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마당

부모 세상


정보마당 > 부모 세상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제공
제목 보통이 되는 것도 '보통 일'이 아니다, 너무 높아져버린 '평균'과 '보통'의 기준
내용 <p>네이버 캐스트 - 보통이 되는 것도 '보통 일'이 아니다, 너무 높아져버린 '평균'과 '보통'의 기준<br><br><a href="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221&;contents_id=33357&leafId=221">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221&;contents_id=33357&leafId=221</a><br><br></p><h3 class="ending_tit_new"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argin: 0px auto; padding: 0px; width: 646px; height: auto; text-align: right; color: rgb(75, 75, 75); text-transform: none; line-height: 20px; text-indent: 0px; letter-spacing: normal; font-family: 돋움, Dotum, 굴림, Gulim, AppleGothic, sans-serif; font-style: normal; font-variant: normal; word-spacing: 0px; white-space: normal; position: relative; -webkit-text-stroke-width: 0px;"><img style="margin: 0px; border: 0px currentColor;" alt="너무 높아져버린 ‘평균’과 ‘보통’의 기준 보통이 되는 것도 ‘보통 일’이 아니다" src="http://ncc.phinf.naver.net/20130805_254/sm841004_1375665021399B3Y2q_PNG/naml-%B9%E8%B3%CA-%C6%F7%B8%CB.png";></h3><div id="na_title_bottom" style="font: 12px/20px 돋움, Dotum, 굴림, Gulim, AppleGothic, sans-serif; color: rgb(75, 75, 75); text-transform: none; text-indent: 0px; letter-spacing: normal; word-spacing: 0px; white-space: normal; font-size-adjust: none; font-stretch: normal;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webkit-text-stroke-width: 0px;"></div><div class="t_ptype5" style="font: 12px/20px 돋움, Dotum, 굴림, Gulim, AppleGothic, sans-serif; margin: 5px 20px 15px 0px; width: 300px; color: rgb(75, 75, 75); text-transform: none; text-indent: 0px; letter-spacing: normal; word-spacing: 0px; float: left; white-space: normal; font-size-adjust: none; font-stretch: normal;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webkit-text-stroke-width: 0px;"><img style="border: 0px currentColor;" alt="" src="http://ncc.phinf.naver.net/20130805_264/sm841004_1375665975672KNOwb_JPEG/01.jpg?type=n300_197";><p class="cap" style='background: url("http://static.naver.net/ncc/image/n_uio/bg_caption.gif";) no-repeat 0px 4px; margin: 5px 0px 0px; padding: 0px 0px 1px 6px; text-align: left; color: rgb(114, 114, 114); line-height: 20px; overflow: hidden; font-size: 12px; position: relative; -ms-word-break: break-all; -ms-word-wrap: break-word;'>많은 십대들이 나름 열심히 노력하고 좋은 결과도 곧잘 내지만, 막상 결과물을 줄 세워보면 거기서 만족감이나 뿌듯함을 느끼기가 쉽지 않다. <출처: gettyimages></p></div><p class="t_txt" style="font: 13px/23px 굴림, gulim; margin: 0px 0px 19px; padding: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47, 47, 47); text-transform: none; text-indent: 0px; letter-spacing: normal; word-spacing: 0px; vertical-align: bottom; white-space: normal; font-size-adjust: none; font-stretch: normal;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webkit-text-stroke-width: 0px;">이번 시험을 정말 잘 보고 싶었던 옥경이. 각오를 단단히 하고 평소보다 훨씬 일찍 공부를 시작했다. 엄마에게 부탁해 주말에는 학원 특강도 들었다. 다른 친구들도 열심히 하는 것 같았지만 이번에는 자신 있었다. 다행히 가채점을 해보니 점수가 꽤 올라가 있었다. 그런데 성적표를 받아보니 평균 점수는 훨씬 올라갔지만 전체 석차는 도리어 떨어진 것이 아닌가! 심지어 85점을 받았는데도 전체 석차가 중간 정도밖에 안 되는 과목도 있었다. 지난번 시험에서 평균 78점을 받았던 것을 감안하면 이번 시험은 90점이 훌쩍 넘었으니 충분히 잘 본 것인데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이다. 