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기술정보

농업관측정보


농업기술정보 > 관측정보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제공
제목 8월 버섯관측
내용
 
 
 
병해충 발생, 특히 충해 피해 많이 나타나
가뭄, 고온 등의 이상기후로 병해충 발생률은 작년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흑부병과 충해 등의 발생이 많아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병해충 및 고온 피해가 확산되지 않도록 신규 접종목을 대상으로 나무 표면에서 30㎝이상 띄워 차광망을 설치하고, 기존의 차광망은 보완하여 온도상승을 억제하고 자주 환기를 시켜 적정습도를 유지하는 등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병해충 발생 현황
단위 : %
 
작년동기대비 증감률병해충 발생률
증가비슷감소흑부병 잡버섯 푸른곰팡이주홍꼬리버섯기타충해
25.054.320.726.721.119.38.124.8
 주: 표본임가 조사치(6월 23일 ~ 7월 5일)
 
신규 접종시기 늦어져
신규 표고 종균 접종은 대부분 3월에 실시하였으나 표고자목 확보 어려움으로 작년에 비해 4월∼5월에 접종한 임가가 10.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접종 시기
 단위 : %
 
구분2월3월4월5월
2008년1.778.519.00.8
2009년0.069.928.81.3
 주: ’08년 표본임가 조사치(6월 28일 ~ 7월 3일), ’09년 표본임가 조사치(6월 23일 ~ 7월 5일)
 
금년에 신규로 접종하는 종균의 버섯발생 온도형별 분포는 저온성이 51.0%, 중저온성 15.1%, 고온성 13.5%, 중고온성 13.6%, 중온성 6.8%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저온성은 제주, 전남 및 경남지역, 중저온성과 중온성은 강원지역, 고온성은 전북지역, 중고온성은 경기지역에서 신규 접종 분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접종 종균의 비율
 
 주: 표본임가 조사치(6월 23일 ~ 7월 5일)
 
6월 생표고 생산량 감소, 품질은 양호한 편
여름버섯의 재배 규모 축소와 고온다습의 기상 여건으로 생표고 생산량은 작년에 비해 9.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품질은 작년에 비해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6월 표고 생산량 및 품질 동향
 단위 : %
 
작년 대비 생산량 증감률작년 대비 품질
전국강원경기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양호비슷불량
9.62.9 21.5 19.7 4.5 7.0 1.2 16.550.028.821.2
 

주: 표본임가 조사치(6월 23일 ~ 7월 5일)

 
7월 중순 이후 생표고 생산량 작년보다 소폭 감소 전망
톱밥배지 표고의 생산량이 늘어날 것으로 보이나, 가을출하를 위한 생산 억제로 원목 표고생산량이 급감하여 전체생산량은 작년에 비해 약간 감소할 전망이다.
품질은 보통이거나 약간 좋을 것으로 예상되나, 여름철 기상여건에 따라 달라질 가능성도 있다.
 
7월 중순이후 생표고 생산량 및 품질 전망
 단위 : %
 
작년 대비 생산량 증감률작년 대비 품질
전국강원경기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양호비슷불량
6.7 14.6 8.3 3.4 7.5 1.4 5.038.838.822.4
 

주: 표본임가 조사치(6월 23일 ~ 7월 5일)
주2: ‘ ’는 무응답임

 
 
생표고 가격 7월 말까지 보합세, 8월 이후 하락 전망
생표고의 6월 평균 도매가격은 4㎏당 특품 52,601원, 상품 39,748원, 중품 26,506원, 하품 13,992원으로 전반적으로 작년보다 높게 형성되었으며, 특히 중?하품은 각각 34.7%, 44.6%씩 상승하였다.
가격이 전반적으로 높게 형성된 이유는 표고 반입량이 작년에 비해 17.1%로 줄어든 반면, 소비에서는 중?하품에 대한 수요가 늘었기 때문이다.
 
생산량 감소로 7월 말까지는 생표고 가격이 작년과 비슷하겠으나, 8월 이후에는 식자재 수요가 감소하여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생표고 월별 평균 도매가격과 반입량
 단위: 원/4kg, 톤
 
년도구분5월6월7월
'09특품46,24752,60160,353
상품32,41339,74845,189
중품21,19326,50627,041
하품10,71013,99217,842
반입량39034670
'08특품39,48444,97451,662
상품28,49132,27733,450
중품17,71919,67718,244
하품8,6539,6798,597
반입량528417344
 

자료 : 가락시장
주1 : 월별 가격은 가락시장 일일 도매가격의 월별 평균가격을 의미함.
주2 : 7월 자료는 7월 7일까지의 자료임.

 
생표고(중품)의 일일 도배가격 동향
 
 자료: 가락시장
주1: 일일가격은 5일 이동평균가격임.
주2 : 평년가격은 ‘04 ’08년의 가격 중 최대치, 최소치를 제외한 평균가격임.
 
