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기술정보

농업관측정보


농업기술정보 > 관측정보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제공
제목 12월 축산관측
내용

 

<한육우>   한육우pdf
 
■ 한우 산지가격 강세 지속 전망

내년 설 이후에 가격 조정 예상, 입식 자제 요망 
 

▶ 송아지 입식의향이 높아 내년 3월까지 한육우 사육 마리수 증가세는 지속

 

ㆍ한우 가격 상승 및 송아지 입식 수요 증가로 한육우 사육 마리수 증가세는 지속될 전망

ㆍ올해 12월 사육 마리수는 전년보다 6.1% 증가한 262만 3천 마리로 예상되며, 내년 3월

   사육 마리수 또한 올해 3월보다 7.8% 증가한 267만 5천 마리로 전망

 
▶ 공급 증가에도 불구하고 한우 고기 수요 증가가 더 크게 나타나

 

ㆍ음식점 원산지 표시제(가격상승 효과 18% 추정), 이력추적제(13%) 및 정육점형 식당

   확산(13%)등으로 한우고기 수요는전년대비 증가, 가정내 쇠고기 소비도 증가(12%)
ㆍ2009년(1~10월) 한우 등급판정 마리수는 전년대비 12.5% 증가
ㆍ2009년 10월까지 쇠고기 수입량은 15만 8천 톤으로 전년보다 10.9% 감소 
 

▶ 12월~내년 2월 한우 전국 평균 산지가격은 전년보다 상승 전망

 

ㆍ한우고기 수요 증가와 송아지 입식의향이 높아 2009년 12월~2010년 2월 한우 암소

   산지가격은550~570만원(600kg 기준, 전년 대비 22.1% 상승), 수소는 540~560만원

   (48.6% 상승), 수송아지 가격은 230~250만원(16.7% 상승) 전망  

 

▶내년 2월 이후 가격 조정 가능성 높아 지나친 송아지 입식은 자제 요망

 
ㆍ한육우 사육마리수가 크게 증가하여 쇠고기 수입이 증가할 경우 공급 과잉 우려,

   설 이후에는 가격 조정 가능성이 높아 농가에서는 지나친 송아지 입식을 자제할 필요

  


▶ 한우 산지가격 전망

 

 

한우 암소

한우 수소

한우 수송아지

2009년 9~11월

550만원대

540만원대

230만원대

2009년 12월 ~ 2010년 2월

550~570만원

540~560만원

230~250만원


 
▶ 향후 한우 산지가격 상승 및 하락 요인

 

 

공급 측면

수요 측면

상승

요인

 ㆍ 쇠고기 수입량 감소

 ㆍ 송아지 입식의향 증가

  송아지 가격 상승

 ㆍ 쇠고기 이력추적제

 ㆍ 음식점 원산지 표시제

 ㆍ 연말연시, 설 소비 증가

하락

요인

 ㆍ 사육 마리수 증가

 ㆍ 쇠고기 수입 증가 우려

 ㆍ 신종 플루


 
<젖소>   젖소pdf


■ 젖소 사육마리수 전분기대비 증가 전망

내년 1분기까지 원유 생산량 1~2% 증가 전망 
 
▶ 젖소 사육마리수 전년보다 감소하지만, 전분기보다 증가 전망

 

ㆍ2010년 3월까지 사육마리수는 전년보다 감소하지만, 육성우 마리수가 늘어 전분기

   보다는 증가할 전망
ㆍ12월 사육마리수 43만 9천 마리(전년대비 1.5% 감소, 전분기대비 0.3% 증가), 내년

   3월 44만 2천 마리(전년대비 1.2% 감소, 전분기대비 0.7% 증가) 전망
ㆍ사료가격 부담이 줄어 수익성이 개선됨에 따라 원유 생산 증대에 대한 의욕이 높아져,

   초임만삭우 전국 평균 산지가격은 강세 지속(11월 20일 현재 251만 5천원)  