힘이 쭉 빠지면서 공부는 해서 뭐하나 싶은 실망감만 가득했다.</p><p class="t_txt" style="font: 13px/23px 굴림, gulim; margin: 0px 0px 19px; padding: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47, 47, 47); text-transform: none; text-indent: 0px; letter-spacing: normal; word-spacing: 0px; vertical-align: bottom; white-space: normal; font-size-adjust: none; font-stretch: normal;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webkit-text-stroke-width: 0px;">옥경이의 사례는 요즘 십대들의 삶이라 할 수 있다. 많은 십대들이 나름 열심히 노력하고 좋은 결과도 곧잘 내지만, 막상 결과물을 줄 세워보면 거기서 만족감이나 뿌듯함을 느끼기가 쉽지 않다. 또 조금만 뒤처져도 영원히 뒤쳐질까봐 겁을 내고, 아무리 아등바등해도 지금 자리를 겨우 유지하는 데 급급하다보니, 앞으로 나아가는 것은 엄두조차 내기 어렵다.</p><div class="t_lv_tit" style="border-width: 2px 0px 1px; border-style: solid; border-color: rgb(68, 68, 68) rgb(255, 255, 255) rgb(229, 229, 229); font: 12px/20px 돋움, Dotum, 굴림, Gulim, AppleGothic, sans-serif; margin: 54px 0px 25px; padding: 0px 0px 10px; color: rgb(75, 75, 75); text-transform: none; text-indent: 0px; letter-spacing: normal; overflow: hidden; clear: both; word-spacing: 0px; white-space: normal; min-height: 57px; font-size-adjust: none; font-stretch: normal;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webkit-text-stroke-width: 0px;"><h4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argin: 12px 0px 0px; padding: 0px; width: 646px; height: auto !important; color: rgb(55, 55, 55); line-height: 23px; letter-spacing: -1px; clear: both; font-size: 16px; font-weight: bold;">얼만큼 하면 평균인 것인가</h4><p style="margin: 4px 0px 3px; padding: 0px; color: rgb(142, 142, 142); line-height: 14px; text-indent: 1px; font-size: 12px;"></p></div><p class="t_txt" style="font: 13px/23px 굴림, gulim; margin: 0px 0px 19px; padding: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47, 47, 47); text-transform: none; text-indent: 0px; letter-spacing: normal; word-spacing: 0px; vertical-align: bottom; white-space: normal; font-size-adjust: none; font-stretch: normal;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webkit-text-stroke-width: 0px;">사실 이것은 십대들만의 문제는 아니다. 우리 사회에서 스스로 만족하는 삶을 사는 사람을 찾기란 무척 어려운 일이다. 50년 전에 비하면 엄청난 성장을 이루었고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풍족해졌지만 삶의 만족도는 높아진 것 같지 않다. ‘보통과 평균의 기준점’이 슬금슬금 올라가다 보니 이제는 웬만큼 해서는 ‘이 정도면 됐다’라고 만족할 만한 수준의 성취를 맛보기가 어려워졌기 때문이다.</p><p class="t_txt" style="font: 13px/23px 굴림, gulim; margin: 0px 0px 19px; padding: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47, 47, 47); text-transform: none; text-indent: 0px; letter-spacing: normal; word-spacing: 0px; vertical-align: bottom; white-space: normal; font-size-adjust: none; font-stretch: normal;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webkit-text-stroke-width: 0px;">성적만 해도 그렇다. 2012년 서울시 중학교의 영어 성적 분포를 보자(출처: 교육의 정석1, 유진투자증권). 지역별로 차이 있지만 A등급(90점)을 받은 비율이 대원국제중학교는 무려 87.1%이고, 일반 중학교인 진선여중이 58%, 인창중 54%, 전농중이 53%였다. 즉, 학급 인원의 반 이상이 A등급을 받았다는 것이다. 그러니 85점을 받으면 중하위권이 되는 황당한 결과를 얻게 된다. 상식적으로 보면 A등급은 10~20% 정도이고, B나 C등급이 60% 정도를 차지하는 항아리형으로 나타나는 것이 이상적인 성적 분포로 볼 수 있다. 그런데 만일 위에서 언급한 학교에 다니는 학생이라면 시험에서 최소한 90점은 받아야 ‘휴, 겨우 중간은 했네’라고 생각할 것이다. 그러니 안심할 수 없다. 80점을 받은 학생 또한 나름 열심히 했음에도 불구하고 열등감과 좌절감을 느낄 것이고, 공부에 대한 의욕이나 성취감을 갖기가 어려울 것이다.