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마당

청소년 세상


정보마당 > 청소년 세상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제공
제목 [입학사정관제]
내용 입학사정관 전형이란?

대학입학사정관제는 대학이 고등학교 교육과정, 학생 선발 방법 등에 대한 전문가인 입학사정관을

채용하고, 입학사정관을 활용하여 학생의 성적, 개인환경, 잠재력 및 소질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신입생을 선발하는 제도

● 대학입학사정관(Admissions Officer)

고교 및 대학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관련 정보․자료를 축적․관리하고,

효과적인 전형방법을 연구․개발하며,

제출된 전형자료를 심사․평가하여 개별 지원자의 입학여부를 결정하고,

기존 전형방법을 통해 입학한 학생의 학업과 학교 적응 정도를 관리하는 자

지난해 97개 대학에서 실시한 입학사정관 전형이 올해는 118개 대학으로 확대 실시됨에 따라

모집 인원도 작년의 24,622명에서 37,628명으로 크게 늘었다.

더불어 각 대학의 전형 방법 역시 더욱 체계화되면서 대학 입시에서 하나의 확고한 전형으로

자리잡았다.

그렇다면 대입을 준비하는 수험생과 학부모들은 입학사정관제에 대해 얼마나 정확히 알고 있을까?

입학사정관제가 기존의 전형들과 다른 점

지금까지 대학들이 학생부․수능시험․대학별고사 등 성적 위주로 학생을 선발해왔다면,

입학사정관제의 도입 후에는 대학/모집단위별 특성에 맞는 잠재력과 소질을 가진 학생을 선발하기

위해 성적 외의 전형 자료를 다양하게 활용하게 되며,

입학사정관제를 통해 ‘성적과 대학’이 아니라 ‘적성과 모집단위(진로)’에 따라

입시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전형 방식이 성적으로 나타난 학습의 결과를 주로 평가하였다면,

입학사정관제에서는 학습과정과 교육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차이점이다.


※유웨이 중앙교육 기사 제공
파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