg, 톤
 
년도등급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09백화고 420478424
흑화고 248270250
동고 99110100
향고 798880
향신 697270
등외 414342
입찰물량 31.974.525.4
`08백화고398 540525520 394322
흑화고235 310286260 243206
동고98 719198 8597
향고66 688287 8374
향신55 678491 9897
등외37 254345 4641
입찰물량13.5 22.961.417.3 13.514.9
  
 자료: 장흥 유치농협
 
 
5월 중국산 생표고 수입, 3배 이상 증가
 
5월 생표고 수입량은 국내 생표고 가격 호조로 신규 업체들의 수입량이 증가하여 작년 동기대비 약 3배 증가하였고, 건표고 및 조제표고 수입량은 중국내 가격 상승에 따른 수출 감소 영향으로 작년 동기보다 각각 38.7%, 19.9% 감소하였다.
 
4월 북한산 건표고의 반입량은 작년 동기 대비 61.4% 감소한 52톤이고, 4월까지 총 반입량은 222톤이다.
 
6월 중순 이후에는 환율상승에도 불구하고 국내산에 대한 가격 경쟁력으로 생표고 수입은 지속될 전망이다.
 
수입실적(남북교역량 포함)
 단위 : 톤
 
 
년도구분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누계
'09생표고2231083745(60)  
건표고280106164202(173)  
조제
표고
368201327353(182)  
'08생표고12432297411810193740430615
건표고466154196282282223101222)75571661052,335
조제
표고
4502044626032272042103071844063803383,973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관세청(www.customs.go.kr). 통일부(www.unikorea.go.kr).
주1 :5월( )의 수입실적은 관세청 잠정 추계치임.
주2 : 건표고는 북한산 건표고 수입량을 합산한 교역량임.

 
6월 중순 이후 건표고 수출 감소할 듯
 
국내 건표고 공급물량의 감소로 5월 건표고 수출량은 작년 동기대비 58.5% 감소하였으며, 특히, 홍콩으로 수출되던 물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6월 중순 이후에도 국내 건표고 생산량이 감소할 것으로 보여 건표고 수출량은 전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4월 생표고 수출량은 0.2톤으로 매우 미미하였고, 소량이지만 작년대비 수출 증가를 보이고 있었으나 5월에는 국내물량 감소로 수출물량이 감소하였다.
 
 
건표고의 월별 수출량 동향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주홍꼬리버섯 : 접종목이 건조하다는 표시이므로 한꺼번에 많은 물을 주지 말고 물주는 횟수를 늘려줄 필요가 있으며, 물뿌리기 후 바로 통풍을 시켜 수분이 접종목 표면에 오래 머물지 않도록 한다.
 
푸른곰팡이병 : 재배환경이 고온다습하면 많이 발생하므로 접종목 표면을 건조시키기 위해 통풍과 장마철 비에 맞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이고, 특히 습한 지역은 배수로를 정비하고, 재배사 측면의 비닐을 최대한 걷어 올려 예방을 해야 한다.
 
검은팥버섯 : 늦은 벌채 및 벌채 후 자연비, 눈에 장기간 노출로 인한 원목 건조 부족현상으로 주로 옹이나 죽은 가지를 통해 감염된다. 따라서 올바른 접종(지그재그)과 감염 가능 부위에 추가로 접종하여 표고버섯 균사만연도를 촉진 시킨다. 이미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물을 한 번에 많이 주지 말고 일주일에 한 번 정도로 지속적인 살수 작업 및 통풍으로 접종목내의 수분을 제거하도록 한다.
 
하늘소류 : 성충이 4∼5월에 신규로 종균을 접종한 원목에 산란을 하고 부화유충이 내부로 침입하여 균사를 식해하므로 방제가 어렵다. 산란시기에 접종목 위를 방충망으로 덮거나 접종목 주위에 신갈나무 소경목을 놓아 산란을 유도하며, 매일 재배장을 관리하면서 성충을 제거한다.
 
(자료제공 : 산림조합중앙회 산림버섯연구소)
 
 
6월 중순에는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에서 발달하는 저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날씨의 변화가 큰 가운데 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겠고, 강수량은 평년보다 많은 경향을 보이겠으며 지역적인 차이가 크겠음. 6월 하순에는 기압골의 영향을 주기적으로 받겠으며 지역에 따라 다소 많은 비가 내리겠으나 전반적인 기온 및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7월 상순에는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에서 구름낀 날이 많겠으며 평년보다 기온이 높겠고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겠음.
 
순별 평균기온 및 강수량
단위 : ℃,㎜
 
구분서울강릉대전대구전주광주부산제주
6월중순최고기온27.324.727.828.428.027.524.224.6
최저기온17.916.717.317.817.617.917.718.2
강수량31.833.143.643.842.849.562.558.0
6월하순최고기온27.525.127.928.028.027.424.425.6
최저기온19.318.118.919.219.419.518.919.8
강수량66.454.186.359.179.691.797.898.4
7월상순최고기온27.826.728.829.429.228.525.827.3
최저기온20.619.720.721.021.321.320.421.6
강수량104.355.385.461.883.975.176.188.3
 
 
주:강수량은 1971~2000년의 평균치임
 
* 임업관측 2009년 8월호 예고(예정일자 : 2009. 7. 15) *

 

   
품목: 표고버섯
 
   
내용: 표고버섯 재배 동향, 가격 동향, 수출입 동향
 
   
『임업관측월보』는 인터넷과 임업전문지를 통해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임업관측월보』와 관련하여 의견이 있으신 분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인터넷 홈페이지 내의 우측【바로가기】을 선택한 후【질의응답】을 이용하여 의견을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  
파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