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술창작스튜디오

입주작가 소개


777레지던스 > 입주작가 소개 상세보기 - 제목, 분야, 학력, 전시약력, 작품설명, 파일 제공
제목 1기 이세준(Lee Sejun)
분야 회화
학력 2013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회화전공 석사 졸업
2011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전공 졸업
전시약력 개인전
2023 <스페이스 아케이드 Space Arcade>해움레지던시 결과보고전, 고양시 예술창작공간 해움 윈도우 갤러리, 고양
2023 <마침내 너와 내가 만나면 When you and I finally meet>, 스페이스 윌링앤딜링, 서울
2023 <메타픽션 Meta Fiction>, 공간 황금향, 서울
2020 <A DAy After of the End_ 전시공간 소원 개관 초대전>, So, One, 서울
2020 <스페이스 오페라 Space Opera>, KSD 미술상 수상작가 초대전, KSD 갤러리, 서울
2019 <표면의 풍경 Landscape of Surface>북구 예술 창작소 결과보고전, 갤러리 아리오소, 울산
2019 <세계관 Weltanschauung>한국문화예술위원회 Arko 후원전시, 스페이스 윌링앤딜링, 서울
2016 <포락지 Submerged Land>서울문화재단 창작 지원기금 선정전시, 케이크 갤러리, 서울
2016 <늪과 숲 Swamps and Forests>, 양주시립미술창작스튜디오 777레지던스 결과보고전, 양주시립미술창작스튜디오 777갤러리, 양주
2015 <무엇을 불태울 것인가 What will be burn>한국문화예술위원회 Arko 후원전시, 스페이스 윌링앤딜링, 서울
2013 <무한을 유한 속에 담는 방법 How to put infinity in a finite>안국약품 신진작가 공모 선정전, 갤러리AG, 서울
2012 <지금, 이곳에서는 어떤 일들이 Something happens now>서울시립미술관 신진작가 지원프로그램 SeMA 선정전시, 키미아트 갤러리, 서울

주요 기획전 및 프로젝트
2024 <비록 Secret Records_ 박지나, 위영일, 이세준 3인전>, 챔버, 서울
2024 <Here Ready Art!_ 해움 새들 2기 입주작가 프리뷰>, 고양시 예술창작공간 해움 윈도우 갤러리, 고양
2024 <캔버스 크로니클스: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예술적 여정>,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판교점, 서울/성남
2024 <Keep Going#3>, 스페이스 윌링앤딜링, 서울
2023 <크로스 펀치_남다현×이세준>, 네버마인드, 서울
2023 <제 23회 송은 미술대상>, 송은, 서울
2023 <네오헤리티지 2023, 제우스와 박수무당>, 금호 알베르, 서울
2023<한로 찬 이슬이 맺히고_해움새들레지던시 오픈스튜디오 연계전시>, 고양예술 창작공간 해움, 고양
2023 <Hyper Impressionism>, 대구예술발전소, 대구
2023 <더프리뷰 성수>, SFactory D동, 서울
2022 <Outset>, 고양시청 갤러리, 고양
2022 <Stroll>, 시안미술관, 경산
2022 <Sunset Fieldset>, 고양예술 창작공간 해움, 고양
2022 <이세준x정현두_이것은 나(너)의 그림이다(아니다)>, 스페이스 윌링앤딜링, 서울
2022 <Keep Going>, 스페이스 윌링앤딜링, 서울
2021 <의도적 우연>, 자하미술관, 서울
2021 <태양에 대한 승리>, 옥상팩토리, 서울
2021 <제1회 O'Flat 행동강령 선언 세미나>, 을지로 OF 서울
2020 <열지않는 전시>,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서울
2020 <월요살롱 이동혁x이세준>, 토탈미술관, 서울
2020 <신 소장품전 플러스>, 오산시립미술관, 오산
2020 <단원에서270년, 미래를 잇다>, 단원미술관, 안산
2020 <북구예술창작소 네트워크전>, 울산문화예술회관, 울산
2020 <Scenographic Imagination>, Beijing Commune, 북경, 중국
2018 <노 라이프 킹 No life king>, 아트스페이스 보안, 서울
2016 <트윈 픽스 Twin Peaks>, 하이트 콜렉션, 서울
2016 <乱城之魅> 树下画廊, 북경, 중국
2016 <서울 바벨 Seoul Babel>,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15 <굿-즈 Goods>, 세종문화회관, 서울,
2015 <비어있는 실험_오픈 스튜디오>, 양주시립미술창작스튜디오 777레지던스, 양주
2015 <열정을 위한 茶時>, 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 양주
2014 <제4회 여름생색>, 공아트스페이스, 서울
2014 <우문현답>, 쿤스트독, 서울
2014 <교차_시선>, 리각 미술관, 천안
2013 <Fearless>, Able Fine art NY, New York, USA
2013 <Parallel World_예술적 풍경>, 자하 미술관, 서울
외 다수

수상 및 기금
2024 서울문화재단 시각예술 작품집 발간지원 기금선정
2024 경기문화재단 시각예술지원 생생화화 기금선정
2024 평택문화재단 평택형 청년예술지원 기금선정
2023 제23회 송은미술대상 선정작가
2023 서울문화재단 리서치프로그램 기금 선정
2021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코로나19 예술로 기록 기금 팀 선정
2021 서울문화재단 리서치프로그램 기금 선정
2019 제1회 KSD 미술상 대상 수상
2016 서울문화재단 예술작품지원기금 선정
2014 제 3회 가송 예술상 선정 작가
2013 Art in Culture 동방의 요괴들 Best10 선정
2013 New York Art Show 최우수작가 수상
2012 아르코 미술관 신진작가 워크숍 수료
2012 서울시립미술관 신진작가 지원프로그램 SeMA 제5기 선정

레지던시
2022-24 고양시 예술창작공간 해움 레지던시 1, 2기 입주
2020 서울시립미술관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14기 입주
2019 울산 북구 예술 창작소 6기 입주
2016 Beijing B-Space residency 3기 입주
2013-16 양주시립미술창작스튜디오 777레지던스 1기 입주

기타
2017 『포락지 Submerged Land』 출간
2015 콜레라마 1집 정규 앨범 ‘억만광년’ 발매
작품설명 나의 회화 안에는 일상과 미디어에서 발견한 이미지들, 그리고 의미의 추적이 불가능한 모호한 이미지들이 뒤섞여서 동시에 존재 한다. 그것 들은 다양한 관계를 이루며 화면에 배치되고, 각각의 독립된 사건들을 이루는 주체가 되며, 화면 안에는 그러한 사건들이 동시다발적으로 벌어지고 있다. 회화작업을 하기 전에 그려지는 드로잉들은 대상을 관찰 한 후 기억을 더듬어가며 재구성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며, 나를 통해서 추상화 된 세계가 다시 그림으로 구체화 되면서 나타난 어긋남을 필연적으로 동반하게 된다. 나는 이러한 어긋남을 통해서 현실의 본질에 대한 의문을 가지게 하며, 사물을 바라보는 나의 시각에 더욱 집중할 수 있게 해 주리라 기대한다.
파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