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기술정보

농업관측정보


농업기술정보 > 관측정보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제공
제목 주간농사정보 제3호
내용

주 간 농 사 정 보

<제3호, 2010. 1. 10∼1. 16>

 

☞ 관측정보(한국농촌경제연구원)


□ 과채

 ○ 오이, 호박 최근 가격 높아 출하면적 늘고 출하량 많을 듯

   백다다기오이는 영남지역 재배 증가로 출하면적 5% 늘고 가격 낮을 전망

   애호박은 영남지역 작목전환으로 출하면적 늘어 가격 작년보다 낮을 듯

   쥬키니호박은 출하량 줄지만 애호박 물량 많아 가격 작년과 비슷할 전망


 ○ 딸기 제외한 과일과채 출하량 적어 가격 작년보다 높을 전망

   토마토는 전월 가격 낮아 충청지역 조기종료로 출하량 줄고 가격 높을 듯

   수박은 정식기 가격하락으로 출하량 5% 줄어 가격 높을 듯

   딸기는 국산품종 설향 재배면적 늘어 출하량 많고 가격 낮을 듯


 ○ 겨울철 정식의향 오이, 호박 증가하나 일반토마토, 수박 감소할 듯

   백다다기오이, 애호박은 충청지역 신규면적 늘어 작년보다 증가할 전망

   일반토마토 출하기 가격기대로 조기 정식하여 12월 1%, 내년 1월 3% 감소할 듯

   수박은 고령화 및 노동력 부족으로 겨울철 정식면적 감소하나 참외는 비슷할 듯

 

□ 축산


<1월 육계 가격 전년보다 하락 전망>

 ○ 2010년 1월 육계 사육 마리수는 전년보다 8.7% 증가 전망

   11월 종계 배합사료 생산량은 전년보다 18.3% 증가한 20,369톤

 ○ 닭고기 총공급량은 전년보다 18.1% 증가한 5,936만 마리 전망

   2010년 1월 도계 마리수는 전년 동월보다 9.7% 증가한 4,839만 마리 전망

 ○ 공급 증가로 2010년 1월 육계 산지가격은 1,900?2,100원/kg 전망

    닭고기 공급 증가로 인해 산지가격은 전년대비 하락 전망

 ○ 2010년 1월 닭고기 총공급량 전망 

단위 : 만 마리

구 분

도계마리수(C)

수입량(D)

비축물량(E)

공급계(C+D+E)

2010년(A)

4,839

715

382

5,936

2009년(B)

4,411

152

463

5,026

증감률(A/B, %)

9.7

370.1

17.6

18.1

 

 ☞ 폭설 및 한파에 따른 농작물 관리요령

1. 사전대책

 ○ 자동화하우스 표준설계서에 의한 내재해성 하우스시설 설치

   강도가 높은 파이프 이용 비닐하우스 설치(Ø25mm이상)

    대설 상습 지역은 내재해성 표준 하우스 설치

   폭풍대비 골격은 트러스구조로 설치하거나 지주 또는 ×형 브레싱(Bracing)을 세워

     보강

    하우스 동과 동 사이는 1.5m이상 확보하여 하우스 적설 방지

 ○ 폭풍 상습 지역은 하우스 높이를 낮게 하고 지붕의 경사각을 낮추어 설치(30°이하)

     하여 바람 피해 방지

 ○ 비닐하우스의 피복비닐이 바람에 날리지 않게 비닐끈 등으로 견고히 묶고, 노후화

      되거나 붕괴우려 농업시설물은 버팀목을 보강하여 무너지지 않게 함

 ○ 찢어진 비닐은 즉시 보수하거나 교체하여 시설 내 기온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고, 비닐하우스,

      축사 등 지붕에 눈이 쌓이지 않도록 수시로 쓸어내림

 ○ 비닐하우스, 축사 옆 배수로를 깊게 설치하여 눈 녹은 물로 인하여 습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제설 장비의 확보 비치 등 사전 조치

 ○ 비닐하우스 위에 눈이 쌓여 붕괴가 우려될 경우 비닐찢기로 골재 붕괴를 예방하고,

     비닐찢기 작업중에는 안전사고에 유의

 ○ 과수 방조망은 과실 수확후 망 윗부분을 걷어내어 적설로 인한 붕괴 피해 예방조치

 ○ 기온 급강하에 대비한 보온 기자재의 사전?정비 점검 철저

 ○ 한파대비, 기후조건에 맞는 작물선택과 안전 작기 준수

 ○ 축열주머니, 가연성 물질 준비, 지온, 기온 상승 대책 강구

 ○ 다중 피복, 보온 및 방풍벽 설치

 ○ 온수 보일러실은 태양열, 지중가온 시설 설치

2. 사후대책

 ○ 폭설로 비닐만 파손된 하우스는 조속히 비닐을 씌우고, 소형터널을 2?3중으로 피복하여

     작물의 저온장해를 최소화.

