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농업기술정보

농업관측정보


농업기술정보 > 관측정보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제공
제목 6월 식량작물
내용

Ⅰ. 기상전망(2010년 6월 1일 ~ 6월 30일)

○ 기  온 : 평년(16~23℃)보다 높겠음.

             6월 상순과 중순에는 평년보다 높겠고, 일시적으로 고온    현상이 나타날 때가 있겠음.

             하순에는 평년과 비슷하겠음.

○ 강수량 : 평년(106~279㎜)과 비슷하겠음.

             6월 상순에는 평년보다 적겠음.

             중순과 하순에는 평년과 비슷하겠으나 기압골의 영향으로     지역에 따라 많은 비가 오겠음.


Ⅱ. 식량작물 당면 영농작업

1. 벼

 가. 제초제 처리

지난해 잡초발생 상태에 따라 제초제를 선택하여 초기 토양처리제 1회, 중기 경엽처리제 1회 체계 처리하여 완전방제토록 함.

토양처리제는 처리 후 5일 이상 담수상태를 유지해야 하며, 경엽처리제는 물을 완전히 뺀 다음 살포함.


<어린모 재배시기별 제초제 약해 및 잡초 방제가>

처 리 내 용

5월 30일

6월 15일

처리제초제

처리시기

약해

방제가

약해

방제가

 

 

0~9

 

0~9

 

벤치오카브 fb 벤타존

이앙 후 5 fb 25일

0

95

피라졸레이트

이앙 후 5일

0

44

부타크로르 + 벤설푸론

이앙 후 5일

2

78

1

77

메페나셋 + 벤설푸론

〃 10일

2

78

0

84

벤설푸론 + 퀸크로락

〃 10일

1

85

0

87

  ※ fb : ~한 후에

  ※ 공시품종 : 동진벼

 

나. 물관리

 ○ 이앙 후 뿌리 활착을 촉진시켜 식상(몸살)을 완화하고 제초제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물을 깊게(5~6㎝) 유지함.

 ○ 제초제처리 5~7일 후에는 분얼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물을 얕게(2~3㎝) 유지함.


<이앙 재배시 벼의 생육시기별 관개용수량>

생 육 시 기

관개용수량(㎜)

비율(%)

 뿌리 내림기(출수 전 60~65일)

142

17

 참새끼 치는 기간(출수 전 55~45일)

101

12

 헛새끼 치는 기간(출수 전 45~35일)

17

2

 새끼치기 줄어듬(출수 전 35~25일)

92

11

 어린이삭 자라는 기간(출수 전 25~15일)

134

16

 이삭밸 때(출수 전 15~5일)

193

23

이삭패기 전?후(출수 전 5일~출수 후 5일)

125

15

 여뭄 전기(출수 후 5일~출수 후 15일)

34

4

838

100


 다. 새끼칠거름 시비

 ○ 전 생육기간 중 총 시비하는 질소질비료 성분량 9㎏/10a의 30%정도인 2㎏/10a을 이앙 후 2주 경에 시비하여 가지치기를 촉진시킴.

   ※ 벼 표준시비 분시방법 개선(‘00~’01, 식량원, 충남, 전남, 경?남북도원)

     분시회수를 4회에서 3회로 줄임으로서 노력시간 절감

     벼 재배에서 기존 표준시비의 분시방법인 기비 분얼비 수비 실비 = 50 20 20 10%에서 미질을 저하시키는 실비(알거름)를 생략한 기비 분얼비 수비 = 50 20 30%로 개선함.

  ○ 새끼칠거름은 모내기 후 12~14일경에 주고, 이음거름 절대 금지

     이음거름을 주면 헛새끼치기를 많이 하여 벼가 연약해지고 잎도열병 등에 걸리기 쉬우며, 벼 키가 크게 되어 쓰러지기 쉬움.

<일반재배에서의 알맞은 시비 비율(성분량, 10a 기준)>

구     분

밑거름

웃거름

새끼칠거름

이삭거름

 

 

평야지논

중간지논

보통논

미숙논

제때모내기

늦모내기

9㎏

8

5㎏

6

2

2㎏

2

모래논, 고논

9

5

2

2

 

중산간 및 냉조풍지논

9

5

2

2

 

산  간  고  랭  지  논

9

7

2

 

만  기  재  배  논

9

7

2

 

염      해      논

11

3

2회(2, 2)

2회(2, 2)

 

인              산

4.5

4.5

 

칼              리

5.7

4.0

1.7


 라. 병해충 방제

  ○ 모내는 날 입제농약 상자처리로 농약사용량 및 방제횟수를 감축할 수 있음.

