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마당

청소년 세상


정보마당 > 청소년 세상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제공
제목 청소년 유해매체물 판정기준 정당한가?
내용 <P style="LINE-HEIGHT: 150%; MARGIN: 0cm 0cm 0pt" class=MsoNormal><SPAN style="LINE-HEIGHT: 150%; FONT-FAMILY: 돋움; FONT-SIZE: 11pt">최근 아이돌 그룹<SPAN lang=EN-US> ‘</SPAN>비스트<SPAN lang=EN-US>’</SPAN>의 정규앨범<SPAN lang=EN-US> 1</SPAN>집에 수록된<SPAN lang=EN-US> ‘</SPAN>비가 오는 날엔<SPAN lang=EN-US>’</SPAN>이란 곡이 청소년 유해매체물 판정을 받았다<SPAN lang=EN-US>. </SPAN>이에 대해 대중과 가요계 관계자는 심의를 맡은 여성가족부 산하 청소년보호위원회의 심의기준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SPAN lang=EN-US>. </SPAN>가사 중<SPAN lang=EN-US> ‘</SPAN>취한 것 같아<SPAN lang=EN-US>’</SPAN>라는 부분이 청소년에게 음주를 권장한다는 판결이 납득하기 어렵다는 이유다<SPAN lang=EN-US>. <?XML:NAMESPACE PREFIX = O /><O:P></O:P></SPAN></SPAN></P>
<P style="LINE-HEIGHT: 150%; MARGIN: 0cm 0cm 0pt" class=MsoNormal><SPAN style="LINE-HEIGHT: 150%; FONT-FAMILY: 돋움; FONT-SIZE: 11pt" lang=EN-US><O:P> </O:P></SPAN></P>
<P style="LINE-HEIGHT: 150%; MARGIN: 0cm 0cm 0pt" class=MsoNormal><SPAN style="LINE-HEIGHT: 150%; FONT-FAMILY: 돋움; FONT-SIZE: 11pt">비스트의 노래뿐만이 아니다<SPAN lang=EN-US>. </SPAN>그룹<SPAN lang=EN-US> ‘</SPAN>동방신기<SPAN lang=EN-US>’</SPAN>와 김현중<SPAN lang=EN-US>, </SPAN>남성 듀오<SPAN lang=EN-US> ‘</SPAN>옴므<SPAN lang=EN-US>’ </SPAN>등 최근 인기 가수의 음반 및 뮤직비디오가 대거 청소년 유해매체물로 분류됐다<SPAN lang=EN-US>. </SPAN>동방신기의<SPAN lang=EN-US> ‘</SPAN>이것만은 알고 가<SPAN lang=EN-US>’ </SPAN>뮤직비디오는 폭력성과 사행성을 조장한다는 이유로<SPAN lang=EN-US>, </SPAN>김현중의<SPAN lang=EN-US> ‘</SPAN>제발<SPAN lang=EN-US>’</SPAN>과 옴므의<SPAN lang=EN-US> ‘</SPAN>밥만 잘 먹더라<SPAN lang=EN-US>’</SPAN>는 가사에 유해약물에 대한 내용이 포함됐다는 이유로 유해매체물로 결정됐다<SPAN lang=EN-US>. <O:P></O:P></SPAN></SPAN></P>
<P style="LINE-HEIGHT: 150%; MARGIN: 0cm 0cm 0pt" class=MsoNormal><SPAN style="LINE-HEIGHT: 150%; FONT-FAMILY: 돋움; FONT-SIZE: 11pt" lang=EN-US><O:P> </O:P></SPAN></P>