6월 건표고 입찰 가격 하락
6월 평균 입찰가격은 3.75㎏당 백화고 380,000원, 흑화고 180,000원, 동고 70,000원, 향고 65,000원, 향신 60,000원, 등외 30,000원으로 전반적으로 작년대비 하락하였다.
건표고 반입량은 지난달 수준으로 안정적으로 공급되었으나, 가뭄과 고온 등의 이상기온으로 품질이 저하된 것으로 보인다.
 
건표고 월별 입찰 동향
 단위 : 천원/3.75kg, 톤
 
년도등급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09백화고 420478424380
흑화고 248270250180
동고 9911010070
향고 79888065
향신 69727060
등외 41434230
입찰물량 31.974.525.420.2
`08백화고398 540560525520 394322
흑화고235 310350286260 243206
동고98 71899198 8597
향고66 68778287 8374
향신55 67798491 9897
등외37 25424345 4641
입찰물량13.5 22.979.661.417.3 13.541.9
 자료: 장흥 유치농협
 
 
생ㆍ건표고 수입 증가할 듯
6월에는 높은 환율에도 불구하고 국내가격이 높아 생ㆍ건ㆍ조제표고의 수입이 작년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표고는 작년 동기보다 약 3배 증가한 36톤이 수입되었고, 건표고는 북한산 반입량(75톤)을 포함하여 255톤으로 작년 동기대비 10.6% 증가하였다.
조제표고는 5월까지 작년대비 수입량 감소를 보였으나, 6월에 55.7% 증가한 317톤이 수입되었다.
 
수입실적(남북교역량 포함)
 단위 : 톤
 

구분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누계
'09생표고22310837456036 509
건표고
(북한산)
280
(133)
106
(26)
164
(31)
202
(52)
276
(103)
255
(75)
1,283
(400)
조제
표고
368201327353182317 1,748
'08생표고12432297411810193740430616
건표고
(북한산)
466
(69)
154
(0)
196
(41)
282
(134)
282
(77)
223
(96)
101
(8)
222
(3)
75
(1)
57
(12)
166
(59)
149
(42)
2,335
(542)
조제
표고
4502044626032272042103071844063803383,975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관세청(www.customs.go.kr). 통일부(www.unikorea.go.kr).
주1 :6월 수입실적은 관세청 잠정 추계치임.
주2 : 북한산 건표고의 연가 반입한도는 800톤입

 
건표고 수출 감소할 듯
6월 건표고 수출량은 작년에 비해 12.7% 증가하였으며, 주요 수출국은 일본(60.7%), 홍콩(31.8%), 대만(3.8%), 호주(2.1%), 싱가포르(1.7%) 이다.
국내산 표고버섯에 대한 해외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 건표고 수출물량 부족으로 7월 중순 이후 수출량은 감소할 전망이다.
 
건표고의 월별 수출량 동향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톱밥배지 버섯종균 수입 증가
5월 톱밥배지 버섯종균은 398톤 수입되었으며, 수입량의 99%가 중국산으로 그 양은 1월부터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톱밥배지 버섯종균 수입실적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표고재배 임가의 판매처 선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표고의 신선함을 유지하기 위한 근거리 판매와 빠른 현금 순환, 판매이익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ㆍ소량 물량의 전량 판매와 편리하다는 이점으로 가락시장(33.3%)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최근들어 생산자와 소비자의 이익을 극대화하고 새로운 판로를 개척하기 위해 소비자직거래(13.6%)를 시도하는 임가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05년 임업총조사결과에 따르면 산지수집상을 통한 판매 비율은 23.2%였으나, 표본조사 결과 산지수집상(9.1%)이 차지하는 비율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 표본임가 조사치(6월 23일 ~ 7월 5일)
 
 
 
7월 중순에는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 및 상층 한기의 영향으로 날씨의 변동폭이 크겠으며 기온과 강수량은 전반적으로 평년과 비슷하겠음. 7월 하순에는 북태평양고기압이 확장하면서 무더운 날이 많겠으며 국지성 호우 가능성이 높겠으나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8월 상순에는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으로 무덥겠으며 대기불안정 및 발달한 기압골의 영향으로 강수량은 평년보다 많겠음.
 
순별 평균기온 및 강수량
단위 : ℃,㎜
구분서울강릉대전대구전주광주부산제주
7월중순최고기온28.427.529.129.729.529.327.129.0
최저기온21.520.821.521.922.122.221.723.1
강수량110.265.8115.180.7104.1116.890.073.5
7월하순최고기온30.029.331.131.731.731.128.930.0
최저기온23.222.423.023.423.523.623.424.2
강수량113.475.491.664.378.790.092.870.6
8월상순최고기온30.229.731.132.131.731.429.630.4
최저기온23.022.522.723.323.323.423.724.4
강수량130.2

86.5

90.684.684.671.857.752.6
주:강수량은 1971~2000년의 평균치임
출처 KREI농촌경제연구원
파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