 ○ 온풍난방기 등 가온시설이 설치된 하우스는 내부 보온시설을 걷고 온도를 높게 가동하여

       지붕위에 쌓인 눈을 녹아내리게 함으로써 햇빛이 하우스 안으로 들어오도록 관리.

 ○ 정전으로 가온시설의 작동이 불가능한 경우 섬피, 부직포 등을 이용하여 소형터널을

     설치 후 피복하여 생육최저온도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관리.

 ○ 피해가 심하여 회복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재파종 또는 육묘 후 정식.

 ○ 언 피해를 경미하게 받아 회복이 가능한 포장은 햇빛을 2?3일간 가려 주었다가

     서서히 햇빛을 받도록 관리.

 ○ 보온용 커튼이나 보온덮개는 해가 뜨는 즉시 걷고 온풍난방기를 가동하여 햇빛을

     많이 받도록 하고, 오후에는 해가 지기 전에 피복재를 덮어서 보온력을 높이도록 관리.

 ○ 촉성재배를 하는 하우스나 육묘상은 한낮에는 환기를 실시하여 온도를 알맞게 해주고,

      밤에는 섬피ㆍ커튼ㆍ이중 터널 등으로 보온을 실시하여 열매채소는 12℃, 잎채소는 8℃이상

      유지되도록 관리.

 ○ 웃거름을 줄 때는 가스 발생이 많은 요소보다는 유안을 사용하도록 하고, 비료를 준

     다음에는 비료가 보이지 않도록 흙으로 덮어 줌.

 ○ 저온장해로 인하여 생육이 부진한 포장은 요소 0.2%액이나 제4종복비 등을

     엽면살포하여 생육을 촉진시킴.

 ○ 가능한 점적관수 시설을 이용하여 물과 비료를 동시에 주는 것이 효율적이며, 물은

     오전에 주도록 하고 하우스 내부가 과습하지 않도록 관리.

 ○ 피해 농작물의 비배 관리 대 농민 기술지도로 피해 최소화

 ○ 방목 중인 가축은 축사에서 사양하여 갑자기 저온에 의한 호흡기 질환에 걸리지 않도록 관리.

 ○ 미지근한 물을 많이 급여하고, 양질의 사료와 농후사료를 적당히 먹여 저온에도

     영향을 받지 않게 함.

 ○ 축사는 바람 등이 직접 통하지 않도록 문을 닫아 주거나 비닐을 쳐서 바람피해를 맞지

     않도록 함.

 ○ 기타 호흡기질환에 걸렸거나 대비하여 치료 및 예방접종 실시.


[작물별 생육적온과 한계온도]

작  물

낮 기 온

밤 기 온

지    온

고온한계

적 온

저온한계

적 온

최고한계

적 온

최저한계

토마토

  35℃

25?20

5

13?8

25

18?15

13

가  지

35

28?23

10

18?13

25

20?18

13

피망(고추)

35

30?25

12

20?15

25

20?18

13

오  이

35

28?23

8

15?10

25

20?18

13

수  박

35

28?23

10

18?13

25

20?18

13

참  외

35

25?20

8

15?10

25

18?15

13

멜  론

35

30?25

15

13?18

25

20?18

13

호  박

35

25?20

8

15?10

25

18?15

13

딸  기

30

23?18

3

10?5

25

18?15

13


 ☞ 이 주일에 실천 할 농작업

1. 벼 농 사

 ○ 보급종 종자를 확보하지 못한 농가는 농업기술센터에 문의하여 시범포산 등 지역에

     알맞은 우량종자를 확보하도록 한다.

 ○ 새로 확보한 종자는 농촌지도 담당공무원을 통하여 품종특성을 미리 파악하도록

     한다.

    새로운 품종에 대한 적응지역, 시비량, 병해충 및 쓰러짐 저항성 등 특성을 파악하여

      재배하도록 한다.

    조생종 품종을 평야지에서 재배할 경우 대체적으로 벼 키가 커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쓰러짐 방지에 유의하고 목도열병 발생이 심한 시기에 출수하므로 목도열병 방제에

     힘써야 한다. 또한 주변의 다름 품종보다 이른 출수로 새와 쥐 피해가 클 염려가 있으

     므로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조생종은 중만생종에 비하여 등숙기의 밤ㆍ낮

     온도가 높아 미질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품종 선택시 유의하여야 한다.

