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기술정보

농업관측정보


농업기술정보 > 관측정보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제공
제목 11월 곡물관측
내용

<쌀 가을호> 쌀pdf  


■ 정부의 23만 톤 추가 시장격리로 수확기 쌀 가격은 안정 전망

 

▶ 10월 하순 이후 벼 가격은 상승세, 쌀 가격은 하락세 둔화

 

ㆍ정부의 11만 톤 매입으로 산지 벼 가격은 10월 하순부터 상승세로 전환되어 11월 5일에는

   전월보다 소폭 상승(0.2%)한 4만 8,1023원/40kg 수준임.

ㆍ11월 5일 산지 쌀 가격은 14만 2,432원/80kg으로 전월대비 1.5% 하락함.

 

▶ 산지유통업체의 수확기 벼 매입량은 전년 동기대비 증가

 

ㆍ11월 11일 기준으로산지유통업체들의 벼매입물량은 전년 동기대비 10.1% 증가한 158만

   4천 톤으로 집계됨.

ㆍ농협RPC와 비RPC농협의 수확기 벼 매입물량은 전년 동기보다 각각 10.5%, 10.4% 증가,

   민간RPC도 전년 동기대비 8.9% 증가함.

 

▶ 2009년산 쌀 생산량은 전년보다 1.5% 증가한 491만 6천 톤

 

ㆍ2009년 쌀 생산량은 전년대비 1.5% 증가한 491만 6천 톤으로 집계됨(통계청, 11월 12일

   발표).

ㆍ금년 단수는 534kg/10a으로 2008년산보다 2.7%(14kg), 평년보다 7.7%(38kg) 증가하여

   역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함.

 

▶ 정부의 23만 톤 추가 격리 조치로 산지 쌀 가격은 14만 5천원~14만 9천원 전망

 

ㆍ정부는 11만 톤 이외에 추가로 23만 톤을 더 매입하기로 발표함. 이에 따라 수확기 유통량이

   크게 줄어 수확기 산지 쌀 가격은 14만 5천원~14만 9천원 수준으로 전망됨.

ㆍ정부와 농협의 벼 매입자금 지원규모 확대로 산지유통업체들의 매입수요가 증가하였고,

   정부의 시장격리 물량이 총 34만 톤이나 되어, 앞으로 산지 쌀 가격은 안정될 것으로 보임.

 

<콩 가을호> 콩pdf 

 

■ 2009년산 콩 생산량 13만 3천~14만 톤 전망 
 

▶ 10월 이후 국산 콩 가격은 하락세로 전환

 

ㆍ2008년산 콩 재고가 소진되어 가면서 국산 콩 도매가격은 2009년 7월 이후 상승세를 보이

   다가, 2009년산 콩이 수확되는 10월 들어 하락세로 전환됨. 2009년 11월 12일 백태 상품

   도매가격은 3,657원/kg으로 전년 동기대비 2.8% 높은 수준임.

 

▶ 2009양곡연도 식용콩 수입량은 전년대비 9.4% 감소 추정

 

ㆍ2009년 들어 국제 콩 가격이 강세를 보였고, 상반기에는 환율도 높아 2009양곡년도(2008년

   11월~2009년 10월) 수입량은 전년보다 9.4% 감소한 총27만 5,014톤으로 집계됨.

 

▶ 전체 콩 재배면적은 6.6% 감소

 

ㆍ2009년산 콩 재배면적은 전년보다 6.6% 감소한 7만 265ha임. 논콩 재배면적은 전년대비

   31.4% 감소한 4,833ha, 밭콩 재배면적은 전년보다 4.1% 감소한 65,432ha로 조사됨(통계

   청).

 

▶ 금년 콩 전국평균 단수는 189~199kg/10a로 추정

 

ㆍ콩 표본농가 조사결과, 2009년산콩 작황은 전반적인 기상여건이 좋았고 병충해 피해가 거의

   없었던 것으로 나타나, 전국평균 단수는 189~199kg/10a로 추정됨.

 

▶ 2009년산 콩 생산량은 전년대비 0.1%~5.4% 증가 전망

 

ㆍ2009년산 콩 생산은 재배면적이 감소하였으나 단수 증가로 전체 생산량은 전년대비

   0.1~5.4% 늘어난 13만 3천~14만 톤이 될 것으로 전망됨.

ㆍ금년 콩 생산량이 전년보다 늘어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2009년 11월~2010년 1월 까지

   콩 가격은 작년 동기(상품 도매가격 3,476원/kg) 보다 낮게 형성되어, 약보합세를보일 것으

   로 전망됨.

 

 

출처 KREI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파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