</p><div class="t_ptype2" style="font: 12px/20px 돋움, Dotum, 굴림, Gulim, AppleGothic, sans-serif; margin: 5px 0px 15px 20px; width: 300px; color: rgb(75, 75, 75); text-transform: none; text-indent: 0px; letter-spacing: normal; word-spacing: 0px; float: right; white-space: normal; font-size-adjust: none; font-stretch: normal;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webkit-text-stroke-width: 0px;"><img style="border: 0px currentColor;" alt="" src="http://ncc.phinf.naver.net/20130806_49/sm841004_1375757075076Mr2Wn_JPEG/02-2.jpg?type=w646";><p class="cap" style='background: url("http://static.naver.net/ncc/image/n_uio/bg_caption.gif";) no-repeat 0px 4px; margin: 5px 0px 0px; padding: 0px 0px 1px 6px; text-align: left; color: rgb(114, 114, 114); line-height: 20px; overflow: hidden; font-size: 12px; position: relative; -ms-word-break: break-all; -ms-word-wrap: break-word;'>우리 사회의 ‘보통과 평균에 대한 기준점’이 슬금슬금 올라가다 보니 이제는 웬만큼 해서는 ‘이 정도면 됐다’라고 만족할 만한 수준의 성취를 맛보기가 어려워졌다. <출처: gettyimages></p></div><p class="t_txt" style="font: 13px/23px 굴림, gulim; margin: 0px 0px 19px; padding: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47, 47, 47); text-transform: none; text-indent: 0px; letter-spacing: normal; word-spacing: 0px; vertical-align: bottom; white-space: normal; font-size-adjust: none; font-stretch: normal;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webkit-text-stroke-width: 0px;">이는 어른들의 삶의 수준에 대한 자각에서도 드러난다. 2013년 초에 한국리서치에서 남녀 1만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한 달 가구 소득이 400만 원 정도인 사람은 자신이 경제적으로 ‘중하층’에 속한다고 대답했다. 자신이 중중층, 즉 딱 중간이라고 답한 사람의 가구 소득은 530만 원 정도였다. 하지만 통계청 자료를 보면 지난해 중하층(하위 20∼40%)의 월평균 가구 소득은 271만 원, 중중층(하위 40∼60%)의 소득은 370만 원이었다. 사실은 중상층이면서도 자신이 ‘중하층’이라 생각하고, 또 ‘이 정도는 되어야지’라고 생각하는 기준을 높게 잡고 있으니 ‘평균’ 내지는 ‘보통’을 구현하기가 어려울 수밖에 없는 것이다.</p><p class="t_txt" style="font: 13px/23px 굴림, gulim; margin: 0px 0px 19px; padding: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47, 47, 47); text-transform: none; text-indent: 0px; letter-spacing: normal; word-spacing: 0px; vertical-align: bottom; white-space: normal; font-size-adjust: none; font-stretch: normal;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webkit-text-stroke-width: 0px;">이런 일은 다른 사람과 비교하기 때문에 쉽게 발생한다. 문제는 그 비교가 정확하거나 객관적이지 않은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사람들은 자신과 주변을 비교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다. 내적동기만으로 움직이는 사람도 있겠지만, 그보다는 나와 사정이 비슷한 주변을 둘러보면서 그 안에서 내 위치를 확인하고 속도와 방향을 조절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자기보다 앞서 나가는 사람이 있으면 속도를 더 내려 하고, 내가 앞서가고 있으면 잠시 쉬어가도 될 것 같아 페이스를 늦추고 긴장을 푼다. 그런데 실제로는 긴장을 푸는 경우보다 나보다 앞서 가는 옆 사람을 재빨리 따라 가면서 더 열심히 노력하려 하는 경우가 더 잦고, 한 번 올린 기준점은 쉽사리 내리지 않는다. 그러다 보면 마음속 ‘보통의 기준’은 어느새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올라간다.</p><div class="t_ptype5" style="font: 12px/20px 돋움, Dotum, 굴림, Gulim, AppleGothic, sans-serif; margin: 5px 20px 15px 0px; width: 286px; color: rgb(75, 75, 75); text-transform: none; text-indent: 0px; letter-spacing: normal; word-spacing: 0px; float: left; white-space: normal; font-size-adjust: none; font-stretch: normal;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webkit-text-stroke-width: 0px;"><img style="border: 0px currentColor;" alt="" src="http://ncc.phinf.naver.net/20130806_175/sm841004_1375756979514rAFVc_JPEG/03-1.jpg?type=n286_316";><p class="cap" style='background: url("http://static.naver.net/ncc/image/n_uio/bg_caption.gif";) no-repeat 0px 4px; margin: 5px 0px 0px; padding: 0px 0px 1px 6px; text-align: left; color: rgb(114, 114, 114); line-height: 20px; overflow: hidden; font-size: 12px; position: relative; -ms-word-break: break-all; -ms-word-wrap: break-word;'>지금 우리 사회의 모습이 헬스클럽 러닝머신 위의 상황과 비슷하다. 