    직파재배는 저온발아성, 담수토중 발아성(담수직파), 초기신장성이 높고 뿌리가 깊게

      뻗고 키가 작으며 쓰러짐에 강한 직파 전용품종을 선택한다.

    상습적으로 잘 쓰러지는 곳에서는 쓰러짐에 강한 품종을 재배하고 규산 및 칼리질

      비료를 충분히 주고, 새끼칠 거름은 적기에 적량을 시용한다.

2. 밭 농 사

  ○ 산간지나 배수 불량하고 습해 우려가 있는 논보리는 동해 피해가 우려되므로 거친

      퇴비라도 덮어 주어 혹한에 대비토록 한다.

  ○ 생육정지기에 들어간 보리는 휴면 상태에 있으나 겨울동안 보리 포장이 낮에는 녹았

      다. 밤에는 얼었다를 반복하면서 보리 들뜸 현상이 발생되니 동해에 의한 피해보다는

      건조에 의한 피해 발생이 더 크므로 트랙터 부착 롤러 등을 이용한 답압작업을 해주어

      피해를 최소화 하여야 한다.

  ○ 현재, 움저장을 하고 있는 고구마는 12~15℃의 온도와 85~90% 정도의 도를

       유지하여야 안전한 저장이 되며, 저장 중 물이 스며들지 않아야 썩지 않게 된다. 또한, 씨고

     구마로 사용하기 위하여 저장고를 자주 들락거리면 온도와 습도 조절이 곤란하므로

     하우스 육묘에 치상하는 날짜를 잘 선택하여 한번에 씨고구마를 꺼낼 수 있도록 하여

     야 한다.

  ○ 감자 저장을 위하여 알맞은 조건은 2~4℃ 온도와 80~85%의 습도 유지가 좋으며

     극남부지방의 시설재배 지역에서는 묘상준비를 위한 자재와 종서 등을 미리미리 준비

     해 두도록 한다.

3. 채 소

 가. 시설채소 

  보온용 커튼이나 피복재는 해가 뜨는 즉시 일찍 걷어 주어 햇빛을 많이 받을 수 있게 하고,

      해지기 전에 닫아 야간 보온력을 높게 해준다.

  ○ 육묘상이나 오이, 토마토, 풋고추 등 시설재배 열매채소는 야간 최저온도를 12℃

      이상, 상추 등 잎채소는 8℃ 이상 유지되도록 보온 및 가온을 해준다

  ○ 물주기는 점적관수를 이용하여 오전 중에 알맞은 양을 주도록 하여 하우스 내부가

      너무 습하지 않도록 관리한다.

  ○ 온풍난방기 장기간 사용시 버너와 열교환기에 분진 축적으로 열효율이 저하되므로

      온풍난방기 점검 및 분진제거로 열 이용 효율을 높이도록 한다.

 나. 마늘, 양파

  ○ 겨울철에 비가 내리거나 눈이 녹으면 토양이 과습하지 않도록 배수관리를 철저히

     해주고, 피복한 비닐이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흙으로 덮어 고정시켜주며, 갑작스

      러운 추위에 대비 볏짚ㆍ왕겨 등을 덮어주고, 고자리파리, 양파 노균병 등 병해충을 잘

      관찰하도록 한다.

 다. 가지과 채소 (토마토, 가지, 고추, 파프리카 등)

  ○ 온도조건이 좋아 작물체가 지나친 영양생장을 하면 착과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증산량 증가로 수분관리에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니, 수경재배에서는 급액관리에

       주의해야 하고, 갑자기 온도가 하강할 경우 스트레스로 인한 기형과 등의 생리장해과

      발생이 많아질 수가 있고, 흰가루병, 진딧물, 온실가루이 등의 피해가 증가할 우려가

      있으니

  ○ 영양생장이 지나치게 강할 경우에는 관수 및 추비량을 줄이고, 이산화탄소를

      시용하는 작물은 영양생장기에는 농도를 다소 낮추어 주고 과실 비대기에는 높여 주도록

      하고, 토양수분 및 배지 내 함수량이 부족하지 않도록 관수량 조절을 해주도록 한다.

  ○ 기온이 떨어지면 뿌리의 활력감소로 식물체가 위조증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으므로

      적절한 적엽이 필요하며, 갑작스런 온도 강하 시에도 최저 설정온도가 유지되도록

      한다.

 라. 딸기

  ○ 딸기는 병해충 방제를 철저히 하고, 알맞게 환기를 시켜 웃자라지 않도록 관리하여

      과실의 연화를 방지하며, 적과 및 액아제거를 철저히 하여 묘의 세력 약화를 예방

      한다.