<P style="LINE-HEIGHT: 150%; MARGIN: 0cm 0cm 0pt" class=MsoNormal><SPAN style="LINE-HEIGHT: 150%; FONT-FAMILY: 돋움; FONT-SIZE: 11pt">청소년보호위원회는 대중가요가 청소년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외설적이거나 음주를 권장하는 내용에 대해 엄격한 심의기준을 적용했다는 입장이다<SPAN lang=EN-US>. </SPAN>그러나 음반업계는 곡의 전반적인 느낌과 분위기를 종합적으로 살펴야하며 가사의 문맥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SPAN lang=EN-US>. </SPAN>대중은 박현빈의<SPAN lang=EN-US> ‘</SPAN>곤드레 만드레<SPAN lang=EN-US>’, </SPAN>바이브의<SPAN lang=EN-US> ‘</SPAN>술이야<SPAN lang=EN-US>’ </SPAN>등 술에 대한 이미지가 더 강한 곡이 유해매체물 판정을 받지 않은 것을 사례로 들며 명확한 기준이 없다고 불만의 목소리를 낸다<SPAN lang=EN-US>. </SPAN>일관성 없는 심의기준은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 것이며 음악을 단순히 가사로만 심의하는 것은 예술적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은 처사라는 주장이다<SPAN lang=EN-US>.<O:P></O:P></SPAN></SPAN></P>
<P style="LINE-HEIGHT: 150%; MARGIN: 0cm 0cm 0pt" class=MsoNormal><SPAN style="LINE-HEIGHT: 150%; FONT-FAMILY: 돋움; FONT-SIZE: 11pt" lang=EN-US><O:P> </O:P></SPAN></P>
<P style="LINE-HEIGHT: 150%; MARGIN: 0cm 0cm 0pt" class=MsoNormal><SPAN style="LINE-HEIGHT: 150%; FONT-FAMILY: 돋움; FONT-SIZE: 11pt">물론 음주를 권장하거나 선정적인 내용의 가사를 포함하는 유해한 매체물에 대한 규제와 필터링이 필요한 것은 사실이다<SPAN lang=EN-US>. </SPAN>그러나 단지<SPAN lang=EN-US> ‘</SPAN>술<SPAN lang=EN-US>’, ‘</SPAN>담배<SPAN lang=EN-US>’, ‘</SPAN>클럽<SPAN lang=EN-US>’ </SPAN>같은 단어가 들어있다는 이유만으로 음악을 청소년 유해매체물로 판정하는 것은 편협하고 구시대적인 발상이라고 생각한다<SPAN lang=EN-US>. </SPAN>청소년보호위원회는 표현의 자유를 지나치게 억압하지 않는 선에서 명확한 심의기준을 세워야 한다<SPAN lang=EN-US>. </SPAN>또한 음반 제작자가 스스로 규제를 통해 음악성을 지키면서도 청소년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음악을 만든다면 청소년 유해매체물에 대한 논란은 줄지 않을까 생각한다<SPAN lang=EN-US>. <O:P></O:P></SPAN></SPAN></P>
<P style="LINE-HEIGHT: 150%; MARGIN: 0cm 0cm 0pt" class=MsoNormal><SPAN style="LINE-HEIGHT: 150%; FONT-FAMILY: 돋움; FONT-SIZE: 11pt" lang=EN-US><O:P> </O:P></SPAN></P>
<P style="LINE-HEIGHT: 150%; MARGIN: 0cm 0cm 0pt" class=MsoNormal><SPAN style="LINE-HEIGHT: 150%; FONT-FAMILY: 돋움; FONT-SIZE: 11pt">▶최희진 </SPAN><SPAN style="LINE-HEIGHT: 150%; FONT-FAMILY: 돋움; FONT-SIZE: 11pt" lang=EN-US>P·A·S·S </SPAN><SPAN style="LINE-HEIGHT: 150%; FONT-FAMILY: 돋움; FONT-SIZE: 11pt">고교생 기자<SPAN lang=EN-US>· </SPAN></SPAN><SPAN style="LINE-HEIGHT: 150%; FONT-FAMILY: 돋움; FONT-SIZE: 11pt">경기 관양고<SPAN lang=EN-US> 2</SPAN>학년<SPAN lang=EN-US><O:P></O:P></SPAN></SPAN></P>
파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