야금야금 속도를 올리다가 모두가 감당하기 힘든 수준이 되어야 ‘겨우 남들 하는 만큼’이라 할 만한 경지에 이르렀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출처: corbis></p></div><p class="t_txt" style="font: 13px/23px 굴림, gulim; margin: 0px 0px 19px; padding: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47, 47, 47); text-transform: none; text-indent: 0px; letter-spacing: normal; word-spacing: 0px; vertical-align: bottom; white-space: normal; font-size-adjust: none; font-stretch: normal;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webkit-text-stroke-width: 0px;">헬스클럽에서 트레드밀(러닝머신)을 타는 것을 상상해보자. 처음에는 속도를 5 정도로 맞추고 천천히 걷기 시작한다. 그런데 옆 사람이 속도를 높이면 나도 같이 속도를 높이고, 그 사람이 뛰기 시작하면 나도 뛰고 싶어진다. 그러다 보면 어느새 10~12의 속도로 달리고 있는 나를 발견한다. 옆 사람의 속도에 뒤쳐지지 않으려고 아니, 더 빨리 달려보려다 자신도 모르게 무리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그 헬스클럽에서 러닝머신을 타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모두 그 속도로 달린다면? 더욱이 겉으로는 다들 아무렇지 않게 달리고 있는 것 같지만 속으로는 ‘대체 누가 이 속도로 달리기 시작한 거야? 창피해서 속도를 못 늦추겠네’라고 투덜거리면서도 체면 때문에, 혹은 뒤처지기 싫어서 뛰고 있다면?</p><p class="t_txt" style="font: 13px/23px 굴림, gulim; margin: 0px 0px 19px; padding: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47, 47, 47); text-transform: none; text-indent: 0px; letter-spacing: normal; word-spacing: 0px; vertical-align: bottom; white-space: normal; font-size-adjust: none; font-stretch: normal;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webkit-text-stroke-width: 0px;">지금 우리 사회의 모습이 헬스클럽 러닝머신 위의 상황과 비슷하다. 야금야금 속도를 올리다가 모두가 감당하기 힘든 수준이 되어야 ‘겨우 남들 하는 만큼’이라 할 만한 경지에 이르렀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자, 우리 이제 그만 천천히 합시다”라고 누구 하나 용기 있게 말할 사람이 없다는 것이 비극이다.</p><div class="t_lv_tit" style="border-width: 2px 0px 1px; border-style: solid; border-color: rgb(68, 68, 68) rgb(255, 255, 255) rgb(229, 229, 229); font: 12px/20px 돋움, Dotum, 굴림, Gulim, AppleGothic, sans-serif; margin: 54px 0px 25px; padding: 0px 0px 10px; color: rgb(75, 75, 75); text-transform: none; text-indent: 0px; letter-spacing: normal; overflow: hidden; clear: both; word-spacing: 0px; white-space: normal; min-height: 57px; font-size-adjust: none; font-stretch: normal;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webkit-text-stroke-width: 0px;"><h4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argin: 12px 0px 0px; padding: 0px; width: 646px; height: auto !important; color: rgb(55, 55, 55); line-height: 23px; letter-spacing: -1px; clear: both; font-size: 16px; font-weight: bold;">‘보통 수준’이 보통 아닌 수준이 되어버린 한국 사회</h4><p style="margin: 4px 0px 3px; padding: 0px; color: rgb(142, 142, 142); line-height: 14px; text-indent: 1px; font-size: 12px;"></p></div><p class="t_txt" style="font: 13px/23px 굴림, gulim; margin: 0px 0px 19px; padding: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47, 47, 47); text-transform: none; text-indent: 0px; letter-spacing: normal; word-spacing: 0px; vertical-align: bottom; white-space: normal; font-size-adjust: none; font-stretch: normal;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webkit-text-stroke-width: 0px;">최근 한 신문에 흥미로운<span class="Apple-converted-space"> </span><a style="color: rgb(0, 0, 204); text-decoration: none;" h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2&aid=0002362616" target="_blank">기사</a>가 실렸다. 