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기술정보

농업관측정보


농업기술정보 > 관측정보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제공
제목 10월 버섯관측
내용
 
 
 
가을철 자목에 대한 수분관리 철저 필요
여름철 고온, 병충해 등에 의한 신규 접종목의 피해 규모는 23.1%, 수확 가능한 자목의 피해 규모는 56.0% 였으며, 고온의 기상악화로 종균활착이 불량하여 사멸하는 등 기상피해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9 10월에는 일교차가 큰 가운데 건조한 날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다생산 고품질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자목의 수분관리가 필요하다.
 
여름철 피해규모
단위 : %
 
구분 피해규모
기상피해 병 피해 충 피해 기타
신규접종목 10.0 3.7 0.0 9.4
수확가능목 30.0 7.3 5.7 13.0
  주: 표본임가 조사치(8월 19일 ~ 9월 4일)
 
여름버섯의 생표고 생산량 증가, 품질은 양호한 편
원목재배 임가 중 여름버섯의 생산 비율은 30% 수준으로 생표고 생산량은 여름버섯의 재배 규모 축소와 고온, 심한 일교차 등 기상 악화로 작년 동기대비 6.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톱밥배지 방식에 의한 표고버섯 생산량은 큰 폭으로 증가하여 가락시장 반입 비율은 원목 60%, 톱밥 40% 수준으로 크게 조정되고 있다.
 
7∼8월 원목 생표고 생산량 증감률
  단위 : %
 
구분 지역별 표본임가 중
여름버섯 생산임가율
작년 대비 생산량 증감률
전국 30.8 6.5
강원 37.5 4.9
경기 80.0 20.7
충북 40.0 12.2
충남 23.3 1.2
전북 54.2 18.1
전남 3.7 1.2
경북 41.7 3.3
경남 10.0 0.0
제주 0.0
  주1: 표본농가 조사치(8월 19일~9월 4일)
주2 : ' '는 무음답임’
 
7∼8월 원목 생표고 품질 응답률
  단위 : %
 
구분 작년대비 품질 응답률
양호 비슷 불량
생표고 43.9 34.8 21.2
  주: 표본농가 조사치(8월 19일~9월 4일)
 
9월 중순 이후 생표고 생산량 작년보다 증가 전망
8월에 기상악화로 버섯발생이 부진하였으나, 날씨가 선선해지면서 9월 중순에서 10월에 이르기까지 생산량이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추석명절을 앞두고 톱밥배지 방식에 의한 생산량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어 전체적인 생산량은 작년 동기보다 증가할 전망이다.
품질은 10월 초 추석명절을 앞두고 철저한 관리가 이루어져 전반적으로 양호할 것으로 예상된다.
 
9월 중순 이후 생표고 생산량 및 품질 전망
  단위 : %
 
작년 대비 생산량 증감률 작년 대비 품질
전국 강원 경기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양호 비슷 불량
1.5 0.1 3.2 0.5 2.0 3.0 3.3 3.5 1.7 0.0 50.9 45.5 3.6
 

주: 표본농가 조사치(8월 19일~9월 4일)

 
 
7∼8월 생표고 가격 등급간의 차이를 보여
생표고의 7월 평균 도매가격은 4㎏당 특품 59,288원, 상품 40,622원, 중품 23,356원, 하품 12,244원으로 전반적으로 작년보다 높게 형성되었으며, 특히 중,하품은 각각 28.0%, 42.2%씩 상승하였다.
이는 작년 동월 대비 가락시장 반입량이 351톤으로 예년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소비에서 중,하품의 수요가 크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반면, 8월 평균 도매가격은 4㎏당 특품 49,663원, 상품 34,055원, 중품 19,911원, 하품 10,538원으로 전반적으로 작년보다 2.7% 감소하였다. 그러나 특품의 경우 12.9%로 큰 폭으로 감소한 반면, 하품은 6.3% 증가하여 등급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
가격이 전반적으로 낮게 형성된 이유는 톱밥배지 표고의 출하량이 급증하여 가락시장 표고 반입량이 작년 동기대비 15.1%로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생표고 월별 평균 도매가격과 반입량
  단위: 원/4kg, 톤
 
년도 구분 7월 8월 9월
'09 특품 59,288 49,663 43,507
상품 40,622 34,055 30,244
중품 23,356 19,911 18,927
하품 12,224 10,538 10,440
반입량 351 440 20
'08 특품 51,662 56,988 53,296
상품 33,450 35,886 34,253
중품 18,244 19,672 18,322
하품 8,597 9,917 8,740
반입량 344 382 578
 

자료 : 가락시장
주1 : 월별 가격은 가락시장 일일 도매가격의 월별 평균가격을 의미함.
주2 : 9월 자료는 9월 4일까지의 자료임.

 
생표고(중품)의 일일 도배가격 동향
 
 

 

자료: 가락시장
주1: 일일가격은 5일 이동평균가격임.
주2 : 평년가격은 ‘04 ’08년의 가격 중 최대치, 최소치를 제외한 평균가격임.