     벼물바구미+애멸구+저온성해충+잎도열병 등 동시 방제

 ○ 벼물바구미는 야산과 가까운 논이나 매년 발생이 심한 논에서는 피해가 예상되므로 모내는 날 방제를 하지 못한 농가는 모낸 후 10~15일경에 방제토록 함.

 ○ 줄무늬잎마름병을 매개하는 애멸구나 벼잎벌레, 굴파리류 등 저온성 해충의 발생이 많은 지역에서는 벼물바구미 방제 농약 중 동시에 방제가 가능한 농약을 선택하여 방제토록 함.

 ○ 본논 초기에 키다리병에 걸린 포기가 발견된 경우는 즉시 뽑아서 태우거나 매몰토록 함.

<본논 중기의 병해충 방제 모형>

시 기

입제, 수화제

유 제

6월 하?7월 중

잎도열병 + 벼물바구미

잎도열병 + 벼물바구미

잎도열병 + 잎집무늬마름병

7월 하?8월 상

잎집무늬마름병 + 벼멸구(혹명

나방) + 이삭도열병(조생종)

잎집무늬마름병 + 벼멸구(혹명

나방) + 이삭도열병(조생종)

 

 

2. 콩 재배관리

 가. 잡초방제

화본과 잡초가 많이 발생한 콩밭은 생육 중에 사용이 가능한 잡초약을 선택하여 잡초 5엽기 이전에 뿌려주도록 하고, 일찍 심거나 거름기가 많아 쓰러짐이 우려되는 포장은 본엽 5?7매 때 순지르기를 해 준다.

<콩밭 제초제의 종류와 사용법>

구  분

제초제 이름

적용잡초

시용적기

사용량

토양

처리제

알라유제 입제

일년생 잡초

파종복토직후

200㎕/10a

메토프 유제

300㎕/10a

엘탈푸로라린 유제

60㎕/10a

리누론 수화제

100~150g

경엽

처리제

지호프 유제

화본과 잡초

잡초 3?5엽기

75㎕/10a

세톡시딤 유제

잡초 2?4엽기

150㎕/10a

 

나. 생육시기별 한발에 따른 콩 감수정도

  ○ 콩 생육시기별로 20일간 한발처리를 한 결과, 적습유지에 비하여 생육초기 한발시 5%, 개화기 18%, 협비대 초기에는 22% 감수되어 협비대기 개화기 생육초기 순으로 한발피해가 심하였음.


<생육시기별 한발처리에 의한 수량>

한발처리

적습유지

생육초기

20일간

개화기~

20일간

협비대 초기~

20일간

수   량

429

(100%)

408

(95)

352

(82)

325

(78)

 ○ 공시품종 : 만리콩,   파종기 : 6월 25일,   재식거리 : 60×15㎝

     시 비 량 : 4 7 6㎏/10a

 ○ 한발처리 : 강우 시 비가림하우스 설치

                토양유효수분을 60% 이하 유지

 ○ 적습상태 유지 : 관수실시로 토양수분을 60% 이상 유지


3. 봄감자 수확

 

가. 수확시기

  ○ 일반적으로 지상부가 고사하기 7~10일 전

  ○ 침수로 인한 부패의 가능성이 높아지는 장마철 이전에 수확해야 함.

  ○ 수확이 늦을수록 수량은 증가하나 파종 100일 이후에는 품질이 급격히 떨어지므로 파종 후 100일 전후에 수확하는 것이 좋음.

     6월 하순,7월 상순이 적기임.


 나. 경엽(지상부) 제거

  ○ 조기에 지상부를 제거하면 강우로 인한 표토 유실로 녹색괴경이 발생하고 토양수분의 증발이 저해되어 괴경 부패율이 높아짐.

  ○ 물리적 제거는 노동력이 요구되고 절단부위를 통한 세균감염의 문제점이 있음.

  경엽건조제(레그론)는 수확예정 7~10일 전에 300cc/10a를 골고루 살포

  ○ 수확은 경엽건조제 처리 후 15일경에 하는 것이 적당함

  ○ 고랭지 규격씨감자 생산을 위한 품종별 경엽건조제 처리시기

     남서 : 파종 후 75~80일경

     조풍 : 파종 후 85~90일경

     세풍 가원, 남작, 수미 : 파종 후 95~100일경

     대서 : 파종 후 105~110일경

     자심 : 파종 후 115~120일경


 다. 수확방법

  ○ 박피, 절단, 균열, 타박 등의 괴경 손상을 최소화해야 함.

  ○ 괴경이 직접 태양광을 받거나 고온 또는 저온에 노출되지 않게 주의해야 함.

