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기술정보

농업관측정보


농업기술정보 > 관측정보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제공
제목 5월 버섯관측
내용  

■ 신규 접종을 위한 표고자목 구입 지역별 차이가 큰 듯 

  신규 접종을 위한 표고자목 구입방법은 경기지역이 자가벌채 비율이 높고, 강원, 전남지역은 해당  시.군지역에서 구입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4월 중순 이후 표고 생산? 증가 전망 

  이상기온으로 원목 생표고 생산량은 감소할 것으로 보이나, 톱밥배지표고의 신규 접종 봉 수 증가로  생표고 전체 생산량은 증가하고, 건표고는 "08, "09년 저온성 접종이 많아 생산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생표고 가격 상승, 건표고 작년 가격수준 유지할 듯 

  4월 중순 이후 생표고 가격은 원목 생표고 생산량 감소로 작년 동기보다 상승하겠지만, 5월 초에는  톱밥배지표고 등의 출하로 작년 동기수준을 유지할 전망이다. 건표고가격은 생산량 증가가 전망되어  작년 가격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 건표고 수출 감소, 생표고 수입 증가할 듯 

  건표고는 내수 위주의 판매가 예상되어 수출 감소가 지속될 전망이며, 생표고 수입은 중국의 수출물량 부족으로 전월보다 감소하겠지만 작년 동기보다는 증가할 전망이다. 

 

■ 표고자목 구입방법 지역별 차이나

 신규 접종을 위한 표고자목 구입방법은 해당 시?군내에서의 구매 비율이 60.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지역별로는 경기(50.0%)지역은 자가벌채, 강원(100%), 전남(83.3%), 충북(75.0%),  충남(62.4%) 등은 해당 시ㆍ군내에서 구매하는 특징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3월 원목표고 생산량 작년 보다 감소 

 저온 등 기상변동과 자목의 노목비율 증가로 원목 생표고 생산량은 작년 동기보다 3.8% 감소, 건표고   생산량은 6.5% 감소하였다.

올해 톱밥배지 접종 봉 수가 증가하면서 톱밥배지표고 생산량은 작년 동기대비 9.4% 증가하였다. 

원목표고는 잦은 비로 품질이 불량하고, 톱밥배지표고는 집약적 관리를 통해 전반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3월 표고 생산량 증감률 및 품질 음답률

구분

작년대비 생산량 증감률

작년대비 품질 응답률

전국

강원

경기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좋음

보통

나쁨

생표고

3.8

2.2

0.6

9.2

2.3

0.3

2.0

24.6

52.3

23.1

건표고

6.2

0.0

1.6

9.6

16.7

12.4

6.7

7.7

30.8

61.5

톱밥배지표고

9.4

22.9

17.1

0.0

41.7

19.5

100.0

0.0

0.0

    

주: 주1: 표본임가 조사치(3월 23일 ? 4월 1일)

주2: “ ”는 무응답임.

 

■ 4월 중순 이후 건표고 및 톱밥배지표고 생산량 증가할 듯 

 

  4월 중순 이후 원목 생표고 생산량은 감소할 전망인데 이는 ’08년도 중온성 계열 접종 감소와

  저온 등의 기상변동이 지속되면서 버섯 발생이 늦어졌기 때문이다. 

 반면, 톱밥배지표고의 올해 신규 접종 봉 수가 증가하여 본격적인 생산시기인 5월 초에 출하가

 증가할 전망이어서 생표고 전체 생산량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품질은 전반적으로 양호할

 것으로 예상된다. 

 건표고는 ’08, ’09년도 저온성 접종이 많아 올 봄 생산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품질은 건조 기후로  

 보통수준 정도로 예상된다. 

   

 4월 중순이후 표고 생산량 및 품질 전망 

구분

작년대비 생산량 증감률

작년대비 품질 응답률

전국

강원

경기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좋음

보통

나쁨

생표고

2.9

22.0

2.3

14.1

1.7

1.8

2.3

0.0

14.2

4.0

36.5

55.8

7.7

건표고

0.7

7.2

0.0

7.4

1.0

0.1

3.8

3.9

9.8

33.8

64.6

1.5

톱밥배지표고

14.7

28.6

65.6

0.0

33.3

12.5

84.6

15.4

0.0

주1: 표본임가 및 지역자문 조사치(3월 23일 ? 4월 1일)

주2: “ ”는 무응답임.