 
9월 중순 이후 생표고 가격 작년대비 약보합세 전망
8월에 감소하였던 버섯 발생이 점차 늘어나 시장 출하량 증가로 9월 중순 이후 생표고 가격은 작년대비 약보합세가 전망된다.
다만, 건표고 가격의 경우 금년산 공급물량 부족으로 10월 초 추석명절을 전후하여 작년 동기 대비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생표고 수입은 많지 않을 듯
8월의 생표고 및 조제표고 수입량은 작년 동기 대비 각각 1.2%, 39.7% 증가한 반면, 건표고 수입의 경우 일반무역(북한산 제외)은 11.0% 감소하였다.
올해 생표고 수입량은 최근 3년 동안 가장 많은 양이 수입될 것으로 보여지며, 1∼8월 수입량 누계치는 작년 총 누계 수입량에 이미 근접하여 '07년 총 수입량인 267톤을 초과하였다.
중국의 표고버섯 생산량 감소로 중국내 표고버섯 가격이 상승하였기 때문에 생표고 수입은 많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수입실적(남북교역량 포함)
  단위 : 톤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누계
'09 생표고 223 108 37 45 60 36 66 37 613
건표고
(북한산)
280
(133)
106
(26)
164
(31)
202
(52)
276
(103)
262
(82)
217
(72)
129 1,635
(479)
조제
표고
368 201 327 353 182 317 369 429 2,545
'08 생표고 124 32 297 41 18 10 19 37 4 0 4 30 616
건표고
(북한산)
466
(69)
154
(0)
196
(41)
282
(134)
282
(77)
223
(96)
101
(8)
222
(3)
75
(1)
57
(12)
166
(59)
149
(42)
2,335
(542)
조제
표고
450 204 462 603 227 204 210 307 184 406 380 338 3,975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관세청(www.customs.go.kr). 통일부(www.unikorea.go.kr).
주1 :8월 수입실적은 관세청 잠정 추계치임.
주2 : 북한산 건표고의 연가 반입한도는 800톤입

 
건표고 수출 감소할 듯
8월 건표고 수출량은 작년에 비해 32.1% 감소하였으며, 특히 일본으로 수출되는 양은 전월 대비 62.3%로 감소 폭이 크게 나타났다.
주요 수출국은 일본(56,9%), 홍콩(20.1%), 카타르(9.0%), 싱가폴(6.7%), 대만(6.5%) 등 이다.
국내산 표고버섯에 대한 해외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 수출가능한 건표고의 물량 부족으로 9월 중순 이후 수출량은 감소할 전망이다.
 
건표고의 월별 수출량 동향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톱밥배지 수입 감소추세
7월 톱밥배지는 중국으로부터 112톤이 수입되었다. 1월부터 7월까지 누계 수입량은 '07년 3,383톤, '08년 2,559톤, '09년 1,663톤으로 감소추세이며, 특히 '07년 대비 50.8%로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중국 톱밥배지 가격 상승과 안전성 문제로 재배 임가들의 국내산 톱밥배지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톱밥배지 버섯종균 수입실적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소비자안전본부 식의약안전팀이 조사한 표고버섯, 차가버섯 등 수입버섯류의 35%(21개 제품)에서 허용기준(30ppm)을 초과하는 이산화황이 검출돼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농약 및 이산화황 잔류실태검사 결과 수입 버섯류의 95%에서 이산화황이 검출되었고, 21개 제품(35%)은 허용기준을 초과했다. 허용기준을 초과한 버섯의 대부분은 표고버섯(18개, 86%)으로 잔류 이산화황 평균 수치는 46.2ppm으로 나타났다. 이산화황은 식품의 색깔이 변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표백제, 산화방지제, 보존제 용도로 쓰인다. 일정량 이상 섭취할 경우 쇼크나 급성 복통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고 미국 FDA는 경고한 바 있으며, 천식환자가 소량만 섭취해도 호흡곤란 등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고 심할 경우 호흡기계통 암을 유발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하고 있다
 
 
 
9월 중순에는 상층 한기 및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의 변동폭이 크겠으나 전반적으로 평년과 비슷한 기온 분포를 보이겠으며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겠음. 9월 하순과 10월 상순에는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일교차가 큰 가운데 평년보다 기온이 높겠으며, 건조한 날이 많겠으나 남쪽을 지나는 기압골의 영향으로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순별 평균기온 및 강수량
단위 : ℃,㎜
구분 서울 강릉 대전 대구 전주 광주 부산 제주
9월중순 최고기온 25.6 24.3 25.8 26.4 26.4 26.5 26.0 25.6
최저기온 16.6 16.1 15.6 16.8 16.4 17.0 19.0 19.7
강수량 40.0 81.9 50.4 46.6 41.7 43.0 53.1 57.8
9월하순 최고기온 24.1 23.3 24.4 25.1 25.0 25.2 24.8 24.0
최저기온 14.3 14.3 13.1 14.6 14.1 14.8 17.5 18.0
강수량 26.2 52.8 38.5 35.6 34.8 32.8 40.3 63.2
10월상순 최고기온 22.2 22.0 22.6 23.8 23.3 23.7 23.8 22.8
최저기온 12.4 12.8 10.8 12.4 11.9 12.6 15.8 16.3
강수량 16.0 30.6 20.7 16.2 21.4 21.5 22.5 33.6

주:강수량은 1971~2000년의 평균치임

 

 

 

출처 KREI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파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