  ○ 수확 후 밭에 괴경들이 남지 않도록 철저한 뒤처리가 요구됨.


4. 참깨밭 관리

  ○ 1모작 참깨의 돌림병, 시들음병, 세균성점무늬병은 6월 하순부터 10일 간격으로 3회 정도 동시방제토록 하는데 농약적용 가부표를 잘 숙지하여 농약 혼용에 의한 피해가 없도록 하고 가급적 3가지 이상의 농약 혼용은 피해 발생 우려가 있으므로 영양제는 사용하지 말아야 하며 반드시 농약안전사용기준을 지키도록 한다.


<종합방제방법 및 시기>

회 수

방     법

시 기

1 차

베노람수화제(1,000배) + 메타실수화제(1,000배)

6월 상순

2 차

메타실수화제 + 옥시동(1,000배)

6월 하순

3 차

베노람수화제(1,500배) + 옥시동수화제

7월 중순

4 차

베노밀수화제 + 메타실(역병) 또는 옥시동수화제(위조병)

8월 상순

  ※ 단작 : 4회 살포, 맥후작 : 3회 살포(6월 상순 방제 불필요)


5. 들깨 파종관리

 

가. 재배적지

  ○ 배수 양호한 사질양토 또는 양토가 적합함.

  ○ 흡비력이 강해 척박지, 산성토, 개간지, 인산결핍 등의 토양에도 적응력이 강함.

 나. 주요 재배법

  ○ 직파

     파종적기 : 중북부 5월 하순~남부

6월 중순

     파 종 량 : 300g/10a

     시비량(밑거름) : 질소 인산 칼리 = 4 3 2 ㎏/10a

     재식거리 : 이랑나비 60㎝, 포기사이 15~25㎝

     잡초방제 : 토양처리형 초기제초제로 등록된 약제는 없으며, 생육중기에 화본과 잡초는 잡초 3~5엽기에 플루아지호프피부틸(뉴원싸이드)유제를 뿌려서 방제


  ○ 육묘 이식재배

     10a에 필요한 육묘상면적 : 0.8a(24평)

     육묘상 환경 : 햇빛이 잘 들고 물 빠짐이 좋은 사질 양토

     시비(3.3㎡당) 요소100~150g, 염화가리 50g, 용성인비 150~200g

     씨뿌리기 : 본포 정식 예정기에서 30~40일 이전에 파종

  ○ 담배 사이짓기 : 담배수확이 50~60% 정도 된 7월 상순에 육묘이식

  ○ 찰옥수수 사이짓기 : 찰옥수수 수확 10~15일전에 육묘이식


Ⅲ. 식량작물 경영정보


 ◎ 벼 무논점파재배 경제성 분석


  통계청의 쌀 생산비 조사결과를 보면, 10a(300평)당 생산비는 625천원, 80kg 1가마당 생산비는 91천원이다. 쌀 생산비 중 노동비의 비중은 예전에 비해 줄었지만 지금도 15% 내외를 차지한다. 농촌 노동력이 고령화되어 특히 못자리 단계에서의 노동력 절감이 대단히 중요한 과제이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육묘과정을 생략하고 논에 바로 볍씨를 뿌리는 직파재배기술이 다양하게 개발 보급되고 있다.


? 무논점파의 노동력 절감효과

  최근에 다양하게 개발 보급되고 있는 벼 직파재배 양식 중 시범사업으로

채택되어 확대?보급되고 있는 무논점파 기술에 대한 노동력 및 비용절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조사지역은 중부지역(평택, 화성, 당진), 남부지역(구미, 안동, 장흥) 등 6개 지역에서 무논점파 도입농가 12농가를상으로, 직파재배와 이앙재배가 차이 나는 부분을 중심으로 노동시간을 조사하였다.

  육묘,이앙 주요 작업단계별 노동시간은 무논점파재배가 40.8시간/ha, 이앙재배가 63

.1시간으로 ha당 22.3시간(35.3%)이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논점파와 이앙재배의 경운?정지, 시비, 종자준비 등은 비슷하고, 못자리와 이앙에서 크게 절감되며, 보식과 제초는 직파재배가 더 들어갔다. 시범재배 단계이기 때문에 대농이 다소 많이 포함되었고, 농가 간 편차가 있으나 대체적인 경향성은 확인되었다.