 

▶ 유제품 소비 증가로 분유 재고는 2007년 이후 최저 수준, 수입량은 증가

 

ㆍ3분기 유제품 총 소비량(원유 환산)은 신제품 출시 및 국내산 원유에 대한 수요 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보다 3.1% 증가
ㆍ9월 분유재고량은 유제품 소비 증가로 전년 동월보다 40.5% 감소(2007년 이후 최저

   수준)
ㆍ재고 감소, 환율 안정 등으로 3분기 유제품 수입 증가(전년대비 12.7%) 
 

 

▶ 산유능력 회복으로 원유 생산량은 증가세로 전환 전망

 
ㆍ사료급여가 늘고 사료품질도 개선되어 젖소의 산유능력이 회복됨에 따라 원유

   생산량은 증가세로 전환될 전망
ㆍ4분기 원유 생산량은 52만 톤(전년 대비 0.9% 증가), 내년 1분기 53만 4천 톤(1.5%

   증가) 전망  

 

▶ 가구당 우유 평균 구매량은 증가세 지속

 

ㆍ1회당 우유 평균 구매량: 2007년 1.52kg ⇒ 2008년 1.64kg ⇒ 2009년 1.85kg
ㆍ2009년 9월 상순까지 가구당 4주 평균 우유 구매량은 6.11kg(전년대비 2.0% 증가),

   구매금액은 1만 4,233원(전년대비 16.0% 증가)  

 

<돼지>  돼지pdf

 

■ 12~2월 돼지 지육가격 전년보다 소폭 하락 전망 

6월 이후 사육마리수는 증가세 지속 전망 
 

▶ 모돈수 증가로 12월 돼지 사육마리수는 전년 동월보다 3.8% 증가 전망
 
ㆍ사료비 부담 완화와 여름철 고돈가 형성으로 2009년 9월 모돈수는 전년 동월대비 2.3%

   증가(94만 마리)
ㆍ모돈수가 증가하여 12월 사육마리수는 전년 동월대비 3.8% 증가한 943만마리, 내년

   3월 사육마리수는 3.2% 증가한 947만 마리 전망
 

▶ 12~2월 돼지 출하마리수는 1% 증가, 돼지고기 수입량은 감소 전망

 
ㆍ모돈수 증가에 따라 12~2월 출하마리수는 전년대비 1% 내외 증가 전망
ㆍ가공용 돼지고기 재고 누적과 음식점 원산지표시제 시행에 의한 수입 돼지고기 소비

   부진으로 수입량은 감소할 전망  

 

▶ 소비 심리 위축으로 평균 구매량 감소 추세
 
ㆍ돼지고기 4주 평균 구매량은 전년보다 0.6% 감소, 비선호부위 구매량은 증가
   돼지고기 평균 구매량: 2007년 2.02kg ⇒ 2008년 2.06kg ⇒ 2009년(9월 상순까지)

     2.05kg
   전·후지 평균 구매량: 2007년 1.15kg ⇒ 2008년 1.19kg ⇒ 2009년(9월 상순까지)

     1.22kg
ㆍ신종플루의 영향으로 각종 행사 취소, 휴교 등으로 수요 위축 전망
 

▶ 12~2월 돼지 전국 공판장 평균 지육가격은 kg당 4,100~4,300원 전망

 
ㆍ12~내년 2월 돼지 전국 평균 지육가격은 전년 동기보다 4.5% 낮은 kg당 4,100~4,300

   원(성돈 110kg 기준 31~32만원) 전망
ㆍ소비심리가 회복될 경우 돼지고기 전국 평균 지육가격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에서

   형성될 가능성 
 

 

<산란계>   산란계pdf

 