4. 과 수

  ○ 기후 변화에 따라 폭설이 예상될 경우 지난 해 설치하였던 방조망에 눈이 쌓여 붕괴될

       우려가 있으니, 방조망을 양쪽으로 걷어 피해를 방지하도록 한다.

  ○ 지난봄부터 가을까지 과수 나무에 발생하였던 각종 병해충이 병든 잎ㆍ가지ㆍ과실ㆍ잡초

      등에서 겨울을 나게 되는데 병해충이 숨어서 겨울을 나고 있는 병든 잎ㆍ가지ㆍ과실

      등을 모두 모아 태우거나 땅속 깊이 묻어 주도록 한다.

  ○ 저장고 관리 : 저장적온이 유지되도록 온도관리를 잘해야 하는데 닥트 시설이 안된

                          저장고는 냉각기 앞에 찬공기가 직접 닿는 가까운 부분의 과실은 온도

                          가 낮아 얼거나 또는 과실이 건조되어 쭈글쭈글하여 상품가치가 없게

                          되므로 바로 앞 부분은 공간을 띄우거나 비닐을 덮어 찬공기가 직접

                          과일에 닿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 또한 과실 저장 중에 발생하는 에틸렌 가스, 이산화탄소 등 유해 가스 축적되지

      않도록 과실 저장고는 주기적으로 환기를 실시해 준다.

5. 화 훼

  ○ 저온 및 강설 등 겨울철 기상에 따른 난방기 점검을 평소에 잘하고 눈이 많이 내릴

      때는 하우스 피해가 나지 않도록 눈을 쓸어내리도록 한다.

  ○ 장미의 휴면을 타파시키기 위하여 가온을 시작할 때는 장미의 키를 낮추어 주는 전면

      적인 절단을 해 주도록 한다. 전정 후는 병해충을 방제하기 위하여 묵은 가지나 잎을

       완전히 제거하여 월동 해충의 월동 장소를 없애 주도록 한다.

  ○ 현재 꽃을 생산하는 장미 하우스는 온도를 16℃이상 되도록 관리해 주고, 겨울철에는

      일조량이 부족하기가 쉬우므로 보온 자재 관리에 세심한 신경을 쓰도록 한다.

  ○ 또한, 생육온도가 5℃이하가 되면 생리장해 발생 및 생육이 정지되고, 0℃가 되면 낙엽이

      지고 휴면이 시작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 거베라는 토양 가온에 의한 지온상승 효과가 커서 겨울철에 수확량이 늘릴 수 있으므

      로 지중가온 시설을 이용하여 18?20℃ 정도의 지온을 유지해 주도록 한다.

6. 느타리버섯 재배

  ○ 버섯 재배사와 배지의 온도는 겨울철 재배에 적합한 10?16℃ 정도가 항상 유지될 수

      있도록 보온관리를 잘 해 주도록 하고, 단열시설은 수시로 점ㆍ보완하여 주고 노후화

      된 시설은 교체하여 준다.

  ○ 버섯 재배사 실내 습도는 85% 정도가 유지되어 균상이 마르지 않도록 하고, 신선한 공기가

      항상 유지되도록 환기관리를 철저히 해주도록 한다.

  ○ 버섯자실체에 수분이 오랫동안 머물게 되면 세균에 의한 갈변병이 발생하기 쉬우므

      로 관수 후에는 반드시 환기작업을 실시하여 버섯 갓의 수분을 증발시켜 갈변병 발생

      을 사전에 막아주도록 관리하여 준다.

7. 가축 및 축사관리

  ○ 조류인플루엔자의 예방을 위하여 매일 사육하는 닭이나 오리를 관찰하여 질병이

      의심되면 방역당국에 즉시 신고하고, 감염된 가축은 절대로 판매하거나 자체 처리해

      서는 안 되며, 외부인의 축사출입을 철저히 차단한다.

  ○ 휴경지 월동용 사료작물재배에서 동해를 방지하기 위한 배수관리, 답압을 이행하고,

      야생조류와 야생동물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재배포장를 수시로 관찰하고

      주의관리를 하여야 한다.

  ○ 폭설에 대비하여 축사와 가축분뇨 처리시설을 점검ㆍ정비하여 붕괴를 막고 가축분뇨퇴

      비장은 기온이 저하됨에 따라 적정량의 수분조절재를 혼합하여 발효가 잘 되도록 해

      주고 액비저장 탱크에는 발효제를 첨가하거나 폭기를 철저히 하여 부숙이 잘되어

      악취가 완전히 제거된 액비를 이용한다.

  ○ 전기사용 부주의로 인한 축사 화재 발생의 우려가 있으므로 전기의 적정량을 준수

     하고 축사내외부의 전선 피복여부와 전열기구 등을 정비ㆍ점검을 실시한다.

파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