<벼 무논점파의 육묘?이앙 단계 노동력 절감효과>

구  분

 

육묘이앙 주요 작업단계별 노동시간 (시간/ha)

 

 

경운정지

 

시비

 

종자준비

 

못자리

 

직파/이앙

 

보식

 

제초

 

무논점파(A)

 

10.7

 

2.9

 

3.4

 

 

 2.5

 

8.3

 

13.0

 

40.8

 

이앙재배(B)

 

10.2

 

2.1

 

2.7

 

22.4

 

16.8

 

1.2

 

 7.7

 

63.1

 

대 비(A B)

 

0.5

 

0.8

 

0.7

 

△22.4

 

△14.3

 

7.1

 

5.3

 

△22.3

(△35.3%)

 

주 : 못자리 노동시간은 상토준비 및 파종, 치상, 못자리 관리 등이고, 이앙작업은 모찌기, 이앙기 운전 및 보조 등임.


○ 무논점파의 비용절감 효과

  직파재배와 이앙재배가 차이나는 부분을 중심으로 육묘이앙단계 주요 비목별 비용을 분석한 결과, 무논점파는 ha당 1,178천원, 이앙재배는 1,527천원으로 349

천원(22.8%)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료비와 제초제 비용은 직파재배가 이앙재배보다 조금 더 들어가고, 육묘상자, 부직포, 상토 등 육묘자재비와 노력비는 크게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벼 무논점파재배의 비용절감 효과>

구  분

육묘이앙단계 주요 비용 (천원/ha)

종자비

소독제

비료비

제초제

육묘자재

노력비

기 타

무논점파(A)

77

10

511

171

333

76

1,178

이앙재배(B)

76

 9

504

141

160

537

100

1,527

대 비(A B)

1

1

7

30

△160

△204

△24

△349

 (22.8%)


○ 맺는 말

  쌀의 국제경쟁력 향상을 위해서는 비용절감이 중요한 과제이고, 기술적으로는 생력화 기술과 농기계의 효율적인 이용이 중요하다. 노동력 절감을 위해 못자리를 없애고 직파재배를 도입하고자 하는 농가는 직파재배 종류별 장단점을 면밀히 비교분석 해보고 지역의 여건이나 농지조건에 적합한 양식을 선택하여야 한다. 미래를 대비하면서 현재의 조건에서 가장 유리한 기술을 선택하여야 할 것이다.

  먼저 경험한 농가들의 의견을 들어봐도 직파재배는 비용절감을 위하여 꼭 필요하고 앞으로 생산비 절감 방향으로 가야하는 것에 동의한다. 다만 아직은 기술이 완전히 정착되지 않은 초기단계이므로 파종기의 조작과 입모확보, 잡초방제, 조류피해 방지 등 예상되는 몇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면서 신기술 도입을 하여야 벼농사 경영에 실질적인 이익이 될 것이다.


. 농사속담


 ☞오뉴월(5, 6月)에 논물로 목욕한다

  [풀이] 음력 5, 6월에 논물로 목욕할 정도로 수온이 높아야 벼의 활  착과 분얼이 잘 되고 초기 생육이 좋아진다는 뜻


☞하지가 지나면 발을 물꼬에 담그고 산다

  [풀이] 하지(6월 22일경)는 1모작 극조생종의 유수형성기로 벼의 일생중 가장 물을 많이 필요로 하는 시기이므로 물대기에 발이 마를 새가 없다는 뜻으로 물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함.


☞잡초를 1년 키우면 7년 동안 고생

  [풀이] 잡초는 번식력이 강하므로 잡초씨를 한해 논에 떨어뜨리면 여러 해 동안 계속 풀이 많이 나와서 몇 배의 고생을 한다는 뜻

☞비바람 잦으면 멸구가 많다

  [풀이] 비바람이 많은 해는 해안지방에서 특히 멸구발생이 많다는 말로 여름철 저기압이 통과할 때 멸구 비래가 많다는 뜻


☞오유월 청풍 3번 불면 대풍 든다

  [풀이] 청풍은 북풍으로 모내기 해놓고 북풍이 불 때는 해충을 동반하지 않으므로 북풍이 부는 해는 벼에 해충피해가 적어 풍년이 든다는 뜻


 ☞봄비가 잦으면 시어머니 손이 커 진다

  [풀이] 봄은 모든 작물의 파종기로 봄 가뭄으로 파종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

 시기에 봄비가 자주 오면 농작물을 적기에 파종할 수 있어 풍년이 들므로 인심이 후해진다는 뜻


☞죽순 날 때 벌레가 많으면 벼에 해충이 많다

  [풀이] 죽순 나는 때가 6월 상순부터 하순사이로 이 시기는 이화명충 일화기 발생시기가 되므로 이때 벌레가 많으면 벼농사에도 해충 피해가 심하다는 뜻

 

[출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파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