 

■ 4월 중순 이후 생표고 가격 작년 보다 상승할 듯 

 

 3월 생표고 도매가격은 4㎏당 특품 42,756원, 상품 28,864원, 중품 17,202원, 하품 8,988원으로 수입산 재고물량 증가와 잦은 비로 인한 품질 저하로 특?상품 가격이 상승하였고 중?하품은 하락하였다. 

 

 4월 중순 이후 생표고 가격은 원목 생표고 생산량 감소로 작년 동기보다 상승하겠지만, 5월 초에는 톱밥배지표고 및 봄철 나물의 출하로 작년 동기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생표고 등급별 평균 도매가격과 반입량 

                                                                                                                                      단위: 원/4kg, 톤

년도

구분

2월

3월

4월

'10

특품

39,493

42,756

44,283

상품

27,612

28,864

30,816

중품

19,748

17,202

21,852

하품

13,668

8,988

12,258

반입량

332

482

74

'09

특품

36,113

38,391

43,883

상품

25,559

27,726

30,743

중품

16,954

18,379

21,218

하품

9,745

10,325

12,322

반입량

430

501

460

자료 : 가락시장

주1 : 월별 가격은 가락시장 일일 도매가격의 월별 평균가격을 의미함.

주2 : 4월 자료는 4월 5일까지의 자료임.

 

 건표고 월별 입찰 동향 

연도

등급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0

백화고

흑화고

288

동고

120

향고

90

향신

65

슬라이스

82

등외

48

입찰물량

19.1

'09

백화고

420

478

424

430

420

420

흑화고

248

270

250

260

270

270

동고

99

110

100

100

105

112

향고

79

88

80

80

86

89

향신

69

72

70

70

7070

70

등외

41

43

42

45

48

48

입찰물량

31.9

74.5

25.4

20.1

37.7

31.5

자료: 가락시장

주1: 일일가격은 5일 이동평균가격임.

주2 : 3월 가격 자료는 3월 5일까지의 자료임.

주3: 평년가격은 ‘05~’09년의 가격 중 최대치, 최소치를 제외한 평균가격임. 

 

■ 4월 중순 이후 건표고 가격 작년 수준 유지 전망 

 

 장흥 유치농협의 첫 입찰은 작년보다 늦은 3월 18일에 있었으며, 물량은 작년보다 감소하여 등급별로 전반적으로 작년 동기보다 12.5% 상승하였다. 

잦은 비로 인한 건표고 품질 저하로 최상품인 백화고 물량은 없었으나 식자재용으로 편리하게 이용되는 슬라이스는 소비자 선호도가 증가하면서 1관(3.75㎏)당 7만 5천 원에서 최고 12만 원대를 형성하였다.

4월 중순 이후 건표고 가격은 생산량 증가가 전망되어 작년 가격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 4월 중순 이후 건표고 수출 감소 이어질 듯 

3월 건표고 수출량(잠정치)은 7톤으로 작년보다 62.5%, 전월보다 76.0% 감소하였다. 주요 수출국은 홍콩(48.9%), 일본(39.7%), 대만(11.1%), 캐나다(0.3%) 등이다.

이는 일본의 지속적인 경기침체와 국내 건표고 출하량 감소로 수출보다는 내수 위주의 판매가 주를 이룬 것으로 보여지기 때문이다. 

4월 중순 이후에도 내수 위주의 판매가 주를 이룰 것으로 보여져 건표고 수출 감소는 지속될 전망이다. 

 

■ 4월 중순 이후 생표고 수입량 작년 보다 증가할 듯 

3월 생표고는 작년 동기보다 3배 증가한 119톤이 수입되었으나 수입산 재고물량 증가로 전월 보다 3배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4월 중순 이후에는 중국 표고버섯 주산지인 절강성, 복건성의 표고 생산이 마무리됨에 따라 수출 물량 부족으로 생표고 수입량은 전월 보다 감소하겠지만 작년 동기보다는 증가할 전망이다. 조제표고는 외식업 등의 소비수요 증가로 수입량이 지속될 것으로 보여진다.  