강남과 목동의 영어 학원에 다니는 초등학교 5학년, 중학교 2학년의 영어 단어 숙제를 같은 나이의 영국 학생에게 물어보았다. 그 결과 영어를 모국어로 쓰고, 자기 나이에 비해 똑똑하다는 평가를 받는 영국 학생들의 정답률이 생각보다 낮았다. 초등학교 5학년은 40개 중 7개를, 중학교 2학년생은 40개 중 15개를 모른다고 표시한 것이다. 강남의 영어 독서 클럽에서 배우는 단어를 물어보니 이번에는 30개 중 아는 것이 고작 7개에 불과했다.</p><div class="t_ptype2" style="font: 12px/20px 돋움, Dotum, 굴림, Gulim, AppleGothic, sans-serif; margin: 5px 0px 15px 20px; width: 300px; color: rgb(75, 75, 75); text-transform: none; text-indent: 0px; letter-spacing: normal; word-spacing: 0px; float: right; white-space: normal; font-size-adjust: none; font-stretch: normal;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webkit-text-stroke-width: 0px;"><img style="border: 0px currentColor;" alt="" src="http://ncc.phinf.naver.net/20130805_131/sm841004_1375667365281TaSxl_JPEG/04.jpg?type=w646";><p class="cap" style='background: url("http://static.naver.net/ncc/image/n_uio/bg_caption.gif";) no-repeat 0px 4px; margin: 5px 0px 0px; padding: 0px 0px 1px 6px; text-align: left; color: rgb(114, 114, 114); line-height: 20px; overflow: hidden; font-size: 12px; position: relative; -ms-word-break: break-all; -ms-word-wrap: break-word;'>영미권 아이들에게도 부담스러운 학습 수준을 ‘기준’으로 세워놓고 ‘나는 보통 이하’라고 여기며 열등감을 가지게 하는 것이 우리의 비극적인 교육 현실이다. <출처: corbis></p></div><p class="t_txt" style="font: 13px/23px 굴림, gulim; margin: 0px 0px 19px; padding: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47, 47, 47); text-transform: none; text-indent: 0px; letter-spacing: normal; word-spacing: 0px; vertical-align: bottom; white-space: normal; font-size-adjust: none; font-stretch: normal;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webkit-text-stroke-width: 0px;">이에 대해 어도선 고려대 영어교육학과 교수는 “보통 영미권 아이들이 초등학교를 졸업할 때 알게 되는 단어의 수는 1만 2천~1만 3천 개 정도”라며 “한국에서 토플을 준비하는 초등학생, 중학생들이 학원에서 배우는 2만 2천 단어는 현지의 고1 수준을 넘어선다”고 지적했다. 위에서 예로 든 중산층의 기준과 마찬가지로, 영미권 아이들에게도 부담스러운 학습 수준을 ‘기준’으로 세워놓고 ‘나는 보통 이하’라고 여기며 열등감을 가지게 하는 것이 우리의 비극적인 교육 현실이다.</p><p class="t_txt" style="font: 13px/23px 굴림, gulim; margin: 0px 0px 19px; padding: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47, 47, 47); text-transform: none; text-indent: 0px; letter-spacing: normal; word-spacing: 0px; vertical-align: bottom; white-space: normal; font-size-adjust: none; font-stretch: normal;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webkit-text-stroke-width: 0px;">삶의 수준이나 지적 능력, 성취도는 일반적으로 문명의 발달과 함께 상승한다. 지능도 그렇다. 1950년 이후 현재까지 미국 아동의 IQ 지수는 10년에 3점씩 꾸준히 상승해왔는데, 이것을 플린 효과라 한다. 전체적으로 봤을 때 평균 수준이라 할 수 있는 보통의 기준이 상향평준화되면 우리 모두의 삶이나 만족도도 그만큼 높아질 것이라는 반론이 있을 수 있지만, 꼭 그런 것만은 아니다.