■ 12월~2월 계란 가격은 전년보다 하락 전망 

계란 생산량 증가 예상 
 
▶ 내년 3월 산란계 사육 마리수는 전년대비 6.5% 증가한 6,415만 마리 전망 
 
ㆍ산란종계 입식 자료를 이용한 병아리 생산 잠재력 추정결과, 2010년 3월 병아리

   생산은 전년 동월보다 6.6% 증가할 것으로 예상
ㆍ산란실용계 병아리 입식 증가와 노계 도태 지연으로 내년 3월 산란계 사육수수는 전년

   보다 6.5% 증가한 6,415만 마리 전망
 

▶ 산란용 닭 마리수 증가로 12월~내년 2월 계란 생산량은 전년보다 5.0% 증가

    전망

 
ㆍ12월~내년 2월 계란 생산에 새로 진입하는 계군은 전년보다 5.2% 증가한 795만 마리
ㆍ신계군 증가로 내년 3월 산란용 닭 마리수는 전년보다 5.7% 증가한 4,899만 마리 전망
ㆍ산란용 닭 마리수 증가로 12월~내년 2월 계란 생산량은 전년 동기보다 5.0% 증가

   전망  

 

▶ 가정내 계란 소비는 전년보다 6.2% 증가

 

ㆍ2009년(1~9월 상순) 가정내 계란 평균 구매량은 2008년보다 6.2% 증가(TNS World)
ㆍ12월~내년 2월은 계란 소비 증가 시기이나, 신종플루로 소비 증가분의 일부를 상쇄

 

▶ 계란 생산량 증가로 12월~내년 2월 계란 가격은 1,000~1,200원대 전망

 
ㆍ계란 생산량 증가가 예상되어 12월~내년 2월 계란 가격은 전년보다 0.8~17.4%

   하락한 1,000~1,200원대로 전망  

 

 ■ 환우 자제 및 지속적인 노계 도태로 수익성 확보 필요


 
<육계>   육계pdf


 

■ 12월 육계 가격 전년보다 상승 전망 
 
▶ 12월 육계 사육 마리수는 전년보다 3.7% 증가 전망
 
ㆍ10월 육용 종계 사육마리수는 전년보다 8.0% 증가한 596만 마리
ㆍ종계 사육수수 증가로 10월 병아리 생산은 전년보다 3.5% 증가 추정
ㆍ병아리 생산수수가 증가하여 12월 사육수수는 3.7% 증가한 5,649만 마리 전망
 
▶ 닭고기 총공급량은 전년보다 7.9% 증가한 6,377만 마리 전망
 
ㆍ12월 도계 마리수는 전년 동월보다 2.1% 증가한 5,191만 마리 전망
ㆍ대체 수입물량 증가로 12월 닭고기 수입량은 전년보다 크게 증가한 5,000 톤 전망
ㆍ2009년 1~9월 가구별 월평균(정확히는 4주간) 닭고기 소비량 전년대비 6.6% 증가한

   1.8kg(TNS World)
ㆍ12월에는 닭고기 연말수요가 기대되는 시기 
 

 

▶ 연말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12월 산지가격은 1,900~2,100원/kg 전망 

 

ㆍ육계 가격은 생산원가와 연동되는 경향이 있어 일정 수준의 가격은 유지될 전망
ㆍ소비 증가폭이 공급증가보다 더 크고, 병아리 가격이 높게 유지되어 2009년 12월 전국

   평균 육계 산지가격은 전년 동월(1,813원)보다 상승한 1,900~2,100원/kg으로 전망 
 
▶ 12월 닭고기 총공급량 전망

단위: 만 마리

구   분

도계마리수(C)

수입량(D)

비축물량(E)

공급계(C+D+E)

2009년(A)

5,191

780

406

6,377

2008년(B)

5,084

304

523

5,911

증감률(A/B, %)

2.1

156.4

22.3

7.9

 
▶ 육계 산지가격 동향



 

 ■ 종계 환우 자제하지 않으면 내년 2월이후 공급과잉 우려


 

출처 KREI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파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