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기술정보

농업관측정보


농업기술정보 > 관측정보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제공
제목 겨울철 농업재해 피해경감 대책
내용  

겨울철 농업재해 피해경감 대책

 가 . 요   약

□ 피해경감 예방 대책

  내재해형 표준규격 시설체제로 설치 지도 및 교육ㆍ홍보

   비닐하우스, 축사 등 농업시설물 수시 점검ㆍ정비

   시설물 위로 쌓인 눈은 수시로 제설

   제설장비, 난방시설, 소방자재 등 장비 점검 철저

   재해 발생시 실질적 보상을 위해 재해보험 가입 유도

□ 농업시설별 피해경감 대책

  비닐하우스 : 대설 및 한파시 난방기 가온, 지열 보온 등

   인삼재배시설 : 눈쓸어 내리기, 차광망 제거 등

   축산시설 : 허가시설에서 사육 및 축사시설 보강

□ 농작물별 피해경감 대책

   맥류 : 적기파종, 균형시비, 균일한 복토 및 배수구 정비(흙덮기, 밟아주기),

                한파대비 피복(볏짚, 퇴비, 왕겨 등)

   채소류

     사전대책 : 적지적작, 적정온도 및 보온관리, 동해방지(지중난방, 온실커튼,

                      수막재배, 축열주머니 등) 등

     사후대책 : 보온유지(전기시설 및 숯태우기 등), 살균제 및 요소엽면 살포 등

   과수류

     사전대책 : 매몰ㆍ복토ㆍ피복(묻어주기, 싸매주기, 흙덮기, 백도제), 과수 방조망

                       윗부분 제거 등

     사후대책 : 적정시비, 과수 회복작업(전정, 수관형성 유도 등) 등

 

 나 . 농업시설물 피해경감 대책

 【 비닐하우스 시설

□ 비닐하우스 시설기준 개선행정지도 강화

  내재해형 표준규격 이상의 설계 시설로 설치토록 지도

   대농업인 홍보 및 교육 실시

      * 비닐하우스 설치요령, KS구조용강관 사용 지도, 재난예방사업 참여 등에

         대한 지속적인 지도계몽 및 홍보

□ 대설시 제설, 난방기 가동, 지열 보온 등 사전대비 철저

   특히, 연동식 비닐하우스는 적설 피해규모가 클 것으로 예상되므로 강설

       초기부터 적극 가온을 실시

      * 하우스 밴드(끈) 팽팽하게 당겨매기 및 보조지지대의 활용

      * 대설로부터 시설물 보호가 어려운 경우에는 비닐을 찢어서 제설

□ 중장기적 시설하우스의 설해예방 대책 추진

  ○ 시설하우스 설계시 농식품부에서 지정고시(‘08. 9월)한 지역별 내재해 설계강도

      기준 및 내재해형 규격시설체제로 전환

   농가의 주요재해 대응요령풍수해 보험 가입 지도ㆍ홍보 등을 통한 농가의

       재해 대응력 제고

 

 【 인삼재배 시설

□ 농식품부에서 지정고시(‘08. 9월)한 내재해기준(지역별 내재해

    설계강도기준 및 내재해형 규격시설)시설을 설치하도록 지도 강화

  내재해기준 시설 조기 정착을 위해 내재해형 중심으로 정부,

     지자체 지원사업 추진

  ○ 시설의 강도, 내구성, 균질성 등이 우수한 규격시설 설치 권장

    * 비규격시설은 재해복구비 등 각종 지원사업에서 제외하여 규격시설 전환 유도

□ 대설시 경작자 스스로 눈쓸어 내리기, 차광망 제거 등 자율적으로

    재난에 대처하도록 행정지도 강화

 【 축산시설

□ 무허가 비닐하우스 시설에 가축을 사육하지 않도록 계도

□ 대설피해에 대비 지역여건에 맞는 축사시설 보강 계도

  ○ 대설피해 우려가 높은 지역은 축사건축시 버팀목 골조 강화 등

□ 제설 및 시설보강을 위한 지원체계 마련

  ○ 제설장비 및 버팀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철재파이프 등을 확보

  제설 및 폐사축을 신속히 처리하기 위해 복구에 필요한 인력 및 장비동원

    체계를 구축 및 방역 필요시 방역인력 현장 급파

□ 중장기적 축산시설의 설해예방 대책 추진

  ○ 표준설계에 따라 축사를 신축할 수 있도록 축산농가 계도

  농가의 주요재해 대응요령풍수해 보험 가입 지도ㆍ홍보 등을 통한 농가의

      재해 대응력 제고


 다 . 농작물 피해경감 대책

 【 맥  류

  적기 파종, 균형 시비, 균일한 복토작업 등 추진 

   배수구 정비작업을 겸한 흙덮기 및 밟아주기

   볏짚, 퇴비, 왕겨 등으로 피복하여 한파 등에 대비


채소류

□ 사전대책

  지역특성에 맞는 작목 선택 및 적정온도관리 재배기술 지도

      * ( 示) 중부: 저온성 채소(시금치, 딸기 등) / 남부: 고온성 채소(토마토, 메론 등)

  온실작물 동해방지대책 방안 강구

     지중난방시설, 온실커튼, 물커튼(수막재배), 축열주머니* 등 설치

      * 축열주머니 : 작물사이에 직경 20~30cm의 비닐호스에 물을 채운

                      주머니

  온실 보온관리 강화 및 시설 보완

     아침에 피복물을 벗겨주고 일몰 전 보온피복으로 방열 방지

     2중 온실 출입문, 보온벽 및 방풍벽 등 설치

□ 사후대책

  정전 등으로 가온이 어려울 경우 숯 등을 연소시켜 보온유지

  살균제 및 요소엽면 살포로 생육 촉진

  언 피해 등으로 수확이 불가능 할 경우 타 작물로 대체


 【 과수류

□ 사전대책

  땅속에 매몰 또는 복토하거나 수관부위를 피복하여 월동에 대비

     * ( 示) 월동대비 방법

       묻어주기 : 흙으로 30cm정도 덮어줌(포도)

       싸매주기 : 지상에서 80∼100cm 부위까지 짚으로 싸매줌

       흙덮기 : 지제부에서 30∼40cm 높이로 흙을 북돋아 줌

       백도제, 수성페인트 발라주기 : 지상에서 1m 부위까지 도포

   적설로 인한 붕괴예방을 위해 과수 방조망(윗부분) 제거

□ 사후대책

  동해 발생 상태에 따라 적정 시비 추진

    * ( 示) 꽃눈이 동사하여 열매가 달리지 않는 나무는 질소비료 30∼50% 

      감량

  동해발생 부위에 따라 과수 회복작업 추진

     동해 발생 과수는 꽃눈 피해정도에 따라 전정(가지 손질) 추진

     * 꽃눈 50%이상 언 피해 : 평년대비 열매가지를 2배이상 남김

     * 꽃눈 50%이하 언 피해 : 평년대비 열매가지를 20% 더 남김

     줄기 피해 시 웃자란 가지를 활용하여 수관 형성 유도

 

파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