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마당

부모 세상


정보마당 > 부모 세상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제공
제목 산후우울증 관련기사
내용 <DIV id=daumBody class=section_subject>
<DIV id=newsTitle>
<DIV>
<H3 class=tit_subject>"정신없이 때리고나니 내 아이…" 엄마의 눈물</H3><SPAN class=tit_subtit>산모 23%가 산후우울증… 영아 학대에 심지어 살인도</SPAN> <SPAN class=info_data><SPAN class=data><FONT color=#999999>조선일보</FONT></SPAN> <SPAN class=reporter><SPAN class=txt_bar><FONT color=#d2d2d2>|</FONT></SPAN> <SPAN class=data><FONT color=#999999>유마디 기자</FONT></SPAN> </SPAN><SPAN class=txt_bar><FONT color=#d2d2d2>|</FONT></SPAN> <SPAN class=data><FONT color=#999999>입력</FONT></SPAN> <SPAN class="num ff_tahoma"><FONT color=#999999>2012.04.02 03:20</FONT></SPAN> <SPAN class=modify_date><SPAN class=txt_bar><FONT color=#d2d2d2>|</FONT></SPAN> <SPAN class=data><FONT color=#999999>수정</FONT></SPAN> <SPAN class="num ff_tahoma"><FONT color=#999999>2012.04.02 11:19</FONT></SPAN> </SPAN></SPAN></DIV></DIV></DIV><!-- 기사 툴박스 -->
<DIV id=newsToolBox>
<DIV class=wrap_toolbar role=application> </DIV></DIV>
<DIV id=contentsWrapper class=section_content>
<H4 id=newsBodyShadow class=screen_out>지난 28일 오전 6시 40분 서울 마포구의 한 여관. 갓난아기를 등에 업은 안모(38)씨가 들어섰다. 여관 주인은 '아침부터 웬 애 엄마일까?' 생각하며 303호 열쇠를 건넸다. 안씨는 방에 들어간 지 5분 만에 여관을 빠져나갔다. 여관을 나가는 모습이 찍힌 CCTV(폐쇄회로TV) 속 안씨의 팔과 등에는 아기가 없었다. 방에 혼자 남아 울고 있던 아기는 3시간 뒤 여관 주인에게 발견됐다.<BR><BR>
<DIV style="WIDTH: 280px" class=image>
<P class=img><IMG alt="" src="http://i2.media.daumcdn.net/photo-media/201204/02/chosun/20120402111909780.jpeg"; width=280 height=652></P>
<P class=txt>↑ [조선일보]</P></DIV>버려진 건 갓난아기만이 아니었다. 안씨는 지난 27일 오후 7시쯤 서울 상암동 월드컵경기장 지하철역 출구 근처에 큰아들(8)과 둘째 아들(6)을 버렸다. 두 아들에게 "이곳에 잠깐 있어라"고 한 뒤 생후 5개월 된 막내를 데리고 사라졌다. 며칠 전 세 아들을 데리고 친정에 간다고 한 뒤 행방이 묘연해진 아내를 애타게 기다리던 남편 박모씨는 경찰의 연락을 받고 대구에서 상경했다. 박씨는 "아내는 막내가 태어나면서 부쩍 짜증이 늘고 예민해져 몇 달 전부터 약을 먹을 정도로 심하게 산후 우울증을 앓았다"고 말했다.<BR><BR>산후 우울증을 겪는 산모들이 늘면서 이로 인해 아이를 때리거나 심지어 버리고 숨지게 하는 등 각종 사회문제까지 일어나고 있다. 산후 우울증은 출산 후 호르몬 변화와 양육 스트레스 등으로 우울감이 생기는 증세다.<BR><BR>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이 2010년 발표한 '산후 우울증 위험인자의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출산을 위해 이 병원을 찾은 산모 93명 중 22명(23%)이 산후 우울증을 앓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재원 서울대 간호학과 교수는 "임신했을 때 나오던 여성호르몬이 출산 후 급격히 떨어지면서 우울감을 느끼는 등 감정 변화를 겪는 것이 1차적 원인"이라며 "최근 병원을 찾은 산모 중 10~20%는 산후 우울증 진단을 받는다"고 말했다.<BR><BR>산후 우울증이 살인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지난 6일 강남구에 사는 주부 김모(29)씨가 산후 우울증 약을 복용하던 중 8개월 된 딸을 38시간 굶기고 때려 죽게 한 혐의로 경찰에 입건됐다. 지난 2월엔 경기도 안성에서는 산후 우울증을 앓던 어머니가 태어난 지 9개월 된 자식을 목 졸라 죽이기도 했다.<BR><BR>서울 영등포구에 사는 정모(여·35)씨는 지난해 세 살짜리 첫째 아들을 이불을 씌워 놓고 발로 밟는 등 심하게 폭행했다. 이웃 주민의 신고로 지금은 병원에서 치료 중이다. 그는 앞서 6개월여 전에 둘째 아들을 낳은 후 심한 산후 우울증을 겪고 있었다. 정씨는 상담해주고 있는 사회복지사에게 "스트레스를 받을 때마다 화풀이하고 싶은 충동이 큰아들에게 쏠렸다"면서 "한참을 때리고 나서야 '내가 (아이를) 때렸구나'하고 느꼈다"고 했다.<BR><BR>신체적 변화 외에 사회·환경적 원인도 있다. 서영숙 숙명여대 아동복지학 교수는 "핵가족화로 부모의 역할이나 육아를 제대로 익히지 못한 자녀가 부모 세대가 되면서 양육의 부담 등을 이기지 못한 채 산후 우울증을 앓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전북대 이영환 아동학과 교수는 "산후 우울증으로 인한 아동 학대가 발생하면 즉시 경찰 및 아동보호전문기관(1577-1391)에 알려야 살인 등의 심각한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면서 "일본·미국·스웨덴처럼 우리도 산후 우울증을 앓는 사람들을 지원하는 상담센터를 운영, 사전 교육 및 자활치료를 돕는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필요해지고 있다"고 말했다.<BR><BR>
<UL style="LINE-HEIGHT: 24px; MARGIN: 0px">
<LI style="LIST-STYLE-TYPE: none; LIST-STYLE-IMAGE: none"><BR></LI></UL></H4></DIV>
파일
맨위로