</p><p class="t_txt" style="font: 13px/23px 굴림, gulim; margin: 0px 0px 19px; padding: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47, 47, 47); text-transform: none; text-indent: 0px; letter-spacing: normal; word-spacing: 0px; vertical-align: bottom; white-space: normal; font-size-adjust: none; font-stretch: normal;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webkit-text-stroke-width: 0px;">이런 문제는 아이가 태어나는 순간부터 시작한다. 최근 몇 년간 많이 팔린 유모차의 평균 가격을 보면 눈이 휘둥그레진다. 처음엔 소수의 사람들만 수입 명품 유모차를 사용하더니, 어느새 시내 곳곳에서 고가의 수입 브랜드 유모차가 작고 아담한 유모차보다 훨씬 많이 보이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한국의 대도시에서는 수백만 원을 호가하는 값비싼 명품 유모차가 어느새 평균과 보통이 되어버린 것이다.</p><div class="t_lv_tit" style="border-width: 2px 0px 1px; border-style: solid; border-color: rgb(68, 68, 68) rgb(255, 255, 255) rgb(229, 229, 229); font: 12px/20px 돋움, Dotum, 굴림, Gulim, AppleGothic, sans-serif; margin: 54px 0px 25px; padding: 0px 0px 10px; color: rgb(75, 75, 75); text-transform: none; text-indent: 0px; letter-spacing: normal; overflow: hidden; clear: both; word-spacing: 0px; white-space: normal; min-height: 57px; font-size-adjust: none; font-stretch: normal;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webkit-text-stroke-width: 0px;"><h4 style="background: rgb(255, 255, 255); margin: 12px 0px 0px; padding: 0px; width: 646px; height: auto !important; color: rgb(55, 55, 55); line-height: 23px; letter-spacing: -1px; clear: both; font-size: 16px; font-weight: bold;">너무 튀지도 너무 뒤쳐지지도 않는 딱 중간, 그게 좋아</h4><p style="margin: 4px 0px 3px; padding: 0px; color: rgb(142, 142, 142); line-height: 14px; text-indent: 1px; font-size: 12px;"></p></div><p class="t_txt" style="font: 13px/23px 굴림, gulim; margin: 0px 0px 19px; padding: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47, 47, 47); text-transform: none; text-indent: 0px; letter-spacing: normal; word-spacing: 0px; vertical-align: bottom; white-space: normal; font-size-adjust: none; font-stretch: normal;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webkit-text-stroke-width: 0px;">우리는 왜 이렇게 평균과 보통 수준에 진입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것일까? 여기에는 동양인의 보편적 심리가 상당한 원인을 제공한다. 서양인과 동양인을 상대로 한 어느 연구에서, 연구진이 실험 참가자들을 임의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쪽 그룹에는 테스트 결과가 평균보다 좋다고 언급했고, 다른 그룹에는 평균보다 낮다고 언급했다. 이때 동양인은 자신이 평균보다 잘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자 더 이상 열심히 하지 않았다. 하지만 못했다는 평가를 받고 나서는 안 풀어도 된다고 한 여분의 문제까지 열심히 풀었다. 남들만큼 못했다는 것이 큰 자극을 준 것이다. 그런데 서양인은 반대였다. 잘했다는 칭찬을 들을 때 더 열심히 하는 경향을 보인 것이다.</p><p class="t_txt" style="font: 13px/23px 굴림, gulim; margin: 0px 0px 19px; padding: 0px; text-align: justify; color: rgb(47, 47, 47); text-transform: none; text-indent: 0px; letter-spacing: normal; word-spacing: 0px; vertical-align: bottom; white-space: normal; font-size-adjust: none; font-stretch: normal;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webkit-text-stroke-width: 0px;">이 연구 결과를 보면 한국인은 평균에서 벗어나지 않으려는 것이 행동의 주요 동기다. 내가 설정한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기 보다, 평균보다는 나아야 한다는 불안감이 더 강력한 동기가 되는 것이다</p><p>전문보기.. <a href="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221&;contents_id=33357&leafId=221">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221&;contents_id=33357&leafId=221</a><br><br>네이버 캐스트 - 보통이 되는 것도 '보통 일'이 아니다, 너무 높아져버린 '평균'과 '보통'의 기준<br><br><br><br><br><br><br><br><br><br></p>
파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