 

수입실적(남북교역량 포함)

단위 : 톤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누계

'10

생표고

364

408

112

884

건표고
(북한산) 

241
(50) 

252
(30) 

113

607
(80)

조제
표고

797

428

508

1,733

'09

생표고

223

108

37

45

60

36

66

37

58

108

128

394

1,301

건표고
(북한산) 

280
(133) 

106
(26) 

164
(31) 

202
(52) 

276
(103) 

262
(82) 

217
(72) 

163
(33) 

113
(0) 

122
(0) 

124
(30) 

296
(71) 

2,322
(614)

조제
표고

368

201

327

353

182

317

369

429

350

277

192

727

4,092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관세청(www.customs.go.kr). 통일부(www.unikorea.go.kr).

주1: 3월의 수입실적은 관세청 잠정 추계치임.

주2: 북한산 건표고의 2010년도 반입한도는 600톤임. 


■ 건표고 입찰일 예고 

4월 14일(확정) 전남 장흥군 장흥유치농협 (문의처: 061 863 8130) 

4월 19일(확정) 경북 문경시 산동농협 (문의처: 054 553 2735) 

4월 22일(확정) 전남 장흥군 용두농협 (문의처: 061 862 9713) 

4월 28일(확정) 전남 장흥군 장흥유치농협 (문의처: 061 863 8130)

4월 말?5월 초(예정) 전북 진안산림조합 (문의처: 063 433 2547) 

5월 초?중순(예정) 충남 천안시 광덕농협 (문의처: 041 567 0009) 5월 예정인 곳 : 거제산림조합 (문의처: 055 636 2038), 영동산림조합 (문의처: 043 742 3961) 

 

 4월 중순에는 이동성고기압과 기압골의 영향을 받겠으며, 기온과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음. 남쪽을 지나는 기압골의 영향으로 남해안 지방에는 한 차례 많은 비가 오겠음. 하순에는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기온은 평년보다 높겠고, 강수량은 평년보다 적겠음. 5월 상순에는 기압골의 영향으로 남서기류가 유입되어 기온은 평년보다 높겠음.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고,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한 차례 많은 비가 오겠음. 

 

■ 순별 평균기온 및 강수량 

단위 : ℃,㎜

구분

서울

강릉

대전

대구

전주

광주

부산

제주

4월중순

최고기온

17.7

17.6

19.1

20.0

19.2

19.2

17.7

17.3

최저기온

7.2

7.5

6.2

7.8

6.6

7.1

9.7

9.7

강수량

26.4

25.9

30.6

28.4

31.4

32.2

45.3

27.8

4월하순

최고기온

19.9

20.0

21.5

22.6

21.7

21.6

19.5

19.1

최저기온

9.5

9.9

8.6

10.0

9.1

9.5

11.5

11.5

강수량

29.1

25.8

28.8

23.6

26.6

32.8

50.9

33.7

5월상순

최고기온

21.3

21.2

22.4

23.7

22.8

22.4

20.4

20.3

최저기온

10.9

11.2

10.0

11.4

10.5

10.7

12.8

12.6

강수량

36.3

26.7

33.8

29.9

34.6

42.2

64.0

32.8

주:강수량은 1971~2000년의 평균치임

 

* 임업관측 2010년 6월호 예고(예정일자 : 2010. 5. 15) * 

 품목: 표고버섯

 내용: 표고버섯 재배 동향, 가격 동향, 수출입 동향 

『임업관측월보』는 인터넷과 임업전문지를 통해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임업관측월보』와 관련하여 의견이 있으신 분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인터넷 홈페이지 내의 우측【바로가기】을 선택한 후【질의응답】을 이용하여 의견을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홈페이지 ☞ http://www.krei.re.kr ☎ 02) 3299 4383 FAX : 02) 960 0165 http://www.forest.go.kr ☎ 042) 481 4207 FAX : 042) 481 4198

담당자 : 장철수, 석현덕, 김성주

자료출처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파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